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 이야기, 놀이, 미디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91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ew Typology of TV Format : An Asp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Story, Pla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new useful typology for TV format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n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factors composing TV format.
      The study inspects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typology and definition of the non-scripted TV format especially. It tries to define the difference of TV format and TV program consistently causing confusion. A TV program is normally designed in the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related in broadcast coverage and programming. Otherwise a TV format emphasizes universal events of huma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des for targeting global audiences. Therefor the study focuses that a TV format uses universal cultural factors actively for global consuming.
      While the previous typology has focused on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use, a new typology of the study is useful to interpretate and create formats.
      In this flow, universal cultural factors organizing TV formats are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The story is considered the key elements of a scripted format like a soap opera. But the study identifies that the non-scripted format such as the survival, the audition and the game show uses storytelling very broadly. It classifies four general types of stories with Orson Scott Card's M.I.C.E. quotient which means Milieu, Idea, Character and Event.
      The play is the universal culture phenomenon existing anywhere. After TV has been on the living room, the play is easily found on the entertainment TV format like a game show including diverse gaming elements. When comparing the TV format and the characteristic of play, the study finds that they share the same cultural structure reproducing the meaning. In addition, the study adopts the types of play by Roger Caillois like agon, alea mimicry, Ilinx for formalization.
      Media mediates TV format texts. Media is substance of expression and itself can be a main concept of format. Providing digital editors provokes the change of story aspect.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makes the new environment of play and new storytelling. A smartphone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make the users gather in the virtual space as a platform not in the physical space where TV is placed. The study formalizes the format as a media platform and media technolog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ormats and media development.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ha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producing the mutual meaning.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s the types according to their status like how it occupies in the format. As a result, a new typology can suggest clearly what the audience prefer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e matches among types of format text and it has strength to categorize all types of formats without exception. It also finds the actual concept of individual TV format which the previous typology has lost before. Actually it tries to make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character, the event, the stage, the plot and the viewpoint. It suggests how to make a concept of the character, how to use the stage equipment, how to use audience, how to apply media specifically. Finally It suggests the format creation system including interpreta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To sum up, the study interpretates TV format text based on the universal cultural factor through a new typology, which makes to create TV format. It tries to change viewpoint of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TV formats focusing on the specific type and production to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with analytical value.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e positive impact on TV format production as well as the other relating studies and discourses.
      번역하기

      A New Typology of TV Format : An Asp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Story, Pla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new useful typology for TV format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n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factors co...

