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영진, "호남지역 석실분과 백제와의 관계,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1997
2 최성락, "해남 백포만의 선사유적, In 최영희선생회갑기념논총" 1987
3 최성락, "해남 군곡리 패총" 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4 김재원, "한국지석묘연구" 국립박물관 1967
5 이기길,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5-34, 2012
6 조진선, "탐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형성과 변천,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7 이종철, "탐진강유역 송국리형 주거문화,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8 김득풍, "제9차 강진 고려청자요지 발굴조사" 국립중앙박물관 (78) : 1987
9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44): 87-106, 2004
10 이승윤, "전남지역의 신석기문화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박물관 17 : 2009
1 임영진, "호남지역 석실분과 백제와의 관계,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1997
2 최성락, "해남 백포만의 선사유적, In 최영희선생회갑기념논총" 1987
3 최성락, "해남 군곡리 패총" 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4 김재원, "한국지석묘연구" 국립박물관 1967
5 이기길,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5-34, 2012
6 조진선, "탐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형성과 변천,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7 이종철, "탐진강유역 송국리형 주거문화,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8 김득풍, "제9차 강진 고려청자요지 발굴조사" 국립중앙박물관 (78) : 1987
9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44): 87-106, 2004
10 이승윤, "전남지역의 신석기문화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박물관 17 : 2009
11 목포대학교박물관, "장흥 오복동 유적" 2004
12 조선대학교박물관,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 2008
13 최몽룡, "장흥 건산리 무문토기 유적" 한국미술사학회 153 : 1982
14 최성락,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고고학회 42 : 125-157, 2012
15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 1997
16 이정호, "영산강유역의 고분변천과정과 그 배경, In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 학연문화사 1999
17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 출토 원통형토기에 대한 시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31 : 2000
18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분연구의 검토 -고분의 개념, 축조방법, 변천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33 : 107-128, 2009
19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2009
20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배경" 역사문화학회 3 (3): 35-57, 2000
21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 - 해석의 관점에 대한 논의 -" 역사문화학회 11 (11): 181-210, 2008
22 이헌종, "영산강 유역의 구석기 고고학과 4기 지질학" 학연문화사 2006
23 임영진, "영산강 유역권 장고분의 제문제" 서울경기고고학회 2003
24 서현주, "영산강 유역 고분 토기 연구" 학연문화사 2006
25 조현종, "신창동유적의 목기와 칠기」『신창동유적의 목기와 칠기-중국 및 일본과 비교-" 2012
26 이병도, "백제의 흥기와 마한의 변천" 진단학회 1959
27 전영래, "백제남방경역의 변천, In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1985
28 이도학, "백제고대국가연구" 일지사 1995
29 김경칠, "목포-광양간 고속도로 건설구간내 문화유적조사보고Ⅰ" 전남문화재연구원 2005
30 노중국, "마한의 성립과 변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0 : 1987
31 김기섭, "근초고왕대 남해안진출설에 대한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24) : 3-26, 1995
32 최성락, "고고학에서 본 침미다례의 위치" 백제학회 (9) : 91-109, 2013
33 최성락, "고고학에서 본 고대 한일문화교류의 쟁점" 고구려연구재단 8 : 2005
34 이영문, "강진지역의 고인돌, In 강진군지" 강진군청 2012
35 해강도자미술관, "강진의 청자요지" 1992
36 최성락, "강진읍성" 목포대학교박물관 2004
37 최성락, "강진군의 선사유적·고분, In 강진군의 문화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1989
38 남도문화재연구원, "강진군의 문화유적분포지도" 2004
39 목포대학교박물관, "강진군의 문화유적" 1988
40 해동문화재연구원, "강진 환경산업단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자료"
41 최성락, "강진 호산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6
42 박미라, "강진 현산리 가마" 남도문화재연구원 2006
43 최몽룡, "강진 파산리 출토의 마제석기류"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 3 : 1976
44 목포대학교박물관, "강진 태양광발전소 설립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임자하수처리시설공사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2006
45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청자창업지원센터 신축부지내 문화재 시굴조사 약보고서" 2012
46 한울문화재연구원, "강진 전라병영성지-내부 북측지역 1차 발굴조사-" 2012
47 마한문화연구원, "강진 전라병영성지" 2011
48 명지대 한국건축문화연구소, "강진 전라병영성지" 2005
49 호남문화재연구원, "강진 월하리 유적" 2009
50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월남사지 2차 정밀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 2013
51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월남사지 1차 정밀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 2012
52 이범기, "강진 월남리 유적, In 장성 월산리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53 전남대학교박물관, "강진 원포 봉수" 전남대학교박물관, 강진군 2006
54 국립중앙박물관, "강진 용운리 청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1996
55 서성훈, "강진 영복리지석묘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광주박물관 1983
56 정일, "강진 양유동취락의 특징과 고대사적 의미" 호남고고학회 45 : 131-156, 2013
57 정일, "강진 양유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58 김민구, "강진 양유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59 최성락, "강진 수양리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7
60 국립광주박물관, "강진 삼흥리 요지Ⅱ" 2004
61 호남문화재연구원, "강진 삼흥리 요지" 2004
62 최순우, "강진 사당리 요지 출토 청자와" 국립박물관 9 : 1964
63 목포대학교박물관, "강진 병영성" 1991
64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도암면 석문리 용혈암지 정밀지표·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 2013
65 林永珍, "韓國 墳周土器의 起源과 變遷" 호남고고학회 17 : 83-111, 2003
66 김진영, "靑銅器時代 耽津江流域의 文化交流 樣相과 交通路" 역사문화학회 13 (13): 125-170, 2010
67 조근우, "耽津江流域 古墳의 性格" 호남고고학회 32 : 103-135, 2009
68 東潮, "榮山江流域と慕韓, In 展望考古學" 考古學硏究會 1995
69 이영철, "壺形墳周土器 登場과 時點" 호남고고학회 25 : 75-99, 2007
70 이용현, "『梁職貢圖』百濟國使條の「旁小國」" 37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