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직장 내 괴롭힘, 과도한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 인한 자살, 우울증 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됨에 따라 심리사회적 위험의 예방 및 대처 방안인 심리사회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76685
춘천 :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한림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조직심리 및 방법론 , 2022. 7
2022
한국어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 한국판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척도 ; 타당도 ; 직장 내 괴롭힘 ; 조절된 매개효과
강원특별자치도
vii, 132 p. ; 26 cm
지도교수: 이주일
I804:42014-2000006431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직장 내 괴롭힘, 과도한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 인한 자살, 우울증 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됨에 따라 심리사회적 위험의 예방 및 대처 방안인 심리사회적 ...
오늘날, 직장 내 괴롭힘, 과도한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 인한 자살, 우울증 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됨에 따라 심리사회적 위험의 예방 및 대처 방안인 심리사회적 안전풍토가 주목받고 있다. 심리사회적 안전풍토란, 구성원의 심리적 건강 및 안전과 관련된 조직의 정책, 절차, 실천에 대한 구성원들의 공유된 지각을 의미하며, 경영진의 지원 및 몰입(Management Support and Commitment), 경영진의 우선순위(Management Priority), 조직 내의 의사소통(Organizational Communication), 조직적인 참여(Organizational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의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Dollard와 Kang(2007)은 기존 안전풍토를 측정하는 문항들을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Hall, Dollard와 Coward(2010)가 이를 단축화하여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설문지와 한국판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척도의 요인구조 및 다양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하고자 세 가지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사전 연구에서는 26문항으로 된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국내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원척도의 4요인 구조를 지지하는지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6문항, 역채점 문항을 제외한 23문항 모두 원척도의 4요인 구조를 지지하지 못하였다. 이에, Hall 등(2010)이 26문항의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설문지를 12문항으로 단축화한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척도를 사용하여 원척도에서 제시한 4요인 구조를 지지하는지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여성 표본에서 4요인 구조가 적합하였다.
사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1에서는 간호사에 적합하도록 한국판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척도(KPSC-12)를 다시 번안하고, 여성 간호사 192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먼저, 원저자가 제안한 4요인 구조가 국내 여성 간호사 표본에 적합한지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하였으며, KPSC-12의 내적 일치도,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준거 관련 타당도, 증분 타당도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연구 2에서는 모형 검증을 통해 KPSC-12의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직장 내 괴롭힘이 정서적 조직몰입을 통해 침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안전풍토가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직장 내 괴롭힘과 침묵행동의 관계를 정서적 조직몰입이 매개하는데, 이러한 매개효과는 심리사회적 안전풍토의 수준이 높을 때 나타났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의 결과들은 KPSC-12가 국내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심리사회적 안전풍토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척도이며, 심리사회적 안전풍토는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증가시켜 직장 내 괴롭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as suicide and depression due to psychosocial hazards such as workplace bullying and excessive work stress have become a hot topic,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which is a way to prevent and cope with psychosocial hazards, is drawing attent...
Today, as suicide and depression due to psychosocial hazards such as workplace bullying and excessive work stress have become a hot topic,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which is a way to prevent and cope with psychosocial hazards, is drawing attention. Psychosocial Safety climate(PSC) is defined as in terms of “share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cies, practices, and procedur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is characterized by four major dimensions. First, Management Support and Commitment(MC). Second, Management Priority(MP). Thir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OC). Fourth,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OP). Dollard & Kang(2007) developed 26 item version of the PSC named Psychosocial Safety Climate Survey. Items used in that scale were derived from various published safety climate scales that reflected the four PSC dimensions. This thesis consists of three studies design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and other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Survey among Korean office workers.
Pilot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Surve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on the data collected from Korean office workers(N=299). The results of CFA of the survey revealed poor model fit. According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except for reverse question, but also, revealed poor model fit.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our factors using 12 questions included in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scale(PSC-12) that shortened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Survey. As a result, the four-factor structure was suitable in the female sample.
Study 1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social Safety Climate scale(KPSC-12)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from Korean nurses(N=192) and evaluated its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CFA of the KPSC-12 revealed a four-factor structure i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version of the PSC-12. In addition, the KPSC-12 and its four subscale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vaildity.
In study 2, as a part of examining the construct validity, assumed moderated mediation model based on Cognitive-Affective Personality System theory and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sychosocial safety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employee silence via affective commitment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three studies suggest that the KPSC-12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share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cies, practices, and procedure among nurses in Korea.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