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규모 가축질병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축산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Regarding a Large-Scale Animal Disease on the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Livestock Produ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4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시,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주관적인 인식차로 야기되는 축산물 소비 급감 등의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 시킬 수 있...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시,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주관적인 인식차로 야기되는 축산물 소비 급감 등의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대규모 가축질병이란 위험에 대한 최종적인 수용 여부로 볼 수 있는 ‘축산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특성을 고려하는 ‘소비자 중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가정 아래, 2단계로 나눠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소비자의 위험인식과 최종적인 축산물 구매의도에 있어서 여러 선행연구 검토를 거쳐 설정한 변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성을 밝히고자 관련 변인으로 뉴스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및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 불안감, 준거집단 등을 설정하였고 이들의 인과 관계를 포함한 구조적인 관련성을 가설로 설정하여 연구모형 1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7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의 요인인 뉴스 메시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동일한 위험 현상도 ‘언론이 보도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보도를 접한 뒤,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긍정적/부정적)과 메시지 소구(appeals)유형(신체적/경제적), 성별(남성/여성)에 따라 소비자의 내적 요인(불안감/통제가능성/축산물 구매의도)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란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모형 2를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실험을 거쳐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첫 번째 단계의 조사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등 3가지를 외생변수로 상정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여부, 크기를 검증한 결과 3개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로는 관여도, 뉴스이용정도, 주관적 지식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위험인식이 커질수록 심리적 불안감도 높아졌는데, 이 경로의 매개변인으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반면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준거집단의 정보제공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지만, 구매의사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언론 보도의 메시지 유형과 프레이밍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불안감은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메시지 프레이밍,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 구매의도에서는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에서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축산물 구매의도에서 메시지 소구유형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신체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여성은 경제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축산물의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보도에서 축산물 구매의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점과 주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위험인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의 정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쌍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뉴스 미디어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된 신체적, 경제적 위험을 언급하는 기사를 보도할 때 특히 신중해야 한다는 점이다.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위해 요소에 대한 궤변론적이고, 거짓된 정보를 소비자들이 스스로 분별해 내고, 뉴스 미디어와 정부, 축산물 생산자 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withdraw a mor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minimize the social turmoil including the abrupt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withdraw a mor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minimize the social turmoil including the abrupt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public regarding the risk for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animal disease. This study selected news use level, involvement, subjective knowledge, risk communication,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xiety, and reference group as variables, which were chosen from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model 1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hypotheses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cluding the causal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adult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empiricall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next step, a study model 2 was derived,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tudy question of “Will there b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variables of consumers (i.e., anxiety,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message framing type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appeal types (physical and economic), and gender (male and female) after receiving a report about avian influenza from the mass media for phenomenon posing the same level of risk?”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ws message, a social level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s of message framing,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to examine the ques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survey are as follows. News use level,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were chosen as exogenous variables and the presence and magnitude of their effects on risk perception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and the magnitud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involvement, news use level, and subjective knowledge. Moreover,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with higher awareness of risk. Risk communic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but the awareness regarding control possi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nxiety, the higher the dependence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provided informat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decision.
      Next, the results of the second step, whi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news reports’ message type and framing,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according to message framing, appeal type,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 In the livestock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Moreover, in the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significantly interacted. Male subjects showed high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physical appeal type while female subjects reveale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economic appeal 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both groups had lower livestock good purchase intention in the response to the negatively framed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a customized risk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consumer, would be needed and the higher subjective knowledge would reduce the risk perception. Consequently,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consumer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risk communication shall be made bilaterally, although it is an essential element,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articularly, the news media should be cautious when reporting news articles referring to physical and economic risks associated with a large-scale animal disease outbreak. The consumer-oriented risk communication will ultimately help consumers distinguish sophistic and false information and fortify the social credibility of the news media, government, and livestock produc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문제 제기와 연구의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4
      • Ⅱ. 축산물의 생물학적 위해와 정보제공원별 커뮤니케이션 7
      • 1. 축산물의 생물학적 위해 특성 및 국내 발생 현황 7
      • 1) 식품 위해 요인의 분류 7
      • 2) 축산물의 생물학적 위해로써 바이러스성 가축질병의 특성 8
      • 3) 대규모 가축질병의 발생 동향 및 대응체계 9
      • 2. 축산물의 생물학적 위해의 파급영향 13
      • 1) 경제적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13
      • 2) 뉴스 미디어에 의한 사회적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14
      • 3. 정보제공원별 커뮤니케이션 분석 16
      • 1) 국내 뉴스 미디어의 뉴스 보도 내용 분석 16
      • 2) 정부의 대외 커뮤니케이션 대응 분석 25
      • 3) 축산물 생산자 단체의 대외 커뮤니케이션 대응 분석 29
      • Ⅲ. 이론적 배경 39
      • 1. 식품안전 대책으로서의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39
      • 1) 식품위험의 개념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39
      • 2)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및 중요성 44
      • 2. 위험인식과 소비자 의사결정 49
      • 1) 위험인식과 불안감 49
      • 2) 관여도와 주관적 지식 53
      • 3) 준거집단과 구매의도 56 3. 위험의 사회 확산과 미디어 보도의 메시지 효과 59
      • 1) 위험의 사회적 확산과 미디어 59
      • 2) 전망이론과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62
      • Ⅳ. 분석 방법 67
      • 1. 연구모형 및 가설 67
      • 1) 연구 모형 67
      • 2) 연구 가설 설정 69
      • 2. 조사설계 및 분석방법 74
      • 1) 1차 소비자 조사: 대규모 가축질병에 대한 위험 인식, 개인적 특성 74
      • 2) 2차 소비자 조사: 보도 메시지 유형에 따른 내적 요인의 차이 80
      • Ⅴ. 분석 결과 83
      • 1. 소비자의 위험인식과 (비)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구조분석 83
      •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83
      • 2) 측정 변수의 특성 분석 85
      • 3)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87
      • 4) 연구 가설의 검증 93
      • 2. 뉴스 보도의 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내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110
      • 1) 조작 검증 및 신뢰도 검증 110
      • 2) 분석 결과 112
      • Ⅵ. 결론 및 제언 121
      • 1. 요약 및 함의 121
      • 2. 새로운 연구 방향 모색 1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준구, "미시경제학 제6판", 서울:문우사, 2013

