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공동체 에너지와 지방분권화의 과제 = German Community Energy and Challenges of Local Decentr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8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election of Moon Jae-in president, the decentralization and energy transition have been set as a key policy, decentralization of energy has become a key issue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government. Municipalities - Citizens' Co...

      Since the election of Moon Jae-in president, the decentralization and energy transition have been set as a key policy, decentralization of energy has become a key issue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government. Municipalities - Citizens' Cooperation Energy transition experiments are actively being sought, and energy-based cooperative associations and energy self-reliant villages are expanding. Community ener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driving force of change that enables energy decentralization. German community energy is moving toward more decentralization and regional innovation, resolving conflicts with citizens, and develop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to cooperate, share and welfare. There are about 1,000 renewable energy facilities owned by citizens in Germany and citizens own about 50% of all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 Germany.
      The decentralization policy task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derived from the German energy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newable energy and integrated energy business laws and plans on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need to be reformed, including regulations on community energy support. Second,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energy cooperation to reinforce the regional energy plan for reorganiz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policy coordin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that can share experience and know-how of community energy expansion, and establish regional energy cooperation organizations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Fourth, it is required to develop a regional circular economic model through community energy innovation and expand stable and long-term employment in the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기후체제 출범으로 세계 각국의 에너지전환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적으로 문재인 정부가탈원전, 탈석탄 에너지전환 정책과 지방분권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

      신기후체제 출범으로 세계 각국의 에너지전환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적으로 문재인 정부가탈원전, 탈석탄 에너지전환 정책과 지방분권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에너지분권, 에너지자립이 우리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다. 공동체 에너지는 지역 에너지분권과 자립을 통해 에너지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변화의 힘으로 주목받고 있다. 독일 공동체 에너지 확대 사례는 에너지분권과 자립이 지방분권화의 근간임을 보여주고 있다. 독일의 경우 현재 시민이 전체 재생에너지설비의 절반 가량을 소유하고 있다. 시민이 소유한 재생에너지설비가 약 1,000개에 이르고 있으며 100% 재생에너지 지역이 독일 전체 면적의 36%로 확대되었다. 분석 결과 독일 공동체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와 특징을 가진다. 첫째, 행위자의 참여, 인식, 실천 측면에서 공동체 에너지의 행위자는 지자체, 시민에너지회사, 에너지협동조합, 시민으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에너지 정책결정과정에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둘째, 기술적 측면에서 공동체 에너지는 재생에너지 전력 및 열 생산, 에너지효율화, 에너지절약부문에서 민관협력모델을 통해 확대되고 있다. 셋째, 경제협력 측면에서 공동체 에너지는 주로 에너지협동조합과 지역 에너지회사의 형태로 추진되고 있으며 공동체 에너지를 통한 이익은 재벌이나 거대에너지회사가 아니라 지역에너지회사와 시민의 이익으로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 에너지의 확대가 에너지정책의 공공성과 지역 경제발전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정책의 수용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되고 있다. 독일 공동체 에너지 정책은 전력 및 열에너지 생산과 소비가 정책과 법제도 설계에 따라공동체 에너지의 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공동체 에너지를 소규모 시민운동차원이 아닌 지방분권화와 지역 에너지전환의 핵심 전략으로 새롭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일, "한국 지방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요인 분석: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9 (49): 165-191, 2015

      2 서혁준, "지역에너지 거버넌스 구축요인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283-312, 2014

      3 윤순진, "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 법문사 2008

      4 오승은, "지방자치단체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유형별 거버넌스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19 (19): 39-59, 2009

      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지방분권시대의 지역혁신과 지역공동체 형성" 2004

      6 강현철, "신재생에너지사업의 거버넌스 분석: 구리시 소수력발전소 건설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1 (21): 95-124, 2012

      7 오용석, "시민참여 기법을 도입한 대구광역시 지역에너지계획의 수립과정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20 (20): 237-283, 2016

      8 박종문,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79-138, 2016

      9 진상현, "분산형 열에너지의 개념 정의 및 적용: 수도권 그린히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4 (24): 131-160, 2016

      10 주인석, "독일의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과 연방-주정부간 협력과 갈등"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9 (19): 35-66, 2016

      1 박기일, "한국 지방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요인 분석: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9 (49): 165-191, 2015

      2 서혁준, "지역에너지 거버넌스 구축요인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283-312, 2014

      3 윤순진, "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 법문사 2008

      4 오승은, "지방자치단체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유형별 거버넌스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19 (19): 39-59, 2009

      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지방분권시대의 지역혁신과 지역공동체 형성" 2004

      6 강현철, "신재생에너지사업의 거버넌스 분석: 구리시 소수력발전소 건설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1 (21): 95-124, 2012

      7 오용석, "시민참여 기법을 도입한 대구광역시 지역에너지계획의 수립과정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20 (20): 237-283, 2016

