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현장의 교사가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토대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99902
2012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457-465(9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현장의 교사가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토대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
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현장의 교사가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토대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1년 수도권 소재의 Y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5학년 학생 3명과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부모 3명 그리고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3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신체활동의 다양한 가치 체험〔학생들의 건강 및 체력의 향상, 학교생활의 적극성 강화, 신체적 자기개념 및 효능감 증진〕, 학교체육과 생활체육과의 만남, 교육복지 실현: 교육격차의 해소, 체육문화에의 입문 등이 도출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ing on the educational values in after school physical programs.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in grades 5 (3), after school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sports activities (3), after school sports activities led by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ing on the educational values in after school physical programs.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in grades 5 (3), after school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sports activities (3), after school sports activities led by experienced teachers in three of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coded for domain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various values of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meeting with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educational welfare: the elimination of educational disparities, physical culture, introductory appear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문수, "초등체육수업론" 교육과학사 2012
2 유정애, "초․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3 이용식, "즐거운 일본의 방과 후 체육활동" 21 : 10-, 2005
4 이수형,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신체적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표내숙,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의 차이" 47 (47): 221-243, 2008
6 표내숙,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359-374, 2009
7 나명흔, "중등학생의 체육 특기, 적성 교육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675-682, 2005
8 이승희,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멘토링 경험과 운동성취에 대한 인과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95-114, 2009
9 박정화, "아동의 방과 후 스포츠 종목과 참여 수준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35-545, 2009
10 류태호, "성과 운동참가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63-78, 2002
1 고문수, "초등체육수업론" 교육과학사 2012
2 유정애, "초․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3 이용식, "즐거운 일본의 방과 후 체육활동" 21 : 10-, 2005
4 이수형,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신체적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표내숙,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의 차이" 47 (47): 221-243, 2008
6 표내숙,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359-374, 2009
7 나명흔, "중등학생의 체육 특기, 적성 교육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675-682, 2005
8 이승희,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멘토링 경험과 운동성취에 대한 인과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95-114, 2009
9 박정화, "아동의 방과 후 스포츠 종목과 참여 수준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35-545, 2009
10 류태호, "성과 운동참가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63-78, 2002
11 정지혜, "방과 후 학교교육활동이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학교적응,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24 : 17-38, 2008
12 이승희, "방과 후 체육활동참가 중학생의 참가동기와 스포츠태도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9 (49): 103-113, 2010
13 이경관, "방과 후 체육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6 (46): 795-802, 2007
14 J. P. Spradley,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2003
15 최대식, "남자중학생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6 G. J. Welk, "Physical activity protects against the health risks of obesity" President'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and Sports 2000
17 Ulrich, "Perceptions of Physical competence, motor competence, and participation in organised sport. Their interrelationships in young children" 58 : 57-67, 1987
18 American Obesity Association, "Obesity in Youth, Vol.18" Auther
19 R. Hyatt, "Intramural Sport" The C. V. Mosby co 1977
20 M. M. Smyth, "Coping with clumsiness in the school playground: Social and physical play in children with coordination impairments" 18 : 389-413, 2000
단독주택의 자연적 감시 확보가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드 브루인 수열을 이용한 효과적인 위치 인식 마커 구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