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배너광고와 호스트 웹사이트 상호간의 비대칭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iprocal Asymmetric Spillover Effects Between Banner AD and Host Web S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79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nner advertisements are a popular type of online advertising. A banner ad is a form of advertising on the Web and is embedded in host Web sit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banner advertisements and host Web sites has been relatively unexplore...

      Banner advertisements are a popular type of online advertising. A banner ad is a form of advertising on the Web and is embedded in host Web sit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banner advertisements and host Web sites has been relatively unexplored.
      Using associative network theory and involvement theory, we examine the level of involvement with a brand in a banner advertisement and a host Web site as a moderator in this asymmetric spillover. we also examine asymmetric spillover between a banner advertisement and a host Web site. 32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result, the level of involvement partial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In the case of highly involved brand, advertising on a relatively unfamiliar Web site negatively affects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However, hosting relatively unfamiliar brand does not hurt the host Web site when consumers show high involvement with the site. The research contributes to theory development in the area of banner advertisements and provides advertisers and Web managers with meaningful insights into how to manage effective banner advertis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상에서 많은 유형의 광고가 등장하고 있지만, 그 중 배너광고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상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접하는 친숙한 광고형태이다. 그러나 그 동안 배너광고와 호스트 웹...

      인터넷상에서 많은 유형의 광고가 등장하고 있지만, 그 중 배너광고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상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접하는 친숙한 광고형태이다. 그러나 그 동안 배너광고와 호스트 웹사이트 상호간의 관계에 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상 네트워크 이론과 관여도 이론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이 배너광고의 브랜드 또는 호스트 웹사이트에 관여도가 높을 때, 상호간의 전이효과에 의해서 상대방의 태도 및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특히 이런 영향을 미치는 패턴이 대칭 또는 비대칭적인지 살펴본다. 320명의 대학생이 참가한 실험 결과, 배너광고 브랜드와 호스트 웹사이트 사이의 관계는 관여도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배너광고 브랜드에 대한 관여도가 높고, 친숙한 배너광고 브랜드가 친숙하지 않은 호스트 웹사이트 게재되었을 때, 소비자들의 배너광고 브랜드에 대한 사후평가는 낮아졌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호스트 웹사이트에 대하여 관여도가 높고, 친숙한 호스트 웹사이트에 친숙하지 않은 배너광고 브랜드가 게재되었을 때, 소비자들의 호스트 웹사이트에 대하여 사후평가는 변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배너광고 브랜드와 호스트 웹사이트 사이의 관계에 관한 문헌연구에 기여하고, 배너광고의 광고주와 호스트 웹사이트 관리자 양쪽 모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1. 연구의 방법 6
      • 2. 연구의 구성 8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제 1 절 배너광고(Banner Advertisement) 9
      • 1. 배너광고의 개념 및 특성 9
      • 2. 배너광고에 관한 선행연구 10
      • 제 2 절 전이효과(Spillover Effects) 13
      • 1. 전이효과의 개념 및 특성 13
      • 2. 배너광고 브랜드와 호스트 웹사이트의 관계 14
      • 제 3 절 비대칭 전이효과와 연상 네트워크 이론 16
      • 1. 연상 네트워크 이론(Associative Network Theory) 16
      • 2. 배너광고 브랜드와 호스트 웹사이트 상호간의
      • 비대칭 전이효과(Asymmetric Spillover Effects) 17
      • 제 4 절 관여도와 귀인이론 20
      • 1. 관여도(Involvement) 20
      • 2.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22
      • 제 5 절 브랜드 태도(Attitude) 24
      • 제 6 절 브랜드 충성도(Loyalty) 26
      • 제 3 장 연구 모형과 가설 28
      • 제 1 절 연구 모형의 설계 28
      • 제 2 절 연구 가설의 설정 30
      • 제 4 장 연구 조사 방법 33
      • 제 1 절 실험 설계 및 조사 대상 33
      • 1. 실험 설계 33
      • 2. 실험 절차 35
      • 3. 실험대상자의 선정 36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방법 37
      • 1. 독립변수 조작(Independent Variable Manipulation) 37
      • 1) 연상의 수(Number of Associations) 37
      • 2) 관여도(Involvement) 40
      • 2.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 42
      • 1) 브랜드 태도(Attitude) 42
      • 2) 브랜드 충성도(Loyalty) 43
      • 제 3 절 사전조사 44
      • 1. 사전조사의 결과 44
      • 1) 연상의 수(Number of Associations) 44
      • 2) 관여도(Involvement) 46
      • 제 4 절 본 조사 47
      • 1. 설문지 구성 및 절차 47
      • 2. 자료수집 47
      • 3. 분석방법 48
      • 제 5 장 연구 결과의 분석 49
      • 제 1 절 신뢰성 분석 49
      • 제 2 절 가설의 검증 51
      • 1. 가설 검증의 결과 51
      • 1) 가설 1에 대한 검증 51
      • 2) 가설 2에 대한 검증 55
      • 제 6 장 결론 59
      • 제 1 절 연구 결과 정리 59
      • 제 2 절 연구 결과의 의의 및 시사점 61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63
      • <참고문헌> 64
      •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