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삼국유사』 信忠掛冠條의 몇 가지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881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효성왕은 신충을 잊지 않겠다 해놓고는 즉위 뒤 논공행상에서 빠뜨렸다. 신충은 원망하여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더니 나무가 시들어버렸다. 이에 추후로 조처하자 나무가 되살아났다고...

      효성왕은 신충을 잊지 않겠다 해놓고는 즉위 뒤 논공행상에서 빠뜨렸다. 신충은 원망하여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더니 나무가 시들어버렸다. 이에 추후로 조처하자 나무가 되살아났다고 한다. 신충은 효성왕 3년에 중시에 임명되고, 경덕왕 16년에는 상대등이 된다. 순리적으로 생각하면 를 지은 시기는 효성왕 3년 이전이 될 것이다. 그런데 원가가 반드시 신충ㆍ효성왕에 얽힌 노래라는 단서도 없고, 그 내용 또한 원망ㆍ원한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木異[나무에 생긴 이변] 모티프의 한 배경설화로 설정되었다고 보는 편이 진실에 가까울 것이다.
      부당한 처우를 받은 신하의 원한이 풀린 증거물로는 이름만 보아도 짐작이 가는 折怨堂이 있다. 신문왕이 사죄의 뜻으로 (신충)봉성사를 지어주었기 때문에 비로소 지어진 건물이다. 이것 역시 잣나무이야기와 같은 모티프로서, 시대만 거슬러 成典寺院의 하나인 봉성사 창건연대에 맞추었다. 신충 기록은 효성ㆍ경덕왕대에 등장하니 절원당ㆍ신충봉성사 이야기는 신충의 봉성사가 익히 알려진 기존의 봉성사에 겹쳐진 설화라 하겠다.
      이순은 경덕왕 7년에 지리산에 들어가 단속사를 세웠다. 경덕왕 22년에는 이순이 時政을 諫했는데 앞서의 입산 기사도 22년조 기사의 서두에 함께 실렸다. 이 해는 신충이 상대등에서 물러난 해이기도 하다. 신충이 세상과 인연을 끊고‘[斷俗] 봉성사를 지었다면 이 해가 기준이 될 것이다. 바로 신충과 이순, 봉성사와 단속사가 착종되는 대목이다. 이순을 신충으로 대체시켜 기술한 史書로는 이미 『(전)삼국사』가 있고, 이를 일연은 그대로 옮겨놓아 문제를 만들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Hyoseong promised not to forget Sinchung but after he accended the throne left Sinchung out when public recognition was made of meritorious retainers services. Sinchung composed a poem of grudge against the king and pasted it to the big white pin...

      King Hyoseong promised not to forget Sinchung but after he accended the throne left Sinchung out when public recognition was made of meritorious retainers services. Sinchung composed a poem of grudge against the king and pasted it to the big white pine, which suddenly withered. Thereupon, after dealing with the matter, it is said that the big white pine was restored to life again. In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Hyoseong Sinchung was appointed jungsi(prime minister) and in the l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Sinchung becomes sangdaedung(vice king). Thinking rationably, the time Sinchung wrote the poem of grudge should be before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Hyoseong. But there is no clue that the poem of g겨dge is related to Sinchung or King Hyoseong and the contents itself are far from grudge or resentment. Therefore interpreting it as a background narrative of the tree transformation motif would be closer to reality.
      The evidence that the grudge that a mistreated retainer had toward his king had been resolved is the obvious sounding ‘resolving grudge hall’. This hall was built as part of (Sinchung)Bongseong temple by King Sinmun in repentance. This is the same motif as the big white pine narrative, only that the time frame has been adjusted to the time of foundation of Bongseong temple, an important national temple. The accounts of Sinchung appear during the reigns of King Hyoseong and Gyeongdeok, the narrative of the resolving grudge hall and Sinchungs Bongseong temple was made to overlap with the already well known Bongseong temple.
      In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Lee Soon entered Jiri mountian and erected Dansok(Retirement from the World) Temple.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Lee Soon remonstrated with the king concerning current policy and the aforementioned retiring into the mountain account also appears at the forefront of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This is the same year that Sinchung retired from the post of sangdaedung. If Sinchung retired from the world and built Bongseong temple, this year would be the standard. This is the vital point where Sinchung and Lee Soon, Bongseong temple and Dansok temple converge. An instance of a history book where Lee Soon takes the place of Sinchung is already found in the (former)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lyon merely transposed this as it was and called it into ques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