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대상화 표현 연구 = A Study on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lassify the types of target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appearing in online space and examine their use. I analyzed the expression of object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 misogyn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is a discriminative expression in that it causes gender inequality. These expres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largely worshiping, insignificant, and unnecessary gender specificities. And they were subdivided by appearance, age, and 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is distorted, solidifies the discriminatory thinking, and makes the women self-censor.
      번역하기

      In this study classify the types of target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appearing in online space and examine their use. I analyzed the expression of object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 misogyn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xpressi...

      In this study classify the types of target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appearing in online space and examine their use. I analyzed the expression of object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 misogyn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is a discriminative expression in that it causes gender inequality. These expres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largely worshiping, insignificant, and unnecessary gender specificities. And they were subdivided by appearance, age, and 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is distorted, solidifies the discriminatory thinking, and makes the women self-cens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성과 관련된 대상화 표현의 유 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쓰임을 살펴 보았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미소 지니와 연관지어 대상화 표현을 분석하였다. 여성 대상화 표현은 성별 불평등을 초 래하는 차별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화란 인간을 인격체로 대우하지 않고, 객체 로 바라보고 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대상화 경험을 더 많이 하게 된다. 대상화 경험으로 인해 여성들은 관찰자의 관점에서 스스로를 바라보게 된다. 스스로를 감시하며 외모나 신체, 나이나 능력에 대해 불안감, 수치심을 가지게 되고 이는 결국 개인적⋅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대상화 표현 들을 크게 숭배, 비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숭배는 외모와 나이, 비하는 외 모, 나이, 능력, 역할을 기준으로 세분하였다. 여성 대상화 표현의 유형 분류와 온라 인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상 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상화 표현은 왜곡되고 차별적인 사고를 공고히 하며, 여성 스스로를 검열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성과 관련된 대상화 표현의 유 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쓰임을 살펴 보았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미소 지니와 연관지어 대상화...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성과 관련된 대상화 표현의 유 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쓰임을 살펴 보았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미소 지니와 연관지어 대상화 표현을 분석하였다. 여성 대상화 표현은 성별 불평등을 초 래하는 차별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화란 인간을 인격체로 대우하지 않고, 객체 로 바라보고 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대상화 경험을 더 많이 하게 된다. 대상화 경험으로 인해 여성들은 관찰자의 관점에서 스스로를 바라보게 된다. 스스로를 감시하며 외모나 신체, 나이나 능력에 대해 불안감, 수치심을 가지게 되고 이는 결국 개인적⋅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대상화 표현 들을 크게 숭배, 비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숭배는 외모와 나이, 비하는 외 모, 나이, 능력, 역할을 기준으로 세분하였다. 여성 대상화 표현의 유형 분류와 온라 인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상 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상화 표현은 왜곡되고 차별적인 사고를 공고히 하며, 여성 스스로를 검열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회 (115) : 197-243, 2016

      2 김대권,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들의 외모중시 현상과 스포츠산업" 한국사회체육학회 (59) : 169-185, 2015

      3 정복,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소통 2014

      4 윤김지영,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

      5 이정복, "인터넷 통신 공간의 여성 비하적 지시 표현"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215-247, 2010

      6 김수아,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79-317, 2015

      7 정다운,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17-345, 2018

      8 박성희, "여성스포츠 선수에 대한 미디어 보도 프레임: 성 역할 고정관념과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4 (54): 385-394, 2015

      9 우에노 지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5

      10 윤보라,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1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회 (115) : 197-243, 2016

      2 김대권,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들의 외모중시 현상과 스포츠산업" 한국사회체육학회 (59) : 169-185, 2015

      3 정복,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소통 2014

      4 윤김지영,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

      5 이정복, "인터넷 통신 공간의 여성 비하적 지시 표현"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215-247, 2010

      6 김수아,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79-317, 2015

      7 정다운,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17-345, 2018

      8 박성희, "여성스포츠 선수에 대한 미디어 보도 프레임: 성 역할 고정관념과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4 (54): 385-394, 2015

      9 우에노 지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5

      10 윤보라,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11 조태린, "사회적 의사소통 연구차별적, 비객관적 언어 표현 개선을 위한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6

      12 안상수, "사회적 의사소통 연구성차별적언어 표현 사례 조사 및 대안마련을 위한 연구" 국립국어원⋅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3 박동근, "법률 조문의 차별적 언어 표현 연구" 한말연구학회 (34) : 73-103, 2014

      14 손은정, "대상화 경험이 여성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399-417, 2006

      15 김민옥,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바라본 오정희의 「유년의 뜰」 - 혐오, 수치심, 연민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학회 40 : 199-232, 2018

      16 박동근, "공공언어의 차별적 표현에 차별 의식 연구" 한국입법정책학회 4 (4): 57-88, 2010

      17 Evangelia Papadaki, "객체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관점들" 전기가오리 2006

      18 이정우, "TV 광고 속 김연아와 그 명사성: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와 성 정체성의 재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1-17, 2009

      19 Szymanski, D.M,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dvances to Theory and Research" 39 (39): 6-38, 2011

      20 Fredrickson, B. L,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21 : 173-206, 1997

      21 Martha C. Nussbaum, "Objectification" 24 (24): 249-291, 1995

      22 이소의, "1980년대 이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하위주체 자기인식과 저항적 주체화" 영주어문학회 36 : 107-14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9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