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회 (115) : 197-243, 2016
2 김대권,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들의 외모중시 현상과 스포츠산업" 한국사회체육학회 (59) : 169-185, 2015
3 정복,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소통 2014
4 윤김지영,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
5 이정복, "인터넷 통신 공간의 여성 비하적 지시 표현"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215-247, 2010
6 김수아,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79-317, 2015
7 정다운,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17-345, 2018
8 박성희, "여성스포츠 선수에 대한 미디어 보도 프레임: 성 역할 고정관념과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4 (54): 385-394, 2015
9 우에노 지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5
10 윤보라,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1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회 (115) : 197-243, 2016
2 김대권,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들의 외모중시 현상과 스포츠산업" 한국사회체육학회 (59) : 169-185, 2015
3 정복,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소통 2014
4 윤김지영,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
5 이정복, "인터넷 통신 공간의 여성 비하적 지시 표현"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215-247, 2010
6 김수아,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79-317, 2015
7 정다운,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17-345, 2018
8 박성희, "여성스포츠 선수에 대한 미디어 보도 프레임: 성 역할 고정관념과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4 (54): 385-394, 2015
9 우에노 지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5
10 윤보라,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11 조태린, "사회적 의사소통 연구차별적, 비객관적 언어 표현 개선을 위한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6
12 안상수, "사회적 의사소통 연구성차별적언어 표현 사례 조사 및 대안마련을 위한 연구" 국립국어원⋅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3 박동근, "법률 조문의 차별적 언어 표현 연구" 한말연구학회 (34) : 73-103, 2014
14 손은정, "대상화 경험이 여성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399-417, 2006
15 김민옥,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바라본 오정희의 「유년의 뜰」 - 혐오, 수치심, 연민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학회 40 : 199-232, 2018
16 박동근, "공공언어의 차별적 표현에 차별 의식 연구" 한국입법정책학회 4 (4): 57-88, 2010
17 Evangelia Papadaki, "객체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관점들" 전기가오리 2006
18 이정우, "TV 광고 속 김연아와 그 명사성: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와 성 정체성의 재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1-17, 2009
19 Szymanski, D.M,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dvances to Theory and Research" 39 (39): 6-38, 2011
20 Fredrickson, B. L,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21 : 173-206, 1997
21 Martha C. Nussbaum, "Objectification" 24 (24): 249-291, 1995
22 이소의, "1980년대 이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하위주체 자기인식과 저항적 주체화" 영주어문학회 36 : 107-142,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