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날님에서 한울님으로 - 동학․천도교에서의 천명(天名)의 변화 - = From Hanalnim to Hanulnim - Changes in the name of Heaven in Donghak and Chondogy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00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as June 1911 when the first major change began to take place in the name of Heaven in Cheondogyo. At this time, the use of ‘Han-eul’ and ‘Han-eul-nim’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ritings of Jong-Il Lee and Ji-Young Oh in Cheon Dokyohoiwolbo. And since then, this notation has been established. This is the first case in the history of Chondogyo to change the name of Heaven.
      The second change occurred after 3 months. This is because ‘Han Euinim’ appears in the 14th issue of the Cheon Dokyohoiwolbo. published in September 1911, with the letter ㄹ omitted from ‘Han Eul-nim’. Lee Jong-il was the first to write ‘Han-eui-nim’. After that, all the other authors started writing ‘Han Eui-nim’. And two months later, in December of 1911, Oh Ji-young and Lee Jong-il started writing ‘Hanwoonim’. Lee Jong-il started using ‘Hanul’ for the first time.
      Then, from April 1920, Oh Ji-young began to use ‘Hanul-nim’ in earnest. It is not that there were no examples of Hanul-nim before, but it was only used a few times in 8 yea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name of Heaven in Chondogyo began in December 1911(Hanul) and May 1920 (Hanulnim).
      번역하기

      It was June 1911 when the first major change began to take place in the name of Heaven in Cheondogyo. At this time, the use of ‘Han-eul’ and ‘Han-eul-nim’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ritings of Jong-Il Lee and Ji-Young Oh in Cheon Doky...

      It was June 1911 when the first major change began to take place in the name of Heaven in Cheondogyo. At this time, the use of ‘Han-eul’ and ‘Han-eul-nim’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ritings of Jong-Il Lee and Ji-Young Oh in Cheon Dokyohoiwolbo. And since then, this notation has been established. This is the first case in the history of Chondogyo to change the name of Heaven.
      The second change occurred after 3 months. This is because ‘Han Euinim’ appears in the 14th issue of the Cheon Dokyohoiwolbo. published in September 1911, with the letter ㄹ omitted from ‘Han Eul-nim’. Lee Jong-il was the first to write ‘Han-eui-nim’. After that, all the other authors started writing ‘Han Eui-nim’. And two months later, in December of 1911, Oh Ji-young and Lee Jong-il started writing ‘Hanwoonim’. Lee Jong-il started using ‘Hanul’ for the first time.
      Then, from April 1920, Oh Ji-young began to use ‘Hanul-nim’ in earnest. It is not that there were no examples of Hanul-nim before, but it was only used a few times in 8 yea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name of Heaven in Chondogyo began in December 1911(Hanul) and May 1920 (Hanulni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60년 최제우에 의한 ‘동학’의 탄생에서 1905년 손병희에 의한 ‘천도교’로의 전환이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궁극적 존재를지칭하는 천명(天名)의 개칭을 지목되고 있다. 즉 ‘님’에서 ‘한울님’으로 최고 존재를지칭하는 한글 명칭의 변화이다. 그러나 이 변화는 천도교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이후의 천도교 사상가들에 의한 것이었다.
      천도교의 천명에 처음으로 변화가 나타난 시기는 1911년 6월이다. 이 때 􋺷천도교회월보􋺸에 실린 이종일과 오지영의 글에 ‘한을’과 ‘한을님’의 용례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이후로 이 ‘한을’과 ‘한을님’의 표기가 정착되었다. 이것이 천도교 역사상 최초로 천명(天名) 을 개명(改名)한 사례이다.
      두 번째 변화는 이로부터 3개월 뒤에 나타났다. 1911년 9월에 나온 􋺷천도교회월보􋺸 14 호에 ‘한을님’에서 ㄹ이 탈락된 ‘한으님’이 등장한 것이다. 이 ‘한으님’이란 명칭을 쓴 이는이종일이다. 이후 􋺷천도교회월보􋺸의 다른 저자들도 이종일을 따라 모두 ‘한으님’을 쓰기시작한다. 그리고 3달 뒤 1911년 12월에 오지영과 이종일이 ‘한우님’을 쓰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이종일은 ‘한울’이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로 다른 저자들도 일제히 ‘한울’이라는 천명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한울’이라는 명칭은 1911년12월에 이종일에 의해 정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1920년 4월부터 오지영은 ‘한울님’이란 명칭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전에도 한울님의 용례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8년 동안 단 몇 차례 사용된 것이 전부였다. 따라서 현재 천도교의 천명(天名)은1911년 12월(한울)과 1920년 5월(한울님)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31년 천도교 사상가 이돈화가 􋺷신인철학(新人哲學)􋺸이라는 최초의 천도교 철학서를간행하는데 그 내용은 ‘한울’ 개념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1911년‘한울’이라는 명칭의 정착은 이돈화의 한울철학의 전사(前史)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1860년 최제우에 의한 ‘동학’의 탄생에서 1905년 손병희에 의한 ‘천도교’로의 전환이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궁극적 존재를지칭하는 천...