      8 박종문,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79-138, 2016

      9 진상현, "분산형 열에너지의 개념 정의 및 적용: 수도권 그린히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4 (24): 131-160, 2016

      10 주인석, "독일의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과 연방-주정부간 협력과 갈등"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9 (19): 35-66, 2016

      11 박진희, "독일과 한국의 재생가능에너지 정책 거버넌스 비교" 한독경상학회 35 (35): 37-57, 2017

      12 권오상, "대체에너지 정책에서 지방정부와 NGO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솔라시티(Solar City)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6 (16): 229-248, 2004

      13 이주헌, "대안적 에너지 정책에 대한 탐색: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과 거버넌스의 역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151-185, 2017

      14 고재경, "기후변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적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8

      15 "https://rescoop.eu/"

      16 BMWi, "Zahlen und Fakten - Energiedaten"

      17 Barton, John, "Transiton pathways for a UK low carbon electricity system: Comparing scenarios and technology implication" Realising Transition Pathways 1-44, 2013

      18 REScoop, "The energy transition to energy democracy-Power to people" 2016

      19 Clark, Woodrow W., "Sustainable Communities" Springer 2010

      20 Wuppertal Institut, "Stadtwerke-Neugründungen und Rekommunalisierungen: Energieversorgung in kommunaler Verantwortung"

      21 Lovins, A., "Soft Energy Paths: Towards a Durable Peace"

      22 Yildiz, Özgür, "Renewable energy cooperatives as gatekeepers or facilitators? Recent developments in Germany and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agenda" 6 : 59-73, 2015

      23 Smith, Adrian, "Making the most of community energies: Three Perspectives on grassroots innovation" 48 (48): 407-432, 2016

      24 Energy Cities, "Local Energy Ownership in Europe: An exploratory study of local public initiatives in France"

      25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Linking Renewable Energy to Rural Development" OECD Publishing 2012

      26 "Kraft-Wärme-Kopplungsgesetz(KWKG, 열병합발전법)"

      27 Friedrich Ebert Stiftung, "Kommunaler Energieversorger: Gewinner oder Verlierer der Energiewende?"

      28 Wuppertal Institut, "Kommunale Politik zum Ausbau erneuerbarer Energien -Handlungsmöglichkeiten. Praxisbeispiele und Erfolgsbedingungen"

      29 Enercity, "Jahresabschluss und Lagebericht für das Geschäftsjahr 2015"

      30 Walker, G., "Harnessing community energies : explaining and evaluating community-based localism in renewable energy policy in the UK" 7 : 64-82, 2007

      31 Hargreaves, Tom, "Grassroots innovations in community energy: The role of intermediaries in niche development" 23 : 868-880, 2013

      32 Enercity, "Geschäfts- und Nachhaltigkeitsbericht der Stadtwerke Hannover AG"

      33 Statistische Ämter des Bundes und Länder, "Gebiet und Bevölkerung-Fläche und Bevölkerung"

      34 "Erneuerbare-Energien-Gesetz(EEG, 재생에너지법)"

      35 BMU, "Energiekonzept für eine umweltschonende, zuverlässige und bezahlbare Energieversorgung"

      36 Müller, Jakob R., "Energiegenossenschaften-das Erfolgsmodell braucht neue Dynamik" 24 (24): 96-101, 2015

      37 DGRV, "Energiegenossenschaften-Ergebnisse der DGRV-Jahresumfrage"

      38 BMWi, "EEG-Novelle 2017"

      39 Ohlhorst, Dörte, "Die Umstellung auf Ausschreibungen im Zuge der EEG-Novelle 2014-Auswirkungen auf Bürgerbeteiligung und Vielfalt der Akteure in der Energieversorgung" FFU 2016

      40 Wuppertal Institut, "Dezentrale Stromerzeugung als Chance zur Stärkung der Energie-Resilienz"

      41 Beermann, Jan, "Decentralised laboratories in the German energy transition. Why local renewable energy initiatives must reinvent themselves" 1-10, 2016

      42 Johnson, Victoria C.A., "Community energy and equity: The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a transition to a decentralised electricity system" 8 (8): 149-167, 2014

      43 Department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Community Energy Strategy: People Powering Change"

      44 "Clean Energy Wire"

      45 Mulugetta, Y., "Carbon reduction at community scale" 38 : 7541-7545, 2010

      46 "Bündnis Bürgerenergie e. V"

      47 "BHKW"

      48 "Arbeitsgemeinschaft Energiebilanzen e.V"

      49 Seyfang, Gill, "A thousand flowers blooming? An examination of community energy in the UK" 61 : 977-989, 2013

      50 Seyfang, Gill, "A grassroots sustainable energy niche? Reflections on community energy in the UK" 13 : 21-44, 2014

      51 IdE, "100% Erneuerbare-Energie-Region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