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토지이용변화는 동북아시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 대륙의 사막화는 황사 등 우리나라의 기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한 분석을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86897
2023
-
530
KCI등재
학술저널
65-75(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토지이용변화는 동북아시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 대륙의 사막화는 황사 등 우리나라의 기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한 분석을 통...
중국의 토지이용변화는 동북아시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 대륙의 사막화는 황사 등 우리나라의 기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의 사막화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내 8개 도시(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루무치, 충칭, 우한, 위린)에서 SPI, GEVI, SPEI 등 3개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SPI와 SPEI간에는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EVI는 상관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사막화를 유발할 수 있는 장기가뭄에 대해서는 각 지수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970년 이후 10년 간격으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기간을 비교하였다. 1970년대와 90년대에는 중국 전역에서 가뭄이 심하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뭄일수의 증가 등 가뭄이 심화되고 있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사막화는 강우량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변화, 수자원 이용량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중국의 사막화 평가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ing land use patterns in China may result in adverse impacts on the climate in Northeast Asia. In particular, desertification of the Chinese mainland can als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limate in South Korea, such as the occurrence of y...
Changing land use patterns in China may result in adverse impacts on the climate in Northeast Asia. In particular, desertification of the Chinese mainland can als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limate in South Korea, such as the occurrence of yellow dust storms. This study aimed to forecast the desertification in China through a comprehensive drought analysis. Three drought indices namely, SPI, GEVI, and SPEI, were determined for eight cities in China namely, Beijing, Guangzhou, Shanghai, Xianyang, Urumqi, Chongqing, Wuhan, and Weihai.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PI and SPEI, while GEVI showed a slightly lower correlation. The long-term droughts that can trigger desertification exhibited high correlations among the considered indices.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periods of severe drought occurrence were compared in ten-year intervals since 1970. It was observed that severe droughts occurred throughout China in the 1970s and 1990s. However, there was no apparent trend in increasing drought days or worsening drought conditions. Desertification in China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the rainfall but also by the changes in land use pattern and exploitation of water resource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deemed necessary to evaluate desertification in China.
목차 (Table of Contents)
갈수기 수질과 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수 관리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TK 산출 프로그램 개발
섬진강 유역의 물 이용 특성 분석을 통한 수요관리(유수율 제고) 정량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