      1860년 최제우에 의한 ‘동학’의 탄생에서 1905년 손병희에 의한 ‘천도교’로의 전환이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궁극적 존재를지칭하는 천명(天名)의 개칭을 지목되고 있다. 즉 ‘님’에서 ‘한울님’으로 최고 존재를지칭하는 한글 명칭의 변화이다. 그러나 이 변화는 천도교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이후의 천도교 사상가들에 의한 것이었다.
      천도교의 천명에 처음으로 변화가 나타난 시기는 1911년 6월이다. 이 때 􋺷천도교회월보􋺸에 실린 이종일과 오지영의 글에 ‘한을’과 ‘한을님’의 용례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이후로 이 ‘한을’과 ‘한을님’의 표기가 정착되었다. 이것이 천도교 역사상 최초로 천명(天名) 을 개명(改名)한 사례이다.
      두 번째 변화는 이로부터 3개월 뒤에 나타났다. 1911년 9월에 나온 􋺷천도교회월보􋺸 14 호에 ‘한을님’에서 ㄹ이 탈락된 ‘한으님’이 등장한 것이다. 이 ‘한으님’이란 명칭을 쓴 이는이종일이다. 이후 􋺷천도교회월보􋺸의 다른 저자들도 이종일을 따라 모두 ‘한으님’을 쓰기시작한다. 그리고 3달 뒤 1911년 12월에 오지영과 이종일이 ‘한우님’을 쓰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이종일은 ‘한울’이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로 다른 저자들도 일제히 ‘한울’이라는 천명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한울’이라는 명칭은 1911년12월에 이종일에 의해 정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1920년 4월부터 오지영은 ‘한울님’이란 명칭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전에도 한울님의 용례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8년 동안 단 몇 차례 사용된 것이 전부였다. 따라서 현재 천도교의 천명(天名)은1911년 12월(한울)과 1920년 5월(한울님)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31년 천도교 사상가 이돈화가 􋺷신인철학(新人哲學)􋺸이라는 최초의 천도교 철학서를간행하는데 그 내용은 ‘한울’ 개념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1911년‘한울’이라는 명칭의 정착은 이돈화의 한울철학의 전사(前史)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

      2 허수, "이돈화 연구" 역사비평사 2011

      3 양윤석, "용담유사" 모시는사람들 2013

      4 한국학문헌연구소, "오지영전집(上)" 아세아문화사 1992

      5 남연호, "동학의 ‘천주天主’를 ‘하늘님’으로 표기하자는 주장에 대하여" 동학학회 (59) : 263-297, 2021

      6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모시는사람들 2004

      7 박소정, "동학, 한국어로 시도된 최초의 철학(5)-의암의 천주(天主), 상제(上帝), 그리고 한울님" (55) : 2016

      8 김용옥, "동경대전 1-나는 코리안이다" 통나무 2021

      9 김용옥, "도올심득 동경대전 1" 통나무 2004

      10 박인규, "규장각 소장본 『東學書』 분석: 자료의 성격에 따른 분류를 통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247-286, 2021

      1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

      2 허수, "이돈화 연구" 역사비평사 2011

      3 양윤석, "용담유사" 모시는사람들 2013

      4 한국학문헌연구소, "오지영전집(上)" 아세아문화사 1992

      5 남연호, "동학의 ‘천주天主’를 ‘하늘님’으로 표기하자는 주장에 대하여" 동학학회 (59) : 263-297, 2021

      6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모시는사람들 2004

      7 박소정, "동학, 한국어로 시도된 최초의 철학(5)-의암의 천주(天主), 상제(上帝), 그리고 한울님" (55) : 2016

      8 김용옥, "동경대전 1-나는 코리안이다" 통나무 2021

      9 김용옥, "도올심득 동경대전 1" 통나무 2004

      10 박인규, "규장각 소장본 『東學書』 분석: 자료의 성격에 따른 분류를 통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247-286, 2021

      11 노용필, "『동학사』와 집강소 연구" 국학자료원 2001

      12 "<태안문화원> 홈페이지, “태안의 문화-문화재” ‘이종일선생가지(李鍾一先生生家址)’ 참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