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1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elementary, middle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in Busa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ir background variables (chronological age, gender, mental age, and social maturity age). To find out differences by groups(experimental, control), grades (elementary, middle), and gender(male, female), after a post-tes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three-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significance or interactive effects of the mean difference among their levels of experimental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mediating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had greater effect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females showe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males. As suggested in the conclusions,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i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nclud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ccessfully and substantially into communiti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socially adaptive behavior,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eadily develop and apply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self-determination training programs usable at home, at school, and in communities on the basis of strength intelligence reflecting their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bjects of thi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elementary, middle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in Busa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ir background variables (chronological age, gender, mental age, and social maturity age). To find out differences by groups(experimental, control), grades (elementary, middle), and gender(male, female), after a post-tes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three-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significance or interactive effects of the mean difference among their levels of experimental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mediating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had greater effect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females showe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males. As suggested in the conclusions,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i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nclud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ccessfully and substantially into communiti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socially adaptive behavior,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eadily develop and apply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self-determination training programs usable at home, at school, and in communities on the basis of strength intelligence reflecting their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초․중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초․중학교 학생의 배경변인(생활연령, 성별, 정신연령, 사회성숙연령)을 고려하여 8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집단별(실험집단, 통제집단), 학교급별(초등학교, 중학교), 성별(남, 여)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구하고, 각 실험대상 변인들의 수준 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이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3원 변량분석(Three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집단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중재효과를 보이고, 학교급에서는 중학교가 초등학교보다 효과적이며, 성별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다. 이상의 결론과 같이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에 성공적이고 실질적인 통합을 위한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자기결정훈련 프로그램들을 꾸준히 개발․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초․중학교 특수학급 ...

      이 연구는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초․중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초․중학교 학생의 배경변인(생활연령, 성별, 정신연령, 사회성숙연령)을 고려하여 8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집단별(실험집단, 통제집단), 학교급별(초등학교, 중학교), 성별(남, 여)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구하고, 각 실험대상 변인들의 수준 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이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3원 변량분석(Three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집단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중재효과를 보이고, 학교급에서는 중학교가 초등학교보다 효과적이며, 성별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다. 이상의 결론과 같이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에 성공적이고 실질적인 통합을 위한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자기결정훈련 프로그램들을 꾸준히 개발․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권, "창의성과 삶의 질을 재고하기 위한 자기결정훈련 프로그램" 특수교육 2000

      2 박상희, "지역사회중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기술과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3 송정선, "전환사정 실천사항에 대한 교사인식수준과 기준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희찬, "장애인 재활:지원고용의 실천적 이론" 특수교육 1996

      5 조인수,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과 서비스"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6 조인수,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7 방명애, "자기결정기술 활동 프로그램" 특수교육 2007

      8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류현주, "여가활동 중심의 전환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0 박승탁, "생활중심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 직업 수행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0

      1 김정권, "창의성과 삶의 질을 재고하기 위한 자기결정훈련 프로그램" 특수교육 2000

      2 박상희, "지역사회중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기술과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3 송정선, "전환사정 실천사항에 대한 교사인식수준과 기준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희찬, "장애인 재활:지원고용의 실천적 이론" 특수교육 1996

      5 조인수,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과 서비스"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6 조인수,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7 방명애, "자기결정기술 활동 프로그램" 특수교육 2007

      8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류현주, "여가활동 중심의 전환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0 박승탁, "생활중심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 직업 수행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0

      11 유정희, "생활자립훈련중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12 김향지, "사회적기술 중재 전략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기술, 문제행동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6

      13 김성애,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결정 촉진당위성과 교수-학습 원리 -유아통합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26, 2002

      14 조인수, "대인기능 중심의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271-291, 2005

      15 전보성, "대인ㆍ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16 정희선,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읽기 이해와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 대학원 2007

      17 김현진,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8 Flexer,R.W., "Transition planning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2005

      19 Patton,J.R.,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Basic concepts and recommended practices" Pro-Ed 1998

      20 Sitlington,P.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ansition to adult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living" Pearson Education, Inc 2006

      21 Sitlington,P.L., "Transition education &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y" A Pearson Education Company 2000

      22 Sweeney,M.A.,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training on student involvement in the IEP process"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1997

      23 Shearer,C,B., "The MIDAS handbook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Greyden Press 1996

      24 Field,S., "Step to self-determination: A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learn to achieve their goals" Pro-Ed 1996

      25 Odom,S.L.,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atur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Brookes 1992

      26 Mithaug,D,E.,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life span: Independence and cho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rookes 1996

      27 Felce, D, "Quality of life: The scope of the term and its breadth of measurement in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odels, research and practice" Stanley Thornes 56-71, 1997

      28 Armstrong,T., "Multiple intelligences in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4

      29 Luckasson,R., "Mental retardation: Defintion, classification, and systems of supports"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2002

      30 정인숙, "KISE-적응행동검사 개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3

      31 Gardner,H.,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Basic Books 1999

      32 Wehman,P., "Individual transition plan: The teacher's curriculum guide for helping youth with special needs" Pro-Ed 1995

      33 Gardner,H.,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e Books 1983

      34 McDonnell,J.J., "Effects of in vivo versus simulation-plus-in vivo training on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gracer item selection by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handicaps" 5 : 323-343, 1985

      35 Brolin, D. E,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services:A functional life skills approach(4th ed.).Upper Saddle River,New"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