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읍줄풍류(井邑줄風流) 본령산(本靈山)의 대금(大笒) 음조직 고찰 = A Research on the Tonal Structures of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geup Julpungnyu has widely influenced the chamber music in Yeongnam (Gyeongsang-do) and Honam regions (Jeolla-do) without confining the range to its indigenous music. Its musicality is significant considering its musical features, performers, and influences over the pungnyu activities in different regions. Sangyeongsan, the first piece also known as Bonnyeongsan, is the starting point played from the main piece to the last four pieces of the suite, which is a significant piece that influenced other derivatives of Yeongsanhoisang.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Jeongeup Julpungnyu and the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partly including the daegeum melodies by Shin Dal-lyong who is known to have initiated Jeon Gye-mun into the pungnyu daegeum melodies, in order to study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The analyses include the tonal system implied in the daegeum melodies of Bonnyeongsan, that is, the structure tone, the tonal center, the scale, the beginning and terminating ton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eatures of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s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re 6 musical symbols for ornaments for the 12 keys presented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nd the 10 keys in Sangyeongsan of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Only one symbol, nire (∧) is used in Bonnyeongsan. The main key of Bonnyeongsan is󰡐do󰡑(the Hwang key) while that of Sangyeongsan is󰡐mi󰡑(the Jung key).
      Secondly, the basic 7 keys of Bonnyeongsan and Sangyeongsan are sol, la, do re, mi, sol', la'. Although both pieces extend the 7 keys to an octave higher ones two times, the consequences are different. Sangyeongsan resultingly uses only 10 keys excluding the octave higher sol' and la' whereas Bonnyeongsan uses 12 keys. Bonnyeongsan is similar to Sangyeongsan in the tonal system but reveals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basic keys in appearance, the tonal extension, and the usage of ornaments.
      번역하기

      Jeongeup Julpungnyu has widely influenced the chamber music in Yeongnam (Gyeongsang-do) and Honam regions (Jeolla-do) without confining the range to its indigenous music. Its musicality is significant considering its musical features, performers, and ...

      Jeongeup Julpungnyu has widely influenced the chamber music in Yeongnam (Gyeongsang-do) and Honam regions (Jeolla-do) without confining the range to its indigenous music. Its musicality is significant considering its musical features, performers, and influences over the pungnyu activities in different regions. Sangyeongsan, the first piece also known as Bonnyeongsan, is the starting point played from the main piece to the last four pieces of the suite, which is a significant piece that influenced other derivatives of Yeongsanhoisang.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Jeongeup Julpungnyu and the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partly including the daegeum melodies by Shin Dal-lyong who is known to have initiated Jeon Gye-mun into the pungnyu daegeum melodies, in order to study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The analyses include the tonal system implied in the daegeum melodies of Bonnyeongsan, that is, the structure tone, the tonal center, the scale, the beginning and terminating ton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eatures of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s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re 6 musical symbols for ornaments for the 12 keys presented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nd the 10 keys in Sangyeongsan of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Only one symbol, nire (∧) is used in Bonnyeongsan. The main key of Bonnyeongsan is󰡐do󰡑(the Hwang key) while that of Sangyeongsan is󰡐mi󰡑(the Jung key).
      Secondly, the basic 7 keys of Bonnyeongsan and Sangyeongsan are sol, la, do re, mi, sol', la'. Although both pieces extend the 7 keys to an octave higher ones two times, the consequences are different. Sangyeongsan resultingly uses only 10 keys excluding the octave higher sol' and la' whereas Bonnyeongsan uses 12 keys. Bonnyeongsan is similar to Sangyeongsan in the tonal system but reveals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basic keys in appearance, the tonal extension, and the usage of orna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읍줄풍류는 지역의 줄풍류에 국한되지 않고 영・호남지역의 풍류에 영향을 끼친 줄풍류이다.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활동한 인물 그리고 지역의 풍류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고려하면,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중요성은 높다. 정읍줄풍류의 첫 번째 곡 상령산(上靈山) 즉, 본령산(本靈山)는 본풍류에서 뒷풍류까지 연주된 악곡의 출발점이며, 영산회상 관련 파생곡들에 영향을 준 중요한 악곡이다.
      본 연구는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대금 음조직을 연구하기 위하여 정읍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계문의 풍류대금 가락을 전수한 것으로 알려진 신달룡의 대금 가락도 일부 포함하였다. 본령산 대금선율에 함의된 음조직(Tonal System) 즉, 출현음ㆍ골격음(Structure Tone)ㆍ주음(Tonal Center)ㆍ음계(音階)ㆍ음의 시종(始終)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에 출현하는 대금 음조직의 특징은 첫째, 정읍 본령산 12음과 국악원 상령산 10음에 해당하는 출현음에 사용하는 장식음에 관한 악상기호는 총 6종이다. 본령산에서는 니레(∧)만 사용되었다. 둘째, 정읍 본령산 핵음은 黃, 국악원 상령산은 仲이다. 셋째, 본령산과 상령산의 기본 7음은 㑣ㆍ㒇ㆍ黃ㆍ太ㆍ仲ㆍ林ㆍ無 이다. 본령산과 상령산의 음은 7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위의 음으로 확장되는 현상이 각각 2회 나타나지만, 확장의 결과는 상이하다. 확장의 결과 본령산은 12음을 사용하지만 상령산은 10음에 그치고 있다. 상령산에서 淋ㆍ潕음은 사용하지 않았다.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음조직은 국립국악원 상령산과 유사하지만 기본음의 출현빈도와 음의 확장 그리고 주요 시김새의 사용방법 등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번역하기