      A New Typology of TV Format : An Asp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Story, Pla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new useful typology for TV format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n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factors composing TV format.
      The study inspects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typology and definition of the non-scripted TV format especially. It tries to define the difference of TV format and TV program consistently causing confusion. A TV program is normally designed in the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related in broadcast coverage and programming. Otherwise a TV format emphasizes universal events of huma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des for targeting global audiences. Therefor the study focuses that a TV format uses universal cultural factors actively for global consuming.
      While the previous typology has focused on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use, a new typology of the study is useful to interpretate and create formats.
      In this flow, universal cultural factors organizing TV formats are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The story is considered the key elements of a scripted format like a soap opera. But the study identifies that the non-scripted format such as the survival, the audition and the game show uses storytelling very broadly. It classifies four general types of stories with Orson Scott Card's M.I.C.E. quotient which means Milieu, Idea, Character and Event.
      The play is the universal culture phenomenon existing anywhere. After TV has been on the living room, the play is easily found on the entertainment TV format like a game show including diverse gaming elements. When comparing the TV format and the characteristic of play, the study finds that they share the same cultural structure reproducing the meaning. In addition, the study adopts the types of play by Roger Caillois like agon, alea mimicry, Ilinx for formalization.
      Media mediates TV format texts. Media is substance of expression and itself can be a main concept of format. Providing digital editors provokes the change of story aspect.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makes the new environment of play and new storytelling. A smartphone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make the users gather in the virtual space as a platform not in the physical space where TV is placed. The study formalizes the format as a media platform and media technolog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ormats and media development.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ha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producing the mutual meaning.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s the types according to their status like how it occupies in the format. As a result, a new typology can suggest clearly what the audience prefer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e matches among types of format text and it has strength to categorize all types of formats without exception. It also finds the actual concept of individual TV format which the previous typology has lost before. Actually it tries to make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character, the event, the stage, the plot and the viewpoint. It suggests how to make a concept of the character, how to use the stage equipment, how to use audience, how to apply media specifically. Finally It suggests the format creation system including interpreta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To sum up, the study interpretates TV format text based on the universal cultural factor through a new typology, which makes to create TV format. It tries to change viewpoint of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TV formats focusing on the specific type and production to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with analytical value.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e positive impact on TV format production as well as the other relating studies and dis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본 연구는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중심으로 포맷의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본이 없는 오락 포맷을 대상으로 기존 TV 포맷 정의와 유형화의 유효성을 점검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혼동을 야기하는 TV 포맷과 TV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은 대개 방송지역과 채널 편성표라는 시공간의 한계 내에서 기획된다. 반면 TV 포맷은 글로벌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내용과 구조에서 국제적 코드와 인간 삶의 보편적 사건과 소재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TV 포맷이 전 세계 시청자에게 소구하기 위해 문화 보편의 요소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포맷의 유형화가 산업적 필요에 의한 구분에 그치지 않고, 생산과 실천을 의미하는 창작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 보편 요소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가 필요함을 밝혔다. TV 포맷의 외재적 형식이 아닌, 텍스트 내부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상호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개별 포맷을 해석하고 더 나아가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 보편의 요소로 이야기, 놀이, 미디어를 상정하였다. 이야기는 드라마와 같은 대본이 존재하는 포맷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야기 원형으로 알려진 영웅서사를 포함한 스토리텔링 기법이 오디션이나 서바이벌 포맷 뿐 아니라 게임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됨을 포맷 텍스트 및 문헌 분석 등을 통해 밝혔다. 아울러 특정 서술이나 사건이 이야기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준이 변화양상에 있음에 착안하여 세부 유형을 구분하였다. 주요하게는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 분류법을 활용하여 사건변화와 인물 변화를 중심축으로 환경, 사건, 인물, 착상 이야기로 유형화하고 그 분류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놀이는 인류 문화권 어디에서나 발현되는 보편의 문화현상이다. TV가 거실에 자리한 이후, 놀이는 다양한 게임을 앞세운 오락 포맷의 형식에서 선명하게 포착된다. 놀이와 TV 포맷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자가 경쟁과 재현을 통해 의미를 재생산하는 문화적 구조를 공유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가 놀이의 상호 관계적이며 독립적 특성에서 착안한 분류법을 수용하여 포맷의 유형화에 적용하였다.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에 대응하는 유형으로 포맷들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디어는 TV 포맷 텍스트를 매개한다. 미디어는 표현의 질료인 동시에 그 자체로 포맷의 주요한 콘셉트가 되기도 한다. 디지털 편집기의 보급은 서사차원의 변화를 추동한다. 새롭게 개발된 카메라 기술 등은 시점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스토리텔링과 놀이 환경을 구축한다. 스마트폰과 네트워크의 발달은 TV가 놓인 물리적 공간이 아닌 플랫폼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이용자들을 모이게 만들었다. 이러한 관점의 연장에서 미디어의 발달과 포맷의 관계 고찰을 통해 미디어 기술과 미디어 플랫폼으로 관련 포맷을 유형화하였다.
