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VUI)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 의사소통 전략을 중심으로 = Guideline for Voice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Communication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197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5.4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77장: 삽도, 표; 26cm.

      • 일반주기명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Guideline for Voice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Communication Strategy
        지도교수:박남춘
        참고문헌: p.75

      • UCI식별코드

        I804:11036-20000001017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를 줄여 VUI 라 지칭하겠다. VUI의 일반적인 형태는,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원하는 기능의 수행을 요청하고 제품과 서비스가 음성 답...

      본 연구에서는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를 줄여 VUI 라 지칭하겠다. VUI의 일반적인 형태는,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원하는 기능의 수행을 요청하고 제품과 서비스가 음성 답변으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가상의 퍼소나간 음성 대화의 형식을 채택한다. 그래픽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와 함께 보조적인 수단으로 제공되던 오디오 인터페이스(Audio User Interface)와 달리, VUI는 음성 대화 자체가 핵심적인 인터랙션 수단으로 활용됨을 넘어서 서비스의 주된 경험을 좌우하는 역할을 가진다. 우리는 음성 대화에 대한 만족도가 곧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 만족도 그리고 사용성 평가의 핵심 척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서비스 기획자와 디자이너는 VUI의 설계, 나아가 사용자와 서비스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음성 대화에 대한 지식과 올바른 이해를 가져야 하며 효율적인 VUI 설계를 위해 활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VUI 설계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줄여 VUI 설계 가이드라인이라 지칭한다. VUI 설계 가이드라인의 구체화 단계는 이론적 고찰, 프레임워크 도출, 가이드라인 제작의 3단계로 나뉜다. 이론적 고찰 단계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와 기존 가이드라인에 대한 내용 분석(Contents Analysis)을 진행하였다. 더하여 VUI 의 개념 및 활용과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설계하는 기획자와 디자이너의 역할을 정의하였다. 프레임워크 도출 단계에서는 앞서 고찰한 내용에 기반하여 VUI 설계 가이드라인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프레임워크는 VUI 설계 가이드라인의 개발 목적, 제작 관점을 포함한다. 가이드라인 제작 단계에서는 도출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VUI 설계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하고,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음성 대화형 서비스 의 개선 방법을 함께 제안하였다. 나아가 실제 서비스의 개선 사례 연구를 통해 가이드라인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voice user interface is reduced to be referred to as a VUI. A common form of VUI employs a form of user-to-virtual voice conversation in which a user requests voice commands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and services providing appro...

      In this study, the voice user interface is reduced to be referred to as a VUI. A common form of VUI employs a form of user-to-virtual voice conversation in which a user requests voice commands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and services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as a voice response. Unlike the Audio User Interface, which is provided as a supplementary means with the Graphic User Interface, the VUI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main experience of the service beyond voice interaction itself as a key interaction means. We can expect that satisfaction with voice conversation will be a key measure of users'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Therefore, future service planners and designers should have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voice convers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design of VUI, and also the effective interaction of users and services, and study the applicable guidelines for efficient VUI design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that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VUI. This is called a VUI design guidelines. The VUI design guidelines ar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oretical review, framework derivation, and guideline production. In the theoretical review stage, we conducted the contents analysis of the 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the existing guidelines. In addition, we defined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VUI and the design process, and defined the roles of designers and how to design them. In the framework derivation stage, we derive a framework for building VUI design guidelines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framework includes development objectives and production perspectives of the VUI design guidelines. In the guideline production phase, VUI design guidelines are specified based on the derived framework, and a guideline based improvement method of voice interactive service is proposed.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ss was verified through case studies of improvement of actual serv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2
      •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4
      • 제2장 이론적 이해 6
      • 2.1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VUI) 7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2
      •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4
      • 제2장 이론적 이해 6
      • 2.1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VUI) 7
      • 2.1.1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개념 7
      • 2.1.2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활용 8
      • 2.1.3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발전 12
      • 2.1.4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설계 15
      • 2.2 VUI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목적 17
      • 제3장 가이드라인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18
      • 3.1 의사소통 전략 19
      • 3.1.1 의사소통 전략 개념 19
      • 3.1.2 의사소통 전략 유형 20
      • 3.2 의사소통 전략 활용 의의 25
      • 3.2.1 의사소통 전략과 VUI 설계 가이드라인의 연관성 25
      • 3.2.2 의사소통 전략 활용 방법 및 체계 26
      • 3.3 VUI 설계 가이드라인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 27
      • 3.3.1 의사소통 전략 기반 프레임워크 범주 27
      • 3.3.2 의사소통 전략 기반 프레임워크 구성 29
      • 제4장 VUI 설계 가이드라인 31
      • 4.1 VUI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32
      • 4.1.1 가이드라인 개발 방법 및 체계 33
      • 4.1.2 가이드라인 구성 33
      • 4.2 VUI 설계 가이드라인 SET 개발 37
      • 4.2.1 VUI 설계 가이드라인 구성 37
      • 제5장 VUI 설계 가이드라인 평가 및 검증 39
      • 5.1 VUI 설계 가이드라인 기반 음성 대화형 서비스 개선 방법 제안 40
      • 5.1.1 서비스 개선 방법 및 체계 40
      • 5.1.2 서비스 개선 사례 연구 46
      • 5.1.3 서비스 개선 결과 60
      • 제6장 결론 및 제언 70
      • 참고 문헌 75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