      정읍줄풍류는 지역의 줄풍류에 국한되지 않고 영・호남지역의 풍류에 영향을 끼친 줄풍류이다.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활동한 인물 그리고 지역의 풍류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고려하...

      정읍줄풍류는 지역의 줄풍류에 국한되지 않고 영・호남지역의 풍류에 영향을 끼친 줄풍류이다.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활동한 인물 그리고 지역의 풍류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고려하면,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중요성은 높다. 정읍줄풍류의 첫 번째 곡 상령산(上靈山) 즉, 본령산(本靈山)는 본풍류에서 뒷풍류까지 연주된 악곡의 출발점이며, 영산회상 관련 파생곡들에 영향을 준 중요한 악곡이다.
      본 연구는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대금 음조직을 연구하기 위하여 정읍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계문의 풍류대금 가락을 전수한 것으로 알려진 신달룡의 대금 가락도 일부 포함하였다. 본령산 대금선율에 함의된 음조직(Tonal System) 즉, 출현음ㆍ골격음(Structure Tone)ㆍ주음(Tonal Center)ㆍ음계(音階)ㆍ음의 시종(始終)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에 출현하는 대금 음조직의 특징은 첫째, 정읍 본령산 12음과 국악원 상령산 10음에 해당하는 출현음에 사용하는 장식음에 관한 악상기호는 총 6종이다. 본령산에서는 니레(∧)만 사용되었다. 둘째, 정읍 본령산 핵음은 黃, 국악원 상령산은 仲이다. 셋째, 본령산과 상령산의 기본 7음은 㑣ㆍ㒇ㆍ黃ㆍ太ㆍ仲ㆍ林ㆍ無 이다. 본령산과 상령산의 음은 7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위의 음으로 확장되는 현상이 각각 2회 나타나지만, 확장의 결과는 상이하다. 확장의 결과 본령산은 12음을 사용하지만 상령산은 10음에 그치고 있다. 상령산에서 淋ㆍ潕음은 사용하지 않았다.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음조직은 국립국악원 상령산과 유사하지만 기본음의 출현빈도와 음의 확장 그리고 주요 시김새의 사용방법 등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상숙, "호남풍류의 전승사 및 음악적 특징" 국립민속국악원 2005

      2 문화재청, "향제줄풍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999

      3 권희진, "향제 줄풍류의 가야금 선율 비교 분석 : 군산, 경주, 정읍 풍류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0

      4 전주희,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고찰 : 거문고가락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5 박영배, "전용선 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의 음악 비교 연구"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6 임미선, "전북 향제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사" 한국국악학회 33 : 97-134, 2003

      7 임재원, "산조전집" 뿌리깊은나무 1989

      8 정예슬, "국립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줄풍류의 뒷풍류 비교연구 : 호남풍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 문주석, "강백천류 대금산조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진양․중모리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음악학회 2002

      10 이슬기, "가야금 줄풍류의 전승 지역별 음악적 특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 남상숙, "호남풍류의 전승사 및 음악적 특징" 국립민속국악원 2005

      2 문화재청, "향제줄풍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999

      3 권희진, "향제 줄풍류의 가야금 선율 비교 분석 : 군산, 경주, 정읍 풍류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0

      4 전주희,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고찰 : 거문고가락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5 박영배, "전용선 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의 음악 비교 연구"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6 임미선, "전북 향제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사" 한국국악학회 33 : 97-134, 2003

      7 임재원, "산조전집" 뿌리깊은나무 1989

      8 정예슬, "국립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줄풍류의 뒷풍류 비교연구 : 호남풍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 문주석, "강백천류 대금산조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진양․중모리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음악학회 2002

      10 이슬기, "가야금 줄풍류의 전승 지역별 음악적 특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1 류지연, "가야금 줄풍류 형성에 관한 연구 : 가즌회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韓國古音盤硏究會, "韓國音盤學" 韓國古音盤硏究 1999

      13 國立國樂院, "大笒正樂譜" 國立國樂院 2016

      14 최헌, "國樂理論硏究成果檢討-音組織論을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회 2002

      15 鄭坰兌, "國樂譜" 普光出版社 1955

      16 崔玄植, "井邑鄕制줄風流" 井邑文化院 2000

      17 "http://www.jeongeup.go.kr/culture/index.jeongeup?menuCd=DOM_000000601005005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