      포맷의 구성요소로 상정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는 상호배타적이라기 보다는 상호 반영적으로 의미를 생산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해당 요소가 포맷 내에서 점유하는 위상에 따라 각각의 유형을 새롭게 구분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유형화는 수용자의 TV 포맷 유형별 선호도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맷 텍스트 세부 유형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거의 모든 유형의 포맷을 예외 없이 포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밝혔다. 무엇보다 기존의 관습적인 유형화가 놓치고 있던 개별 TV 포맷의 실질적인 콘셉트를 확인하고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화를 기반으로 TV 포맷 텍스트의 인물, 사건, 배경, 플롯, 관점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포맷에서 캐릭터 설정방법, 무대장치, 관객의 활용, 미디어 응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라는 3원 요소의 대분류와 하위구분, 그리고 상호 관계성에 기반한 해석을 아우르는 포맷 창작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단순한 유형구분을 지양하고, TV 포맷 텍스트의 특징이 지시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기반으로 해석을 도모하고 창작과의 연결고리를 잇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상품과 특정 양식이 강조된 TV 포맷이라는 경제·산업 중심의 관점이 아니라, 분석가치가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관점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TV 포맷 생산 현장은 물론 문화콘텐츠로서 TV 포맷과 관련한 담론의 다양성과 지속성을 추동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본 연구는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중심으로 포맷의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본이 없는 오락 ...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본 연구는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중심으로 포맷의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본이 없는 오락 포맷을 대상으로 기존 TV 포맷 정의와 유형화의 유효성을 점검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혼동을 야기하는 TV 포맷과 TV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은 대개 방송지역과 채널 편성표라는 시공간의 한계 내에서 기획된다. 반면 TV 포맷은 글로벌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내용과 구조에서 국제적 코드와 인간 삶의 보편적 사건과 소재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TV 포맷이 전 세계 시청자에게 소구하기 위해 문화 보편의 요소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포맷의 유형화가 산업적 필요에 의한 구분에 그치지 않고, 생산과 실천을 의미하는 창작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 보편 요소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가 필요함을 밝혔다. TV 포맷의 외재적 형식이 아닌, 텍스트 내부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상호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개별 포맷을 해석하고 더 나아가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 보편의 요소로 이야기, 놀이, 미디어를 상정하였다. 이야기는 드라마와 같은 대본이 존재하는 포맷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야기 원형으로 알려진 영웅서사를 포함한 스토리텔링 기법이 오디션이나 서바이벌 포맷 뿐 아니라 게임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됨을 포맷 텍스트 및 문헌 분석 등을 통해 밝혔다. 아울러 특정 서술이나 사건이 이야기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준이 변화양상에 있음에 착안하여 세부 유형을 구분하였다. 주요하게는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 분류법을 활용하여 사건변화와 인물 변화를 중심축으로 환경, 사건, 인물, 착상 이야기로 유형화하고 그 분류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놀이는 인류 문화권 어디에서나 발현되는 보편의 문화현상이다. TV가 거실에 자리한 이후, 놀이는 다양한 게임을 앞세운 오락 포맷의 형식에서 선명하게 포착된다. 놀이와 TV 포맷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자가 경쟁과 재현을 통해 의미를 재생산하는 문화적 구조를 공유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가 놀이의 상호 관계적이며 독립적 특성에서 착안한 분류법을 수용하여 포맷의 유형화에 적용하였다.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에 대응하는 유형으로 포맷들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디어는 TV 포맷 텍스트를 매개한다. 미디어는 표현의 질료인 동시에 그 자체로 포맷의 주요한 콘셉트가 되기도 한다. 디지털 편집기의 보급은 서사차원의 변화를 추동한다. 새롭게 개발된 카메라 기술 등은 시점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스토리텔링과 놀이 환경을 구축한다. 스마트폰과 네트워크의 발달은 TV가 놓인 물리적 공간이 아닌 플랫폼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이용자들을 모이게 만들었다. 이러한 관점의 연장에서 미디어의 발달과 포맷의 관계 고찰을 통해 미디어 기술과 미디어 플랫폼으로 관련 포맷을 유형화하였다.
      포맷의 구성요소로 상정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는 상호배타적이라기 보다는 상호 반영적으로 의미를 생산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해당 요소가 포맷 내에서 점유하는 위상에 따라 각각의 유형을 새롭게 구분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유형화는 수용자의 TV 포맷 유형별 선호도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맷 텍스트 세부 유형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거의 모든 유형의 포맷을 예외 없이 포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밝혔다. 무엇보다 기존의 관습적인 유형화가 놓치고 있던 개별 TV 포맷의 실질적인 콘셉트를 확인하고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화를 기반으로 TV 포맷 텍스트의 인물, 사건, 배경, 플롯, 관점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포맷에서 캐릭터 설정방법, 무대장치, 관객의 활용, 미디어 응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라는 3원 요소의 대분류와 하위구분, 그리고 상호 관계성에 기반한 해석을 아우르는 포맷 창작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단순한 유형구분을 지양하고, TV 포맷 텍스트의 특징이 지시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기반으로 해석을 도모하고 창작과의 연결고리를 잇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상품과 특정 양식이 강조된 TV 포맷이라는 경제·산업 중심의 관점이 아니라, 분석가치가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관점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TV 포맷 생산 현장은 물론 문화콘텐츠로서 TV 포맷과 관련한 담론의 다양성과 지속성을 추동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 제기 1
      • 제2절 선행 연구 분석 8
      • 1. 주요 연구흐름 및 배경 8
      • 2. TV 포맷의 정의 12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 제기 1
      • 제2절 선행 연구 분석 8
      • 1. 주요 연구흐름 및 배경 8
      • 2. TV 포맷의 정의 12
      • 3. TV 포맷의 창작 21
      • 제3절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25
      • 1. 연구목적 25
      • 2. 연구방법 27
      • 3. 연구대상 29
      • 제2장 TV 포맷의 유형화 및 텍스트 속성 34
      • 제1절 TV 포맷과 유형화 34
      • 제2절 TV 포맷의 유형화 사례연구 38
      • 제3절 국내외 TV 포맷의 유형화 분석 42
      • 제4절 TV 포맷 텍스트의 속성 51
      • 제3장 TV 포맷 텍스트의 구성요소 및 구조 54
      • 제1절 TV 포맷과 이야기 59
      • 1. TV 포맷에서의 스토리텔링 59
      • 2. 이야기 원형으로서의 영웅서사 : MBC <진짜사나이> 63
      • 3. TV 포맷과 이야기 유형 70
      • 제2절 TV 포맷과 놀이 양식 78
      • 1. 놀이의 속성 78
      • 2. 일과 놀이, 놀이의 구분 82
      • 3. TV 포맷과 놀이 유형 : TVN <렛츠고 시간탐험대> 84
      • 제3절 TV 포맷의 미디어 수용양상 95
      • 1. 미디어 환경변화와 의미 95
      • 2. 미디어 플랫폼과 TV 포맷 : MBC <마이리틀텔레비전> 101
      • 3. 미디어 기술과 TV 포맷 104
      • 제4절 TV 포맷의 의미생산 구조 108
      • 제4장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해석 및 창작 115
      • 제1절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115
      • 제2절 이야기, 놀이, 미디어형 포맷과 상호관계성 118
      • 1. 이야기형 포맷 118
      • 2. 놀이형 포맷 127
      • 3. 미디어형 포맷 138
      • 제3절 TV 포맷 텍스트의 해석 145
      • 1. 인물 : 캐릭터와 변화 145
      • 2. 사건 : 촉발사건과 로맨스 148
      • 3. 배경 : 낯선 세계와 경기장으로서의 무대 151
      • 4. 플롯 : 흐름과 구성방식 155
      • 5. 관점 : 시선이 만든 차이와 변화 159
      • 제4절 창작에의 적용 163
      • 1. 프로그램 기획과 TV 포맷 창작 163
      • 2. TV 포맷 창작방식 167
      • 3. TV 포맷 창작지원 도구 171
      • 제5장 결론 176
      • 참고문헌 192
      • ABSTRACT 20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튜브, "null", (http://youtube com/), null

