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요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융합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 =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the fusion of disciplinary in terms of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implement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the fusion of disciplinary in point of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accord with the interests of students. Second, modern university is diversified, and emphasize the convergence of disciplinary.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the fusion of disciplinary discuss the idea and purpose of each university,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s a result,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s the setting of specific curriculum guidelines for convergence, the strengthen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s, the flexible course configuration of the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 the construct of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the flexible of credits, diversification of the team teaching method, change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university headquarters.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implement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the fusion of disciplinary in point of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accord wit...

      This paper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implement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the fusion of disciplinary in point of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the consum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accord with the interests of students. Second, modern university is diversified, and emphasize the convergence of disciplinary.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the fusion of disciplinary discuss the idea and purpose of each university,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s a result,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s the setting of specific curriculum guidelines for convergence, the strengthen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s, the flexible course configuration of the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 the construct of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the flexible of credits, diversification of the team teaching method, change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university headquar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수요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대학의 학문 융합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수요자 중심 교육은 수요자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그 교육과정은 대학 내·외적 조건을 고려해야 함을 밝혔다. 둘째, 현대 대학은 지적 측면과 더불어 비지적 측면도 강조하면서 다원화되고 있으며, 대학 성격의 변화에 따라 학문의 융합이 되어야 대응성을 높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셋째, 학문의 융합을 위한 대학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대학의 이념과 목적,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의 세 가지로 구분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대학 교육과정 구성 중점에서는 융합의 방향에 대한 구체적 지침의 설정이 별도로 요구되었다.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교양과 전공의 연계적 성격 강화와 필수와 선택과목 구성의 유연화, 학과 간 협력체제의 구축 등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학점 부여의 융통성, 내실화된 팀티칭과 평가방법의 변화, 대학의 제도적 지원체제의 정비가 있어야 제대로 운영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수요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대학의 학문 융합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수요자 중심 교육은 수요자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그 교육과...

      이 논문은 수요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대학의 학문 융합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수요자 중심 교육은 수요자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그 교육과정은 대학 내·외적 조건을 고려해야 함을 밝혔다. 둘째, 현대 대학은 지적 측면과 더불어 비지적 측면도 강조하면서 다원화되고 있으며, 대학 성격의 변화에 따라 학문의 융합이 되어야 대응성을 높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셋째, 학문의 융합을 위한 대학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대학의 이념과 목적,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의 세 가지로 구분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대학 교육과정 구성 중점에서는 융합의 방향에 대한 구체적 지침의 설정이 별도로 요구되었다.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교양과 전공의 연계적 성격 강화와 필수와 선택과목 구성의 유연화, 학과 간 협력체제의 구축 등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학점 부여의 융통성, 내실화된 팀티칭과 평가방법의 변화, 대학의 제도적 지원체제의 정비가 있어야 제대로 운영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효정,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63-192, 2015

      2 D. J. Ban, "University and general education" Sinkwangculpansa 1999

      3 D. H. Lee, "The turning of a century and pedagogical introspection" Kyoyookkwahaksa 2003

      4 D. H. Lee, "The turning of a century and pedagogical introspection" Kyoyookkwahaksa 2003

      5 D. H. