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사이드 한인 타운은 1904년 안창호가 이곳에 한인노동주선소를 개설하고, 하와이에서 건너온 교민들을 받아들임으로써 만들어졌다. 안창호와 그의 동지들은 한인 타운에서의 디아스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48368
2020
-
900
KCI등재
학술저널
121-160(4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리버사이드 한인 타운은 1904년 안창호가 이곳에 한인노동주선소를 개설하고, 하와이에서 건너온 교민들을 받아들임으로써 만들어졌다. 안창호와 그의 동지들은 한인 타운에서의 디아스포...
리버사이드 한인 타운은 1904년 안창호가 이곳에 한인노동주선소를 개설하고, 하와이에서 건너온 교민들을 받아들임으로써 만들어졌다. 안창호와 그의 동지들은 한인 타운에서의 디아스포라 실험을 바탕으로 한인친목회를 확대 개편한 공립협회를 발기하고, 리버사이드에 첫 지방회를 조직하였다. 리버사이드의 교민 구성은 가족 단위로 정착한 부류와 계절 이주 노동자로 이루어졌는데, 이 가운데 교민사회를 이끌어간 것은 가족 단위 이주자들이었다. 리버사이드에 한인 타운을 조성한 이강 등 안창호의 측근 인사들은 이후 공립협회와 대한신민회를 발기하고, 공립협회 총회의 지도자로 활약하였다. 이들은 안창호가 국내에 조직한 신민회에 참여하는 한편으로, 원동지방에 특파원으로 파견되어 그곳에 공립협회-국민회의 지방회 조직을 퍼뜨렸다. 리버사이드의 한인사회는 노동주선소를 중심으로 그 틀을 갖춘 다음, 공립협회-국민회 지방회와 한인장로교회로 거점을 다변화해 갔다. 그러는 가운데 교민 자치의 정점에 위치한 지방회와 교민사회 경제생활의 거점인 노동주선소, 그리고 종교·문화 활동의 거점으로서의 한인교회를 삼각 축으로 하는 북미 한인사회의 디아스포라 모델이 만들어졌다. 안창호는 1907년 귀국해 신민회 운동을 전개하며, 리버사이드 한인 타운에서의 디아스포라 실험을 문화운동-교육·실업운동-정치운동을 삼위일체로 동시에 아우르는 국권회복운동으로 확대 발전시켰다. 그리고 교민 생활 지도의 지침을 무실역행과 정의돈수라는 신국민의 기본 덕목으로 다듬어냈다. 이후 리버사이드의 디아스포라 모델은 1910년대 서간도 등지에서 전개된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의 전범이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verside Korean Town was created in 1904 when Ahn Chang-ho opened a Korean labor agency here and accepted Koreans from Hawaii. Ahn Chang-ho and his comrades promoted the United Korean Association (UKA) that expanded the Korean-American Brotherhood ba...
Riverside Korean Town was created in 1904 when Ahn Chang-ho opened a Korean labor agency here and accepted Koreans from Hawaii. Ahn Chang-ho and his comrades promoted the United Korean Association (UKA) that expanded the Korean-American Brotherhood based on the diaspora experiment in the Korean town, and organized the first branch of UKA in Riverside. Korean residents in Riverside consisted of families settling in and seasonal migrant workers, among which family migrants led the Korean society. Ahn Chang-ho s close associates, including Lee Gang, who created the Korean town in Riverside, later promoted UKA and the New Korean People s Association, and served as the leader of the UKA. They participated in the Shinmin-hoe (the New People s Association) organized by Ahn Chang-ho in Korea, and were dispatched to Manchuria and Russia as correspondents to spread the local branches of the UKA there. Riverside s Korean community established its framework around the Korean Labor Agency, and then diversified its bases into the local branch of the UKA and the Korean Mission. In the meantime, the diaspora model of the Korean community in North America was created with the triangular axis of the local branch of the UKA located at the peak of Korean autonomy, the Labor Agency, which was the base of economic life in the Korean community, and the Korean Church as the base of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After returning to Korea in 1907, Ahn Chang-ho developed the diaspora experiment in Riverside Korean Town into extensiv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encompassed cultural movement, educational & industrial movement, and political movement as a trinit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he refined the Korean immigrant s guidelines for life as the basic virtues of the New Nation, such as Musil Yeokhaeng and Jeongui Donsu. Later, Riverside s diaspora model became a ideal type in the construction of the oversea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ase in the 1910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1" 1968
2 최기영, "한국 근대 계몽운동 연구" 일조각 1997
3 장태한, "파차파 캠프" 성안당 2018
4 장규식, "초기 도미 이민자의 미국사회 자리잡기와 이중의 정체성-차의석의 이민 자서전을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46) : 377-417, 2014
5 김원용, "재미한인 오십년사" Reedley 1959
6 장규식, "일제하 미국유학생의 서구 근대체험과 미국문명 인식" 한국사연구회 (133) : 141-173, 2006
7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안도산전서(하)" 범양사 출판부 1993
8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안도산전서(중)" 범양사 출판부 1990
9 주요한, "안도산전서(상)" 범양사 출판부 1990
10 "신한민보"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1" 1968
2 최기영, "한국 근대 계몽운동 연구" 일조각 1997
3 장태한, "파차파 캠프" 성안당 2018
4 장규식, "초기 도미 이민자의 미국사회 자리잡기와 이중의 정체성-차의석의 이민 자서전을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46) : 377-417, 2014
5 김원용, "재미한인 오십년사" Reedley 1959
6 장규식, "일제하 미국유학생의 서구 근대체험과 미국문명 인식" 한국사연구회 (133) : 141-173, 2006
7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안도산전서(하)" 범양사 출판부 1993
8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안도산전서(중)" 범양사 출판부 1990
9 주요한, "안도산전서(상)" 범양사 출판부 1990
10 "신한민보"
11 박현환, "속편 도산 안창호" 삼협문화사 1954
12 이선주, "미주 한인사회와 독립운동 1" 미주한인 이민100주년 남가주 기념사업회 2003
13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도산 안창호전집 1~9" 2000
14 장규식, "도산 안창호의 민족주의와 시민사회론" 6 : 2000
15 장규식, "대한인국민회 업랜드·클레몬트지방회 사례를 통해 본 1910년대 북미 한인사회의 내면" 한국근현대사학회 (58) : 34-63, 2011
16 "공립신보"
17 장규식, "[단행본] 일제하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 연구" 혜안 200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정병호, 임성숙, 이주희이주와 디아스포라: 남아프리카의 사회변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김광수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