      2 김석호, "『TV연출론』", 숲속의 꿈, 2004

      3 권승태, "『3막의 비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4 요한, 하위징아, 이종인, "『호모 루덴스』", 역, 2014

      5 노동렬, "『드라마 디자인』",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8

      6 송낙원, "『시나리오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7 아탈리, 편혜원, 자크, "역,『21세기 사전』", 중앙 M&B, 1999

      8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6

      9 Jonathan Glazier, "“What is a TV Format?”", MBC지식공유포럼, 년 6월 11일, 2008

      10 구스타프, 이윤기, "역,『인간과 상징』", 열린 책들, 2009

      1 유튜브, "null", (http://youtube com/), null

      2 김석호, "『TV연출론』", 숲속의 꿈, 2004

      3 권승태, "『3막의 비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4 요한, 하위징아, 이종인, "『호모 루덴스』", 역, 2014

      5 노동렬, "『드라마 디자인』",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8

      6 송낙원, "『시나리오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7 아탈리, 편혜원, 자크, "역,『21세기 사전』", 중앙 M&B, 1999

      8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6

      9 Jonathan Glazier, "“What is a TV Format?”", MBC지식공유포럼, 년 6월 11일, 2008

      10 구스타프, 이윤기, "역,『인간과 상징』", 열린 책들, 2009

      11 김지문, "『TV가 TV를 말한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12 김흥규, "「매스컴명저 해제」", 『신문과방송』, 통권246호, 1991