      2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서울:세영사, 2002

      3 김영욱, "위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4 여운승, "최신마케팅 관리론", 서울:한양대 출판사, 2007

      5 양 윤, "소비자 심리학 제2판", 서울:학지사, 2014

      6 백병성, "소비자 행정론 제2판", 서울:시그마프레스, 2009

      7 김재일, 홍성태, 임종원, 이유재, "소비자행동론(제2판)", 서울:경문사, 1999

      8 김영신, 제미경, 이은희, 송인숙, 서정희, "소비자와 시장 환경 제4판", 서울:시그마프레스, 2012

      9 김영신, "새로 쓰는 소비자의사결정", 교문사, 경기도:교문사, 2016

      10 오미영,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 이준구, "미시경제학 제6판", 서울:문우사, 2013

      2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서울:세영사, 2002

      3 김영욱, "위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4 여운승, "최신마케팅 관리론", 서울:한양대 출판사, 2007

      5 양 윤, "소비자 심리학 제2판", 서울:학지사, 2014

      6 백병성, "소비자 행정론 제2판", 서울:시그마프레스, 2009

      7 김재일, 홍성태, 임종원, 이유재, "소비자행동론(제2판)", 서울:경문사, 1999

      8 김영신, 제미경, 이은희, 송인숙, 서정희, "소비자와 시장 환경 제4판", 서울:시그마프레스, 2012

      9 김영신, "새로 쓰는 소비자의사결정", 교문사, 경기도:교문사, 2016

      10 오미영,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1 성동현, 허덕, 최정섭, 정민국, 전상곤, "구제역 발생 실태와 파급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12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서울:한빛 아카데미, 2014

      13 김경덕, 허덕, 정정길, 정민국, 임정빈, 서종혁, 김정호, "구제역의 파 급 영향과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000

      14 고재경, 이양주, 이수행, 박은진, "안심 식탁을 위한 먹거리 정책방향",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82,경기개발연구원, 2013

      15 유현정, "위험사회를 사는 소비자와 생활안전", 대영문화사, 서울:대영문화사, 2011

      16 곽노성, "식품안전,소비자의 마음에 답이 있다", 에세이, 경기도:에세이, 2008

      17 박명희, "「가치소비시대의 소비자 의사결정」", 교문사, 경기도:교문 사, 2013

      18 김정현,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9 박성희,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35:181-210, 2006

