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용자중심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례 및 방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6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전, 모바일기기 등 제품디자인의 영역은 과거 제품의 형상, 칼라, 재질 등 단순 외관 위주에서 벗어나 사용성, 사용자 경험 등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가치를 줄 수 있는 무형의 영역으로 까지 확대 되었으며 이러한 사용자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이해관계 및 요구(Needs)가 존재하는 공공디자인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중심의 행정적 편의와 효율성이 우선시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중심 디자인의 이해와 다양한 공공디자인 개발사례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급자중심이 아닌 사용자중심의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 제품디자인과는 다른 독특한 가로공공시설물의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여 새롭게 재설정하고 사용자를 위한 가로공공시설물의 다양한 컨텐츠 개발사례 및 사용자가 공공시설물 개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디자인개발 프로세스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과정을 통해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개발에 있어 시설물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시민은 물론 생산, 설치 및 관리를 담당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는 사용자의 재설정이 중요하고 둘째, 시설물의 외관만이 아닌 사용성과 사용자 경험 등 무형의 컨텐츠를 통한 지속가능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 및 공공분야의 디자인개발 단계에 다양한 사용자가 직접 참여 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세스의 제안을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가전, 모바일기기 등 제품디자인의 영역은 과거 제품의 형상, 칼라, 재질 등 단순 외관 위주에서 벗어나 사용성, 사용자 경험 등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가치를 줄 수 있는 무형의 영역으로 까...

      가전, 모바일기기 등 제품디자인의 영역은 과거 제품의 형상, 칼라, 재질 등 단순 외관 위주에서 벗어나 사용성, 사용자 경험 등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가치를 줄 수 있는 무형의 영역으로 까지 확대 되었으며 이러한 사용자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이해관계 및 요구(Needs)가 존재하는 공공디자인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중심의 행정적 편의와 효율성이 우선시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중심 디자인의 이해와 다양한 공공디자인 개발사례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급자중심이 아닌 사용자중심의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 제품디자인과는 다른 독특한 가로공공시설물의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여 새롭게 재설정하고 사용자를 위한 가로공공시설물의 다양한 컨텐츠 개발사례 및 사용자가 공공시설물 개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디자인개발 프로세스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과정을 통해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개발에 있어 시설물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시민은 물론 생산, 설치 및 관리를 담당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는 사용자의 재설정이 중요하고 둘째, 시설물의 외관만이 아닌 사용성과 사용자 경험 등 무형의 컨텐츠를 통한 지속가능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 및 공공분야의 디자인개발 단계에 다양한 사용자가 직접 참여 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세스의 제안을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ea of industrial design such as home-appliance and mobile-device has been expanded to not only the simple appearance such as shape, color and material but also the intangible area of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to provide more value. And this importance of user-centered design has been increased too.
      But, The reason why public design included the complicated stake-holders and diverse needs for the many and unspecified users, it is regarded the more necessary and important the supplier but the usercentered design perspective for the public design that tend to be stressed the administration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detail and practical direction for the user-centered public facility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que user characteristics and case studies of diverse contents development for the public design.
      For these, this study has defined the user characteristics for the public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different form the general product design and suggested the developing process of public facility that user is able to participate and various contents developing case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is study has suggested three concrete direction and conclusion.
      First, the customer set-up involved consideration for the various stake-holders who in charge of the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s well as regular citizen is important.
      Second, the sustainable public facility design with the various contents included the physical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products is necessary.
      And last,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user centered design process that is able to involve directly at the early design stage for the public design area.
      번역하기

      The area of industrial design such as home-appliance and mobile-device has been expanded to not only the simple appearance such as shape, color and material but also the intangible area of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to provide more value. And this ...

      The area of industrial design such as home-appliance and mobile-device has been expanded to not only the simple appearance such as shape, color and material but also the intangible area of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to provide more value. And this importance of user-centered design has been increased too.
      But, The reason why public design included the complicated stake-holders and diverse needs for the many and unspecified users, it is regarded the more necessary and important the supplier but the usercentered design perspective for the public design that tend to be stressed the administration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detail and practical direction for the user-centered public facility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que user characteristics and case studies of diverse contents development for the public design.
      For these, this study has defined the user characteristics for the public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different form the general product design and suggested the developing process of public facility that user is able to participate and various contents developing case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is study has suggested three concrete direction and conclusion.
      First, the customer set-up involved consideration for the various stake-holders who in charge of the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s well as regular citizen is important.
      Second, the sustainable public facility design with the various contents included the physical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products is necessary.
      And last,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user centered design process that is able to involve directly at the early design stage for the public design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문제의 발견 (Discover)
      • Ⅲ. 개발사례 및 아이디어 수립 (Define)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문제의 발견 (Discover)
      • Ⅲ. 개발사례 및 아이디어 수립 (Define)
      • Ⅳ. 방향 및 해결책 구체화 (Develop)
      • Ⅴ. 결론 (Deliver)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표현명, "서비스디자인 이노베이션" 안그라픽스 2012

      2 마르크 스틱도른,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2

      3 서비스디자인코리아, "서비스디자인" 청어 2011

      4 윤성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2

      5 디자인 서울 총괄본부,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2009

      6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7 디자인총괄추진단, "경기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경기도 2010

      8 홍상희, "가로시설물에 대한 공공물로서의 개념정립과 디자인요소의 추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 (12): 35-45, 2006

      9 "www.servicedesign.or.kr"

      10 "www.kidp.org"

      1 표현명, "서비스디자인 이노베이션" 안그라픽스 2012

      2 마르크 스틱도른,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2

      3 서비스디자인코리아, "서비스디자인" 청어 2011

      4 윤성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2

      5 디자인 서울 총괄본부,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2009

      6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7 디자인총괄추진단, "경기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경기도 2010

      8 홍상희, "가로시설물에 대한 공공물로서의 개념정립과 디자인요소의 추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 (12): 35-45, 2006

      9 "www.servicedesign.or.kr"

      10 "www.kidp.org"

      11 "http://shopping.g2b.go.kr"

      12 "http://design.gg.go.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