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진지역 고대문화의 고고학적 검토 = Archaeological Examination on the Ancient Culture of Gangjin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5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ngjin is widely known as a place of celadon porcelain culture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it is still question how the ancient culture influenced the beginning of celadon culture. This repor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archaeological findings to identify ancient cultures that resided in Gangjin region. Sites of the Bronze Age in Gangjin are mostly dolmens with a few dwelling sites. Bronze culture existed from early to late Bronze Age, and spread out all around the Gangji region. Although archaeological sites are not found yet, it is known that Iron Age began with exchanges made through sea routes and the society of this period is called Mahan. Three Kingdom period sites consist of dwelling sites and tombs. Tomb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jar coffin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Jar coffin tombs have been discovered from surface investigation, but they have not been excavated. Wooden coffin tombs as well as Jar coffin tombs likely coexisted in Gangjin. A recent finding at Youngpa-ri in Gangjin-eup looks like a keyhole-shaped tomb. This type of tomb was probably built during late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when Baekje`s ruling power became weak. By mid 6th century, Baekje became powerful and stone chamber tombs of its style were built. An example of this is a Baekje styled stone chamber tomb at Suyang-ri in Seongjeon-myeon. There are a few scholars who claim that ‘Chimmidarai’ was the entity of the ancient culture in Gangjin region without clear archaeological evidence. More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ulture in Gangjin region. The question of what the ancient culture of Gangjin region was and how it was related to other region still needs to be answered.
      번역하기

      Gangjin is widely known as a place of celadon porcelain culture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it is still question how the ancient culture influenced the beginning of celadon culture. This repor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archaeological findings to...

      Gangjin is widely known as a place of celadon porcelain culture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it is still question how the ancient culture influenced the beginning of celadon culture. This repor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archaeological findings to identify ancient cultures that resided in Gangjin region. Sites of the Bronze Age in Gangjin are mostly dolmens with a few dwelling sites. Bronze culture existed from early to late Bronze Age, and spread out all around the Gangji region. Although archaeological sites are not found yet, it is known that Iron Age began with exchanges made through sea routes and the society of this period is called Mahan. Three Kingdom period sites consist of dwelling sites and tombs. Tomb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jar coffin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Jar coffin tombs have been discovered from surface investigation, but they have not been excavated. Wooden coffin tombs as well as Jar coffin tombs likely coexisted in Gangjin. A recent finding at Youngpa-ri in Gangjin-eup looks like a keyhole-shaped tomb. This type of tomb was probably built during late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when Baekje`s ruling power became weak. By mid 6th century, Baekje became powerful and stone chamber tombs of its style were built. An example of this is a Baekje styled stone chamber tomb at Suyang-ri in Seongjeon-myeon. There are a few scholars who claim that ‘Chimmidarai’ was the entity of the ancient culture in Gangjin region without clear archaeological evidence. More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ulture in Gangjin region. The question of what the ancient culture of Gangjin region was and how it was related to other region still needs to be answ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진, "호남지역 석실분과 백제와의 관계,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1997

      2 최성락, "해남 백포만의 선사유적, In 최영희선생회갑기념논총" 1987

      3 최성락, "해남 군곡리 패총" 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4 김재원, "한국지석묘연구" 국립박물관 1967

      5 이기길,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5-34, 2012

      6 조진선, "탐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형성과 변천,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7 이종철, "탐진강유역 송국리형 주거문화,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8 김득풍, "제9차 강진 고려청자요지 발굴조사" 국립중앙박물관 (78) : 1987

      9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44): 87-106, 2004

      10 이승윤, "전남지역의 신석기문화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박물관 17 : 2009

      1 임영진, "호남지역 석실분과 백제와의 관계,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1997

      2 최성락, "해남 백포만의 선사유적, In 최영희선생회갑기념논총" 1987

      3 최성락, "해남 군곡리 패총" 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4 김재원, "한국지석묘연구" 국립박물관 1967

      5 이기길,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5-34, 2012

      6 조진선, "탐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형성과 변천,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7 이종철, "탐진강유역 송국리형 주거문화, 탐진강유역의 고고학" 2008

      8 김득풍, "제9차 강진 고려청자요지 발굴조사" 국립중앙박물관 (78) : 1987

      9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44): 87-106, 2004

      10 이승윤, "전남지역의 신석기문화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박물관 17 : 2009

      11 목포대학교박물관, "장흥 오복동 유적" 2004

      12 조선대학교박물관,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 2008

      13 최몽룡, "장흥 건산리 무문토기 유적" 한국미술사학회 153 : 1982

      14 최성락,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고고학회 42 : 125-157, 2012

