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즐거운 생활’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Pleasant Lif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7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specific percepti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through experience from Pleasant Life class. In order to do so, the study had five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as the homeroom teacher of first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specific percepti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through experience from Pleasant Life class. In order to do so, the study had five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as the homeroom teacher of first and second-grade classes as the study participants and gathered data for two months from June 2017 to July 2017 through in-depth interview, class observation, and documents. The study analyzed collected data through case recording and inductive category analyzation method, and the study sought to improve the veracity of itself through peer discussion and inter-member review. As the result,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regarding the ‘Pleasant Life’ was categorized as “to listen”, “shaken”, and “requires reestablishment”. “To listen” is the Whole-person education which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the Pleasant Life fulfill the demand of both learners and society; in terms of contents, it is the “integrated instruction” which realizes the external and internal integration;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was formed through the category of “re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which classified into the passive and active reestablishment. “Shaken” is formed through the “gap” due to the physical activity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student’s level or blurs the identity along with the “unbalance” due to the discordance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d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hours between activities. “Requires reestablishment” was generated through subcategories: “improvement” which demands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among teachers and the class environment; “securement” which demands the increase in the human resource and the number of hours required in the physical activity classes; “independence” which pursuits the professional education as the physica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즐거운 생활 수업 경험을 통해 형성하게 된 구체적인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2학년 담임경력이 있는 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즐거운 생활 수업 경험을 통해 형성하게 된 구체적인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2학년 담임경력이 있는 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심층면담, 수업관찰, 문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동료 간 협의와 구성원 간 검토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즐거운 생활 수업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은 ‘귀 기울이다’, ‘흔들리다’, ‘재정립이 필요하다’로 범주화 되었다. ‘귀 기울이다’는 즐거운 생활의 성격과 목표가 ‘전인교육’이고, 내용 측면에서 ‘통합수업’이며,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흔들리다’는 활동 간 시수의 차이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간 불일치로 인한 ‘불균형’과 학생 수준에 맞지 않거나 정체성이 흐려지는 신체활동으로 인한 ‘괴리감’을 통해 형성되었다.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교사 인식과 수업 환경의 변화를 요구하는 ‘개선’, 신체활동 수업에 필요한 인적 자원 및 시수를 늘리는 ‘확보’, 체육교과로 분리가 필요하다는 ‘독립’을 통해 생성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의창, "학교체육의 정당화" 35 (35): 229-251, 1997

      2 서지영,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 이영주, "학교안전사고 산업 재해율보다 높아… 목·체육시간 최다"

      4 이영만,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5 이종원, "통합교과로서 바른 생활과의 성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29, 2015

      6 정광순,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381-402, 2010

      7 김성훈,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 소외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초등체육학회 20 (20): 23-36, 2014

      8 유한구, "초등학교 통합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1998

      9 장용규,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관한 연구" 2013

      10 박재정, "초등학교 체육수업 실제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 최의창, "학교체육의 정당화" 35 (35): 229-251, 1997

      2 서지영,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 이영주, "학교안전사고 산업 재해율보다 높아… 목·체육시간 최다"

      4 이영만,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5 이종원, "통합교과로서 바른 생활과의 성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29, 2015

      6 정광순,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381-402, 2010

      7 김성훈,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 소외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초등체육학회 20 (20): 23-36, 2014

      8 유한구, "초등학교 통합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1998

      9 장용규,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관한 연구" 2013

      10 박재정, "초등학교 체육수업 실제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1 장용규,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과 분리에 대한 당위성 고찰"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29-147, 2014

      12 조미혜,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9-37, 2010

      1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 대한교과서 1998

      1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 대한교과서 1997

      15 채창목, "초등학교 교사의 스포츠 강사 운영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35-366, 2011

      1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즐거운 생활 1-1" 대한교과서 2000

      17 김정윤,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8 박소영,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교육과정의 통합 방식과 내용 구성의 한계 및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7): 87-106, 2004

      19 장원호, "초등학교 1학년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운영실태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0 김태규, "초등학교 1, 2학년 체육교과 분리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21 최민성,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이종화,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 수업에 대한 인식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3 김승재, "초등교사의 즐거운 생활 신체 활동 영역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83-98, 2008

      24 조미혜, "체육교육과정과 평가" 무지개사 2004

      25 신종철,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활동영역 운영실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6 공경아,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 활동 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7 권민경, "주제중심 ‘통합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실태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65-92, 2010

      28 곽노의, "움직임 활동이 초등학교 1~2학년 아동의 리더십 생활기술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11 (11): 51-70, 2007

      29 이대식,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30 양정모,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 변화와 교수전문성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1 교육부,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32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사 1993

      33 박상봉, "‘즐거운 생활’교과의 총체적 분석에 따른 저학년 체육교과 발전방향" 67-80, 2009

      34 안양옥, "‘즐거운 생활’교과의 교육과정 정당성 재검토와 개정방안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33-50, 2005

      35 Piaget, J.,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Basic Books 1954

      36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37 Wolfinger, D. M., "Elementary methods: an integrated curriculum" Longman 1997

      38 정광순,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18, 2015

      39 조상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통합교과교과서의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35-159, 2015

      40 박지현, "2015 개정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향 탐색"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103-121, 2015

      41 조한무,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성방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31-44, 2011

      42 이승미, "2009 개정 통합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93-209, 2012

      43 강충열, "2009 개정 초등 통합교육과정, 왜 탈학문적 접근인가?" 9 : 1-21, 2011

      44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 교육과정 및 통합 교과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43-72, 2014

      45 김현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65-84, 2015

      46 홍영기, "2007개정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 (2): 57-74, 2008

      47 손효영, "1~2학년군 통합교과 내 신체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48 김중형, "'즐거운 생활' 중 신체활동 영역지도의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