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古代人의 서사 습관을 꾸밈없이 그대로 전해주는 금석문, 목간 등 출토 문자 자료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漢字 한 글자 한 글자의 사용 상황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한자의 시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5514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241-263(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 古代人의 서사 습관을 꾸밈없이 그대로 전해주는 금석문, 목간 등 출토 문자 자료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漢字 한 글자 한 글자의 사용 상황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한자의 시대...
최근에 古代人의 서사 습관을 꾸밈없이 그대로 전해주는 금석문, 목간 등 출토 문자 자료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漢字 한 글자 한 글자의 사용 상황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한자의 시대적 및 공간적 특성을 찾아낼 수 있게 되었고 한자의 구체적인 전파 과정과 루트도 재현할 수 있다.
본고는 “岡”자를 예로 중국에서는 시대별, 지역별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공간적 특성이 동아시아 각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중국과 한반도, 일본과의 소통·교류 관계를 밝힌 것이다. 그 결과 한반도와 일본에 전해진 “□” 글자체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양진시기, 남북조시기를 거쳐 수당시기까지 사용된 귄위있는 글자체이었으며 이러한 글자체가 고구려, 신라를 통해 일본열도에 전파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data such as inscriptions on ancient bronzes and stones and Wooden Documents have been increasing. This allowed us to know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discover th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us, ...
Recently, data such as inscriptions on ancient bronzes and stones and Wooden Documents have been increasing. This allowed us to know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discover th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us, the specific propagation process and root of Chinese characters can also be reproduced.
This paper considered how the “岡” character was used in China, for example, by era and region. It also revealed its communication and exchange relations with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by examining how thes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ffected East Asian countries.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the “□”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was a dignified writing style that was used from the Sanguo(三國) period of China to the Liangjin(兩晉) period and Suitang(隋唐) period. And we were able to reveal that th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Japan through Goguryeo(高句麗) and Silla(新羅).
참고문헌 (Reference)
1 方國花, "「岡」の使用法から見た古代東アジア諸國の漢字文化" 14 : 2014
2 "국제 둔황 프로젝트"
3 陣松長, "馬王堆簡帛文字編" 文物出版社 2001
4 가야문화재연구소, "韓國木簡字典" 2011
5 走馬樓簡牘整理組,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 壹~玖" 文物出版社 2019
6 王曉光, "長沙尙德街東漢簡與東漢後期墨書硏究" 358 : 2019
7 長沙市文物考古所, "長沙五一廣場東漢簡牘(貳)" 中西書局 2018
8 東野治之, "長屋王家木簡の硏究" 塙書房 2010
9 騈宇騫, "銀雀山漢簡文字編" 文物出版社 2001
10 慶應義塾圖書館, "第32回慶應義塾圖書館貴重書展示會 古代中世 日本人の讀書"
1 方國花, "「岡」の使用法から見た古代東アジア諸國の漢字文化" 14 : 2014
2 "국제 둔황 프로젝트"
3 陣松長, "馬王堆簡帛文字編" 文物出版社 2001
4 가야문화재연구소, "韓國木簡字典" 2011
5 走馬樓簡牘整理組,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 壹~玖" 文物出版社 2019
6 王曉光, "長沙尙德街東漢簡與東漢後期墨書硏究" 358 : 2019
7 長沙市文物考古所, "長沙五一廣場東漢簡牘(貳)" 中西書局 2018
8 東野治之, "長屋王家木簡の硏究" 塙書房 2010
9 騈宇騫, "銀雀山漢簡文字編" 文物出版社 2001
10 慶應義塾圖書館, "第32回慶應義塾圖書館貴重書展示會 古代中世 日本人の讀書"
11 方 勇, "秦簡牘文字編" 福建人民出版社 2012
12 漢語大字典字形組, "秦漢魏晉篆隸字形表" 四川辭書出版社 1985
13 張守中, "睡虎地秦簡文字編" 文物出版社 1994
14 井上秀雄, "異體文字の世界" 4 (4): 1988
15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漢字字體變遷硏究のための拓本データベース"
16 漢字字體規範史データセット保存會, "漢字字體規範史データセット"
17 石塚晴道, "漢字字體史硏究" 勉誠出版 2012
18 湖南省文物考古硏究所, "湖南郴州蘇仙橋遺址發掘簡報" 8 : 2009
19 宋少華, "湖南出土簡牘選編" 岳麓書社 2013
20 藤壬生, "楚系簡帛文字編" 湖北敎育出版社 2008
21 佐野光一, "木簡字典" 雄山閣 1985
22 藤枝晃, "日本語の世界三 中國の漢字" 中央公論社 1981
23 甘肅文物考古硏究所, "敦煌漢簡" 中華書局 1991
24 戴衛紅, "從湖南省郴州蘇仙橋遺址J10出土的晉簡看西晉上計制度" 商務印書館 8 : 2013
25 孫祥軍, "從新出土湖南郴州蘇仙橋晋簡看《漢書・地理志》之史源" 4 : 2014
26 張守中, "張家山漢簡文字編" 文物出版社 2012
27 陣松長, "嶽麓書院藏秦簡(壹-參) 文字編" 上海辭書出版社 2017
28 鬼頭清明, "古代木簡の基礎的硏究" 塙書房 2010
29 北京大學出土文獻硏究所, "北京大學藏西漢竹書" 上海古籍出版社 2016
30 孫 隽, "中國書法大字典 隸書卷" 江西美術出版社 2012
31 孫 隽, "中國書法大字典 篆書卷" 江西美術出版社 2012
32 李守奎,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一-五) 文字編" 作家出版社 2007
33 王保成, "三國吳簡文字硏究" 安徽大學 2013
34 國立國會圖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干祿字書1卷』 文化14刊"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 ―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자료(資料)’ 연구로 본 동아시아학술원 20년 ― 호적(戶籍)과 간독(簡牘) 자료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4-08-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6-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7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