      15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 1997

      16 이정호, "영산강유역의 고분변천과정과 그 배경, In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 학연문화사 1999

      17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 출토 원통형토기에 대한 시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31 : 2000

      18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분연구의 검토 -고분의 개념, 축조방법, 변천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33 : 107-128, 2009

      19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2009

      20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배경" 역사문화학회 3 (3): 35-57, 2000

      21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 - 해석의 관점에 대한 논의 -" 역사문화학회 11 (11): 181-210, 2008

      22 이헌종, "영산강 유역의 구석기 고고학과 4기 지질학" 학연문화사 2006

      23 임영진, "영산강 유역권 장고분의 제문제" 서울경기고고학회 2003

      24 서현주, "영산강 유역 고분 토기 연구" 학연문화사 2006

      25 조현종, "신창동유적의 목기와 칠기」『신창동유적의 목기와 칠기-중국 및 일본과 비교-" 2012

      26 이병도, "백제의 흥기와 마한의 변천" 진단학회 1959

      27 전영래, "백제남방경역의 변천, In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1985

      28 이도학, "백제고대국가연구" 일지사 1995

      29 김경칠, "목포-광양간 고속도로 건설구간내 문화유적조사보고Ⅰ" 전남문화재연구원 2005

      30 노중국, "마한의 성립과 변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0 : 1987

      31 김기섭, "근초고왕대 남해안진출설에 대한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24) : 3-26, 1995

      32 최성락, "고고학에서 본 침미다례의 위치" 백제학회 (9) : 91-109, 2013

      33 최성락, "고고학에서 본 고대 한일문화교류의 쟁점" 고구려연구재단 8 : 2005

      34 이영문, "강진지역의 고인돌, In 강진군지" 강진군청 2012

      35 해강도자미술관, "강진의 청자요지" 1992

      36 최성락, "강진읍성" 목포대학교박물관 2004

      37 최성락, "강진군의 선사유적·고분, In 강진군의 문화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1989

      38 남도문화재연구원, "강진군의 문화유적분포지도" 2004

      39 목포대학교박물관, "강진군의 문화유적" 1988

      40 해동문화재연구원, "강진 환경산업단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자료"

      41 최성락, "강진 호산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6

      42 박미라, "강진 현산리 가마" 남도문화재연구원 2006

      43 최몽룡, "강진 파산리 출토의 마제석기류"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 3 : 1976

      44 목포대학교박물관, "강진 태양광발전소 설립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임자하수처리시설공사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2006

      45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청자창업지원센터 신축부지내 문화재 시굴조사 약보고서" 2012

      46 한울문화재연구원, "강진 전라병영성지-내부 북측지역 1차 발굴조사-" 2012

      47 마한문화연구원, "강진 전라병영성지" 2011

      48 명지대 한국건축문화연구소, "강진 전라병영성지" 2005

      49 호남문화재연구원, "강진 월하리 유적" 2009

      50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월남사지 2차 정밀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 2013

      51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월남사지 1차 정밀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 2012

      52 이범기, "강진 월남리 유적, In 장성 월산리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53 전남대학교박물관, "강진 원포 봉수" 전남대학교박물관, 강진군 2006

      54 국립중앙박물관, "강진 용운리 청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1996

      55 서성훈, "강진 영복리지석묘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광주박물관 1983

      56 정일, "강진 양유동취락의 특징과 고대사적 의미" 호남고고학회 45 : 131-156, 2013

      57 정일, "강진 양유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58 김민구, "강진 양유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59 최성락, "강진 수양리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7

      60 국립광주박물관, "강진 삼흥리 요지Ⅱ" 2004

      61 호남문화재연구원, "강진 삼흥리 요지" 2004

      62 최순우, "강진 사당리 요지 출토 청자와" 국립박물관 9 : 1964

      63 목포대학교박물관, "강진 병영성" 1991

      64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도암면 석문리 용혈암지 정밀지표·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 2013

      65 林永珍, "韓國 墳周土器의 起源과 變遷" 호남고고학회 17 : 83-111, 2003

      66 김진영, "靑銅器時代 耽津江流域의 文化交流 樣相과 交通路" 역사문화학회 13 (13): 125-170, 2010

      67 조근우, "耽津江流域 古墳의 性格" 호남고고학회 32 : 103-135, 2009

      68 東潮, "榮山江流域と慕韓, In 展望考古學" 考古學硏究會 1995

      69 이영철, "壺形墳周土器 登場과 時點" 호남고고학회 25 : 75-99, 2007

      70 이용현, "『梁職貢圖』百濟國使條の「旁小國」" 37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