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일반물리학 교재에 나타난 마찰력 관련 서술의 특징: 요철설과 응착설을 중심으로 = Features of the Description of Friction in Introductory Physics Textbooks with a Focus on the Interlocking and the Adhesion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5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th the interlocking and the adhesion theories hav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friction. Friction is a force that is not fully understood by us even today. In addition, each theory alone cannot explain the mechanism of friction completely b...

      Both the interlocking and the adhesion theories hav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friction.
      Friction is a force that is not fully understood by us even today. In addition, each theory alone cannot explain the mechanism of friction completely because the detailed mechanism of friction is very complicated. However, current introductory physics textbooks only include adhesion theory.
      Also, in many cases, textbooks present approximate experimental results for friction as complete results. We can help students’ understanding of friction by using other conflict theories rather than only one complete theory. We can als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of friction by explaining, how the two complementary theories of friction were developed. In addition, we need to emphasize that the rules of friction are approximate results and that the rules have limitations because the rules only agree with simple models. This might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pursue a modern understanding of fri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마찰력의 발전 과정에서 요철설, 응착설은 서로 상보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아직도 어느 하나의 이론만으로는 마찰력의 기작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불가능하다. 즉, 마찰력이 작용하는 세부...

      마찰력의 발전 과정에서 요철설, 응착설은 서로 상보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아직도 어느 하나의 이론만으로는 마찰력의 기작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불가능하다. 즉, 마찰력이 작용하는 세부적인 기작은 너무나도 복잡하여 마찰력은 오늘날까지도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은 힘이며 아직도 마찰력에 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현행 일반 물리 교재들의 마찰력에 대한 서술을 분석해보면, 요철설에 대한 언급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고, 대부분 응착설에 대한 서술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마찰력과 관련된 근사적이며 실험적인 결과들을 완전한 실험적 결과로 다루고 있는 경우도 많다. 물리학적 내용을 서술할 때 하나의 이론만 다루는 것보다, 대립되는 의견을 함께 다루어 줄 때 학생들의 내용이해를 도울 수 있다. 특히 마찰력 개념은 오래 전부터 대립적인 의견들 사이의 상보적인 충돌 과정을 통해서 발달했기 때문에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잘 활용한다면 마찰력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간단한 모형에서만 성립하는 마찰력에 대한 여러 경험 법칙들에 대해서도 결과론적인 서술만 다루기보다는 이 법칙들이 성립하는 제한조건과 함께, 그 결과들이 근사적인 결과임을 강조하여 서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은 마찰력에 대한 현대적인 이해로 나아가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 Besson, 75 : 1106-, 2007

      2 J. Park, 18 : 209-, 1998

      3 T. P. Doerr, 39 : 486-, 2001

      4 D. Hestenes, 60 : 732-, 1992

      5 J. -W. Kim, 17 : 31-, 1997

      6 M. Niaz, 86 : 505-, 2002

      7 M. Urbakh, 430 : 525-, 2004

      8 P. A. Thompson, 250 : 792-, 1990

      9 J. Klein, 98 : 56101-, 2007

      10 K. Johnson, 5 : 155-, 1998

      1 U. Besson, 75 : 1106-, 2007

      2 J. Park, 18 : 209-, 1998

      3 T. P. Doerr, 39 : 486-, 2001

      4 D. Hestenes, 60 : 732-, 1992

      5 J. -W. Kim, 17 : 31-, 1997

      6 M. Niaz, 86 : 505-, 2002

      7 M. Urbakh, 430 : 525-, 2004

      8 P. A. Thompson, 250 : 792-, 1990

      9 J. Klein, 98 : 56101-, 2007

      10 K. Johnson, 5 : 155-, 1998

      11 J. Y. Park, 114 : 677-, 2013

      12 M. Urbakh, 9 : 8-, 2010

      13 U. Besson, 22 : 1001-, 2013

      14 M. H. Muser, 86 : 1295-, 2001

      15 J. Krim, 70 : 890-, 2002

      16 M. Tseitlin, 14 : 235-, 2005

      17 M. Monk, 81 : 405-, 1997

      18 R. Justi, 22 : 993-, 2000

      19 A. Stinner, 29 : 77-, 1994

      20 J. Song, 27 : 87-, 1997

      21 P. S. Carvalho, 40 : 257-, 2005

      22 A. Salazar, 25 : 82-, 1990

      23 J. Ringlein, 72 : 884-, 2004

      24 J. F. Reichert, 39 : 29-, 2001

      25 D. Ludwigsen, 47 : 158-, 2009

      26 A. Pinto, 36 : 250-, 2001

      27 M. R. Matthews, 35 : 161-, 1998

      28 S. G. Brush, 20 : 60-, 1989

      29 김영민, "중·고등학생의 마찰력 개념 이해의 어려움 분석과 한 가지 지도전략의 제안" 한국물리학회 63 (63): 1077-1084, 2013

      30 하상우, "주간보고서에 나타난 전공역학 수강생들의 마찰력에 대한 어려움과 그 어려움의 원인 구조" 한국물리학회 61 (61): 840-849, 2011

      31 홍성욱, "마찰력과 관련된 기본 역학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물리학회 60 (60): 142-149, 2010

      32 강석진,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996-1007, 2004

      33 H. D. Young, "University Physics" Addison-Wesley 2008

      34 H. Benson, "University Physics" John Wiley & Sons 1996

      35 The Korean Physical Society, "Transparent Physics:Leaping Force and Motion"

      36 M. R. Matthews, "Time for Science Education: How Teach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Pendulum Motion Can Contribute to Science Literacy" Springer 2000

      37 R. P. Feynman,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Addison-Wesley 2006

      38 A. B. Arons, "Teaching Introductory Physics" John Wiley & Sons 1997

      39 S. Norimune, "Story of Friction" Iwanami 1971

      40 B. N. J. Persson, "Sliding Friction: Physic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Springer 2000

      41 M. R. Matthews,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1994

      42 R. A. Serway, "Principles of Physics: A Calculus-based Text" Brooks Cole 2013

      43 H. Chang, "Invent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cientific Progr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4 B. Bhushan, "Introduction to Tribology" John Wiley & Sons 2002

      45 D. Halliday, "Fundamentals of Physics" 2011

      46 K. C. Ludema, "Friction, Wear, Lubrication: A Textbook in Tribology" CRC Press 1996

      47 R. D. Knight, "College Physics: A Strategic Approach" Addison-Wesley/Pearson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