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과서의 역할 및 공교육 활성화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299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ole of the textbook in
      solving the killer problems that are classified as high-level questions in
      the Korean-Scholastic Ability Test (K-SAT) and to suggest how to
      promote public education for students to be able to solve those problems
      through it. We conduct our study based on '나' and 'A' type of
      mathematics area of the K-SAT, analyze the killer problems of the
      K-SAT in the last five years, and study three kinds of textbooks in view
      of thesis problems.
      In this thesis, we analyze in three steps whether the killer problems can
      be solved only with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With the
      conclusion that it is hard to solve killer problems in K-SAT only with
      textbook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 mathematics teachers to get
      some solution to improve classroom education using textbook.
      The result of the survey gives us two messages: Firstly, textbooks
      should be revised to assist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
      reasoning skills, and to facilitate convergence among various concepts.
      Secondly, it is required to promote customized studies,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K-SAT, and to create a collaborative environment
      among parents, teachers,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to boost public
      confidence on public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ole of the textbook in solving the killer problems that are classified as high-level questions in the Korean-Scholastic Ability Test (K-SAT) and to suggest how to promote public education for students to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ole of the textbook in
      solving the killer problems that are classified as high-level questions in
      the Korean-Scholastic Ability Test (K-SAT) and to suggest how to
      promote public education for students to be able to solve those problems
      through it. We conduct our study based on '나' and 'A' type of
      mathematics area of the K-SAT, analyze the killer problems of the
      K-SAT in the last five years, and study three kinds of textbooks in view
      of thesis problems.
      In this thesis, we analyze in three steps whether the killer problems can
      be solved only with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With the
      conclusion that it is hard to solve killer problems in K-SAT only with
      textbook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 mathematics teachers to get
      some solution to improve classroom education using textbook.
      The result of the survey gives us two messages: Firstly, textbooks
      should be revised to assist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
      reasoning skills, and to facilitate convergence among various concepts.
      Secondly, it is required to promote customized studies,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K-SAT, and to create a collaborative environment
      among parents, teachers,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to boost public
      confidence on public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분류되는 킬러 문항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과서의 역할 정도를 알아보고 공교육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수능시험 수학 영역의 ‘나’형, ‘A’형을 기준으로 진행하였으며, 최근 5년 동안 치러진 수능시험의 킬러 문항 14문항을 분석하였고, 세 종류의 출판사 교과서를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만으로 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의 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만으로는 수능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는 결론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수학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한 결과는 첫째 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문제해결력, 추론능력을 기를 수 있고 개념 간의 융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가 개편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 수준별 수업의 활성화, 수능 난이도의 변화 그리고 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학부모, 교사, 대학, 정부의 협업적 환경 마련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분류되는 킬러 문항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과서의 역할 정도를 알아보고 공교육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수능시험...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분류되는 킬러 문항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과서의 역할 정도를 알아보고 공교육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수능시험 수학 영역의 ‘나’형, ‘A’형을 기준으로 진행하였으며, 최근 5년 동안 치러진 수능시험의 킬러 문항 14문항을 분석하였고, 세 종류의 출판사 교과서를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만으로 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의 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만으로는 수능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는 결론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수학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한 결과는 첫째 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문제해결력, 추론능력을 기를 수 있고 개념 간의 융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가 개편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 수준별 수업의 활성화, 수능 난이도의 변화 그리고 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학부모, 교사, 대학, 정부의 협업적 환경 마련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