      20 양병우, "주요 가축전염병의 발생동향과 대응과제", 농업전망 :167-194,2011, 2011

      21 한덕웅,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1(1):1-14, 1999

      22 황윤재, "소비자의 식품안전정보 이용실태와 시사점", 농업전망 ,147-166,2011, 2011

      23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한나래 아카데미, 2012

      24 김형진, 한봉희, 지선우, 정세미, 이형우, "7차 HPAI발생 이후 가금산물 가격 동향과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 촌경제연구원 KREI농정포커스 141:1-20, 2017

      25 리대룡, "설득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체계에 대한 시론", 중앙대학교 광고홍보연구소, 광고홍보 연구 6(1):1-36, 1998

      26 최진식, "위험성 인식의 사회적 증폭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회보,165-188, 2009

      27 황진주, 여정성,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소비자중심경영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1): 47-81, 2014

      28 田村善弘, 이병오, 김성철, "식품안전성 확보와 식품산업 발전의 조화방안",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 위원회, 2008

      29 김남수, 이종인, 송민수, 박성용,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 책연구보고서,9-13, 2009

      30 조철호, "『SPSS/AMOS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통계분석』", 청람, 서울:청람, 2015

      31 이부형, 정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의 직,간접 기회손실 추정", 현대경제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14(6), 2014

      32 최종산, "복합표본자료를 이용한 육류 섭취 영향요인 분석", 한국식품유통학회, 식품유통연구 32(4):1-20, 2015

      33 도경수, 조윤진, "통제 가능성과 심각성이 위험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 집,(1):281-281,2011, 2011

      34 송우진, 이형우, 신승열, "최근 가축질병 발생이 육류 소비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 원, 2004

      35 정종성, "소비자의 식품안전민감도지수 개발 및 실증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36 이기헌, "식품위해 인식실태 및 위험커뮤니케이션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소비자문제연구 34:104-133, 2008

      37 박성용, "소비자 법령의 소비자 지향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법제연구 38:295-328, 2010

      38 홍세희(Se Hee Hong),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9(1):161-177, 2000

      39 사지연, 여정성, "영양표시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의 효율성과 적합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4):217-245, 2014

      40 김준홍,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원자력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6):253-276, 2011

      41 변경희, "하이테크 신제품의 위험지각 감소를 위한 묶음제품전략",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2011

      42 김수형, 조규림, "역대 최고 속도의 조류인플루엔자(AI)확산과 경제적 피해", 현대경제연구원, 현대경 제연구원,16(46), 2016

      43 이민영(Min-Young Lee), 이재신(Jae-Shin Lee), "위험인식의 낙관적 편견에 대한 프레임과 관여도의 역할",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48, 191-210, 2009

      44 염태경, 황진희, 장동덕, 이효민, 우종민, 오우용,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성공적인 리스크 커뮤니 케이션", SafeFood,2:2, 2007

      45 이기헌, "식품안전에 관한 소비자 인식조사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보호원 정책연구 보고서, 2006

      46 장재봉, 박재홍, "유전자변형식품 표시정책이 소비자의 선호에 미치는영향", 한국농업경제학회, 농업경제연구 57(2): 59-81, 2016

      47 우병준, 황윤재, "축산물위해요소 정보인식이 식품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34(5): 19-41, 2011

      48 연규영, 황윤재, 한재환, "“ 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을 위 한 정책연구 ”", 한국농촌경제연 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009

      49 이학식, "소비자 정보처리에 대한 관여도와 광고류형의 조정적 역할", 경영학연구 27(2):87-115, 1990

      50 한재환,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업정책학회, 농업경영 정책연구 40(2): 330-351, 2013

      51 금영숙, "제품에 대한 위험인식에 따른 준거집단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7

      52 김은주, "친환경 제품 광고에서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 문, 2016

      53 한스, "페터 페터스 송해룡 김원제,위험 인지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4 심준섭, "행정학 연구에서 구조방정식모형 활용: 문제점 검토와 제언",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49(3): 453-485, 2015

      55 신하림 ( H. R. Shin ), 이병오 ( B. O. Lee ),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대 녹색생명산업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56 김맹진, "관여도에 따른 와인 소비자의 인지된 구매 위험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한국조리학회지 14(4): 232-243, 2008

