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요건으로서 동일성과 그 확보방법 =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and Ident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84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ge of digital revolution, so called third industrial revolution. we enjoy the convenience of digital devices such as computers, smart phones, etc. Digital technology is inseperable from our everyday life any more. The proportion of digital inf...

      In the age of digital revolution, so called third industrial revolution. we enjoy the convenience of digital devices such as computers, smart phones, etc. Digital technology is inseperable from our everyday life any more. The proportion of digital information from all information in the world is estimated at over 95%. With this trends, digital infor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ve criminal facts and digital evidence which is presented to the court in the criminal proceedings has increased rapidly. Therefore, digital forensic continues to increase its importance. Nowadays criminal investigaion is impossible without computer forensic or digital forensic. However, legal or institutional bases for digital evidence is not sufficient. So it is questionable whether we are ready for dealing with digital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 So far, most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procedural legality of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The issue of identification or integrity has been relatively less handled. Digital evidence is easy to forge, falsify, modify and delete, so it is hard to preserve the chain of custody.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have interests in the integrity of digital evidence. This paper deals with the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inter alia, identification or integrity as the requirement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It consists of 4 chapters. The main ideas lie in chapter 2 and chapter 3. Chapter 2 deals with the identification or integrity of digital evidence as the requirement of evidence. At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are laid out and the conditions of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are looked into. Next, the integrity as the requirement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are discussed in detail. Chapter 3 handles the methods to ensure the integrity of digital evidence. It is studied what kind of measures and process are to be taken for securing of identification or integrity of digital evidence, while law enforcement agencies such as police officers or prosecutors collect and preserve digital evidence. Subsequently, which way or process is desirable to confirm the identification. Several ways e.g. Manipulation Detection Code(MDC), Message Authentication Code(MAC), Public Key Infrastructure(PKI), and so forth have been suggested for securing the integrity of digital evidence. Each method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This paper proposes the combination of them. In this paper the issue of identification of digital evidence is dealt with roughly. To prove criminal facts truthfully and efficiently, the more studies on identification or integrity of digital should be made consiste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완규, "형사판례연구6" 형사판례연구6 2008

      2 양근원, "형사절차상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 2006

      3 노명선, "형사소송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4 박혁수, "해외연수검사논문집" 2009

      5 이상원, "전자증거와 원본증거의 법칙" 대검찰청 (36) : 50-104, 2012

      6 노명선, "전자적 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에 관한 몇 가지 검토" (16) : 2008

      7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제4판" 법문사 2012

      8 손동권, "새로이 입법화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제도에 관한 연구 - 특히 추가적 보완입법의 문제 -" 한국형사정책학회 23 (23): 325-349, 2011

      9 이완규, "디지털증거의 압수수색과 관련성 개념의 해석, ‘안전, 범죄 그리고 형사절차’" 2013

      10 전명길, "디지털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 한국법학회 (41) : 317-336, 2011

      1 이완규, "형사판례연구6" 형사판례연구6 2008

      2 양근원, "형사절차상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 2006

      3 노명선, "형사소송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4 박혁수, "해외연수검사논문집" 2009

      5 이상원, "전자증거와 원본증거의 법칙" 대검찰청 (36) : 50-104, 2012

      6 노명선, "전자적 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에 관한 몇 가지 검토" (16) : 2008

      7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제4판" 법문사 2012

      8 손동권, "새로이 입법화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제도에 관한 연구 - 특히 추가적 보완입법의 문제 -" 한국형사정책학회 23 (23): 325-349, 2011

      9 이완규, "디지털증거의 압수수색과 관련성 개념의 해석, ‘안전, 범죄 그리고 형사절차’" 2013

      10 전명길, "디지털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 한국법학회 (41) : 317-336, 2011

      11 강철하, "디지털 포렌식에서 디지털증거의 특성과 법적 쟁점" 법학연구원 19 (19): 29-67, 2012

      12 김영기, "디지털 증거의 진정성립부인과 증거능력 부여 방안"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9 : 509-539, 2011

      13 장상귀,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2009

      14 탁희성, "디지털 증거의 신뢰성 확보의 전제로서 디지털 포렌식에 대한 소고" 경찰학연구소 3 (3): 173-198, 2008

      15 조상수,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 보장 절차에 대한 개선" 한국정보과학회 39 (39): 184-191, 2012

      16 이주원,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제도의 개선" 안암법학회 (37) : 151-199, 2012

      17 탁희성, "디지털 분석도구를 이용한 증거능력확보방안" 형사정책연구원 2006

      18 심희기,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과 신빙성" (12) : 1999

      19 吳奇斗, "刑事節次上 컴퓨터 關聯證據의 수집 및 利用에 關한 硏究" 서울대 1997

      20 ACPO, "Good Practice Guide for Computer based Electronic Evidence"

      21 U.S. Department of Justice, "Forensic Examination of Digital Evidence : A Guide for Law Enforcement"

      22 U.S. Department of Justice, "Electronic Crime Scene Investigation: An On-the-Scene Reference for First Responders"

      23 NIJ, "Electronic Crime Scene Investigation : A Guide for First Respond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6 0.8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