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서른여섯 편의 불안검사지를 연구도구로 하여 무용불안을 주제로 한 연구들을 수집, 분류, 분석하여 시대와 지역을 어우를 수 있는 통합적인 결론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13784
2010
Korean
685.1
KCI등재
학술저널
67-7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서른여섯 편의 불안검사지를 연구도구로 하여 무용불안을 주제로 한 연구들을 수집, 분류, 분석하여 시대와 지역을 어우를 수 있는 통합적인 결론을 ...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서른여섯 편의 불안검사지를 연구도구로 하여 무용불안을 주제로 한 연구들을 수집, 분류, 분석하여 시대와 지역을 어우를 수 있는 통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른여섯편의 연구들의 결론을 종합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연구도구에 대한 탐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검사지 사용 피험자 특성은 연구자의 연구가설에 따라 지역, 성별, 전공, 유형, 무용수형태, 경력구분, 수상구분, 연령 등의 특성으로 분류한 것으로 나왔다. 둘째, 상태, 특성불안과 무용수의 전공, 경력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은 무용수행 경력이 높을수록 상태, 특성불안이 낮다는 결론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쟁불안과 무용수의 경력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 중, 경쟁불안의 하부요인인 인지적, 신체적 상태불안의 경우, 경력이 높을수록 낮다는 결론을 맺은 연구가 많았고, 상태자신감은 높은 연구가 많았다. 또한 전공의 경우, 발레와 현대무용이 한국무용에 비해 불안은 높고 자신감은 낮다는 연구결과가 많았다. 넷째, 스포츠 분야에서 쓰이는 외국검사지를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였거나 연구자의 임의대로 수정하여 사용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섯째, 심리측정연구에서 당연히 제시되어야 할 신뢰도와 타당도는 신뢰도와는 달리 타당도는 절대적으로 정보가 누락된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무용전공자의 배경특성에 따른 무용수업에서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의 차이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