      57 김경자, 최자영,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행동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소비자학연구, 14(4):89-103, 2003

      58 윤석원, 허성윤,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이용한 소비자의 농식품 위험지각 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식품유통연구, 30(2):97-116, 2013

      59 김혜원, "위험 보도 형태와 위험 인식:위험 유형과 언론사에 따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언론홍 보영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60 김길홍, 유현정, "생활화학가정용품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소비자역량 척도개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 집 12(2):109-128, 2016

      61 김지웅, 허은정, "친환경농산물 구매지출에 대한 소비자지식과 소비자태도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 지 19(5):883-896, 2010

      62 이해춘, 임현술, "인수공통전염병의 경제적 손실가치:조류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한국보건경제 정책학회 13(1):19-40, 2007

      63 송해룡, 조항민, 김원제, 이윤경,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분쟁해결연구 10(1):65-100, 2012

      64 전종우, "“미디어 이용이 소비자 위험지각과 일본산 제품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23(1), 301-317, 2012

      65 김근영, 제임스 무어, "한국 관광산업에 대한 2003-2004년 조류독감 발생의 경제적 영향분석", 대 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

      66 김규동, 이정윤,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우려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 유통학회지,16(6):999-1007, 2009

      67 김진영, "의류상품의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위험지각,위험감소행동,구매의도", 서울대 의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68 이영선, 김은영, "의류제품에 대한 주관적 지식이 정보탐색과 평가규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한국의 류학회 26(9):1378-1389, 2002

      69 허보연, "지각된 통제감 수준에 따른 낙관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5

      70 양근영, "직무 스트레스원의 통제가능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 효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2010

      71 박유진, "위험의 커뮤니케이션,신뢰도,편익이 위험 인식과 낙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13

      72 김영욱, 박은혜, "언론 프레이밍과 이미지 회복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 론정보학회 38:73-118, 2007

      73 황수철, "생산주의 농업에서 다기능 농업으로 –농업의 새로운 발전모델을 찾아", 농정연구센터, 농정연구 58, 2016

      74 이희경, "낙관성과 상황의 통제 가능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통제력 인식과 대처방략", 한국학교심 리학회지 5(2):193-211, 2008

      75 우형진, "텔레비전 뉴스 시청이 시청자의 건강증진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 학보 51(2):308-333, 2007

      76 사지연, "소비자 친화적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접근방법과 소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소 비자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6

      77 송해룡, "전자파에 대한 위험 인식 특성 및 그에 따른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정책 방안", 한국전파진흥원, 성균관대 학교 산학협력단, 2009

      78 공희숙, 최원일, 김광수, "“소비자 행동특성이 이미테이션 브랜드 태도및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17(1),177-201, 2004

      79 윤여임, "“식품안전의 10대위해요인에 대한소비자지식과 위험인식 및 위 험수용도”", 가톨릭대 학교 생활문화학과 소비자학 박사학위 논문, 2014

      80 서환석, 황재현,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과 브랜드 이미지가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3(2):185-206, 2015

      81 김영대, 박관규, "“위험의 사회적 증폭 요인-수정된 SARF 를 통한 아스팔트 방사선 사례 분석”",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24(1):225-261, 2015

      82 김영국, 이애주, 서보원, "유전자 변형식품(GM Food)의 지각된 편익과 위험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연구 11(1):123-143, 2008

      83 진현정, "광우병 발생에 대한 대중매체의 보도와 국내 육류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Safe food,1(2):39-45, 2006

      84 김동욱, "담배회사의 메시지 유형별 금연광고가 광고효과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85 김영욱, "위험,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현대 사회 위험,위기,갈등에 대한 해석과 대응", 서 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86 이선희, 조희숙, "이성적 행동이론에 의한 도시지역 주민들의 일부 건강 증진행태 관련요인 분석",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회지 32(3):183-190, 1999

      87 김기진, 이보순, 변광인,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위험지각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연구 11(3):275-298, 2008

      88 김재현(Jeahyun Kim), 김종기(Jongki Kim), "스마트폰 사용자의 보안수칙 실천 부족에 관한 연구: 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정보시스템연구 24(3):1-19, 2015

      89 설승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조절초점적 관점에서", 동국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90 김원제, 조항민, 송해룡, "과학기술 위험보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GMO(유전자변형식품)사 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9(3):105-128, 2005