      13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2001

      14 박주연, 배진아,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제11권 1 호, 2010

      15 순야, 요시미, 안미라, "역,『미디어 문화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6 박성봉,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1994

      17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2014

      18 임원선, "실무자를 위한 저작권법",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19 박만준, 피스크, "역,『대중문화의 이해』", 경문사, 2005

      20 홍진혁, "「장르로서의 예술영화」",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영상문화콘텐츠연구』, 8집, 2015

      21 최충웅, "『텔레비전 제작실무론』", 나남, 2006

      22 이기홍(Ki Hong Lee), "양-질 구분을 다시 생각한다",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7(2), null

      23 박권옥, "『PD가 쓴 텔레비전 연출론』", 한울아카데미, 한울 아카데미, 1999

      24 은혜정,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5 이강은, "미하일 바흐친과 폴리포니아", 역락, 2011

      26 김수성, 이을규, 백성기, "『방송기획 편성 제작의 이해』", 세종, 세종출판사, 2005

      27 최혜실, "『스토리텔링 그 매혹의 과학』", 한울아카데미, 2011

      28 노동렬(Dong-Ryul Roh), "방송 예능프로그램 포맷의 진화", 한국고분자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2015

      29 정윤경, "방송포맷 수출입 현황조사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 연구보고서 15-12』, 한 국콘텐츠진흥원, 2015

      30 박주연,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한국언론재단, 2005

      31 전경란, 정윤경, "「프로그램 포맷의 절합과 변형」",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4(1), 2010

      32 배진아, "방송시장의 포맷 거래에 관한 연구",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9권 2호, 2008

      33 노스럽, "프라이, 임철규 역,『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4

      34 노은정, 전민경, "「중국 해외방송 콘텐츠 규제동향」", 『동향』, 28(15) 629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35 홍순철,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 창작론」", 한울아카데미, 한울아카데미, 번역서, 2010

      36 정윤경, "「해외 방송포맷 산업 동향과 전망」", 『콘텐츠산업 이슈 분석(해외방송 포맷)』, 2013-03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37 류철균, 한혜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출 판부, 2015

      38 오쓰카, "에이지, 선정우 역,『스토리 메이커』", 북바이북, 2013

      39 이현숙, "Piaget와 Vygotsky의 놀이에 대한 관점 고찰", 『경복논총』, no 6, 2002

      40 신혜영, "「카니발 이론으로 본 한국의 가면극」",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제26호, 2010

      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역,『이미지와 상징』", 까치, 1998

      42 정윤경, 홍원식, 주자람, 조연하, "「방송프로그램 포맷의 보호방안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저 작권위원회, 2014

      43 조셉, "캠벨, 이윤기 역,『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2004

      44 배식한,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책의 종말』", 책세상, 책세상문고, 2000

      45 마셜, "맥루언, 김성기 이한우 역,『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6

      46 임대근, 김원, "「스토리텔링과 TV 포맷 창작의 관계성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글로벌문화콘텐 츠』, 제12호, 2013

      47 류은영(Ryu Eun-young), "담화의 논리: 구술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Foreign Literature Studies』, 39, 2010

      48 은혜정, "「세계 방송포맷 개발현황 및 향후 발전방안」", 『KBI포커스』, 08-06(48호), 2008

      49 김정희, "「영상 콘텐츠에서의 공간 모티프 활용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집, 2009

      50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특징」",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 지』, 10(9), 2010

      51 강미선, 서미혜, "젊은 세대는 매체 동시소비를 왜 어떻게 하는가?", SBS문화재단,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9권4호, 2011

      52 구스타프, 이윤기, "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2006

      53 김명중, "TV 포맷의 시장 분석과 법적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정치정보연 구』, 16(1), 2013

      54 김미라,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재미 유발 기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방송연구』, 제 37호, 2008

      55 지그문트, "프로이트, 서석연 역,『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입문』", 범우사, 2015

      56 권택영, 자크, 라캉, "(편), 민승기 이미선 권택영 역,『자크라캉 욕망이론』", 문예 출판사, 2014

      57 오쓰카, "에이지, 선정우 역, 김성민 역,『캐릭터소설 쓰는 법』",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2005