      91 이병오 ( Byung-oh Lee ), 신하림 ( Ha-rim Shin ),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뉴스 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경영학회,농업정책학회(구 한국축산경영학회), 농업경영 정책연구 44(3):410-438, 2017

      92 안상돈, 이삼섭, "미국산 쇠고기 파동 및 조류인플루엔자(AI)확산 이후 소비자의 축산물 소비행 태 조사", 농협경제연구소, 2009

      93 허인서,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4

      94 최경덕, "후쿠시마 원전사고 관련 SNS 상의 유해정보가 국내 돼지고기 소비량에 미친 영향 분 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95 신하림, 이병오,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인식이 축산물 비구매의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농업정책학회, 농업경영 정책연구 43(3):540-564, 2016

      96 조성희, "금연 캠페인 제작에서 문구 프레이밍과 이미지 유인가의 상호작용:20~30대 집단을 중 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97 백혜진, 좌보경, 윤문영, "미디어, 지각된 위험 특성, 위험 인식의 관 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구 한국홍보학회), 홍보학연구 17(4):72-109, 2013

      98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공중의 위험관여도,위험인식,심각성 인식과 예 방행동 의도의 관계", 한국위기관리논집 10(5):33-49, 2014

      99 최은주, "위험 지각이 소비자 태도 및 식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멜라민 함유 식품군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20(3):481-490, 2010

      100 Hae Ryong Song, Won Je Kim, Chan Won Kim, "사이버범죄에 대한 미디어의존과 위험 심각성 및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10(5):83-100, 2014

      101 차동필,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1(3):325-348, 2011

      102 유명순, 주영기, "수입식품 위험인식 및 구매 의사 연구 :휴리스틱 성향,자기효능감,뉴스미디 어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7(6):211-233, 2013

      103 김여라,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51:5-25, 2010

      104 김 신, "소비자의 명품에 대한 태도 및 명품구매 성향에 관한 연구 :20 -30대 여성의 준거집단 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2

      105 이민규, 이예리,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12(1):378-413, 2012

      106 김민정, 하희라, 이성림, 손지연,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과 식생활 만족 – 소비자 역량 만 족도와 안전식품구매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문제연구 45(2):137-157, 2014

      107 사지연,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 인식수준 비교분석:유전자재조합식품,식품첨가물, 광우병을 대상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9(4):1-28, 2013

      108 김동욱, 전홍식, "“흡연 여부에 따른 담배회사의 메시지 유형별 금연광고가 광고태도,금연의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광고학 연구,21(5):27-55, 2010

      109 손은하, 이수범, "지각된 위험과 한류문화 관여도가 한국의료관광서비스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잠재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광고홍보학보 18(1):76-111, 2016

      110 전상민,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친환경상품 구매와 식품 소비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 향-성별과 소득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문제연구 45(2):77-96, 2014

      111 이승신, "식품위해 인식과 식품불안감이 식품안전관리제도평가에 미치는 영향: 식품안전정보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54(1):69-81, 2016

      112 김수정, 성민정, "온라인 위험에 대한 상황 인식과 사전 지식 수준이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정보 유출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광고홍보학보 13(4):528-567, 2011

      113 김영국, 최정은, "“ 유기농 식품에 대한 객관적 지식, 주관적 지식, 위험 지각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식품안전 위험지각의 매개효과 ”", 한국조리학회, 한국조리학회지 17(4):153-168, 2011

      114 이윤지, "유기농산물 소비자의 환경가치관과 지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위험인식 및 효과 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115 안상돈, 황명철, "악성 가축질병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지각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농협 유통매장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협동조합경영연구,42:83-107, 2015

      116 김진영,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족 정 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심 으로", 언론과학연구3(2):119-145, 2003

      117 김경환, 최명일, 주지혁, "행위단서로서 광우병 관련 미디어 노출이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인식된 취약성,인식된 심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3(6):50-65, 2009

      118 Robert R., "Ulmer., L. Timothy., Sellnow. and W. Matthew., Seeger, Effective crisis communication:Movingfrom crisistoopportunity,Sage,최양호 이명천 역, 위기 커뮤니케이션:위기는 어떻게 기회가 되었나?", 커뮤니케이션북스(주),2009,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