      58 최미란, "디지털스토리텔링 모델을 활용한 스토리뱅크 설계 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59 박치완, "「(문화-)세계화-동일성의 폭력인가, 차이의 고려인가?」", 세계문학비교학회, 세계문학비 교학회·전북대학교 국제문화연구소 2009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2009

      60 오경민(Kyungmin Oh), 유홍식(Hongsik Yu), "국내 TV프로그램 포맷의 수출과 현지화 변용에 대한 연구",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6권 4호, 2015

      61 오슨, "스콧 카드, 송경아 역,『당신도 해리포터를 쓸 수 있다』", 북하우스, 2007

      62 유수정, 조연하, "「저작물 성립요건으로서의 창작성의 개념과 판단기준」", 문화방송, 『방송 과 커뮤니케이션』, 12(4), 2011

      63 김수정, "「동남아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방송문화진흥회, 『방송과 커 뮤니케이션』, 13(1), 2012

      64 하윤금,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프로그램 소재와 포맷개발 연구」", 『연구보고 01-03』, 한국방송진흥원, 2001

      65 미하일, "바흐친, 김근식 역,『도스또예프스끼 시학의 제(諸)문제』", 중앙대학교 출판부, 2011

      66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전망」", 『KOCCA 포커스,』, -11호(통권 39호), 2011, 2011

      67 김도연, 박진식, "「텔레비전 포맷을 통해 본 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현지화」", 한국방송학회, 『방 송통신연구』, 통권 제83호, 2013

      68 임대근, "『문화연구와 문화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한 학문적 실천』",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한국외 대 지식출판원, 2014

      69 구스타프, 이윤기,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번역위원회 역,『원형과 무의식』", 솔 출판사, 2003

      70 안경진, "「작가의 스토리텔링 집필직무 분석 및 지원 시스템의 설계」", 한국과 학기술원 석사학위 논문, 2005

      71 김재철, 오경수, 김희경, "「글로벌미디어 시대, 스마트TV의 법적지위와 규제방 향 연구」",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2), 2011

      72 성영준, "「해외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의 수입과 현지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 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

      73 윤현선, "「BBC의 미래전략 - ‘창조적 미래’ 전략과 중간점검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1), 2011

      74 미하일, "바흐친, 김근식 역, 전승희 서경희 박유미 역,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 비평사, 1988

      75 박주연, "배진아,「텔레비전 콘텐츠 포맷 산업 및 유통에 관한 포맷 관련 전문 가 인식」", 『한국언론학보』, 54권3호, 2010

      76 박진식, "「텔레비전프로그램 포맷의 현지화 제작과정에 나타난 특성변화에 관 한 연구」", 국민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77 최성민, "「대중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연구: TV 프로그램〈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18호, 2010

      78 박상호, 최세경,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의 개발과 텔레비전 적용: 상호작용 성의 구현과 재목적화」", 방송문화진흥회,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2010

      79 이경숙, 조경진,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서바이버> 와 <무한도전> 비교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1호, 2010

      80 박경숙, 양원홍, "방송 PD의 프로그램 제작 능력 습득 과정에 관한 연구: 제주 지역 지상파방송 PD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2권 3호, 2011

      81 이영주, 채정화, "「방송 프로그램의 포맷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및 실질적 유사성 의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제10권1호, 2010

      82 류종현, 임수정, "「방송프로그램 포맷 보호에 대한 저작권법 고찰: 국내 포맷의 중국수출현황을 중심으로」",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제3권2호, 2015

      83 차찬영,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 포맷의 구조와 다양성 그리고 제작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84 은혜정, "「국제적 유통상품으로서의 TV 포맷의 최근 경향과 한국 포맷의 해외 진출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한국방송학회, 22-6, 2008

      85 김남일,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에서 웃음 유발의 정치성 : MBC-TV <무한 도전>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제22-6호, 2008

      86 노동열, 장용호,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자기조직화에 관한 연구 : <1박 2일>과 <무한도전>의 창의적 생산방식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방송과 커뮤니 케이션』, 11(2), 2010

      87 박선이, 유세경, "「포맷교역 TV 프로그램의 혼종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 <1대 100>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3(2),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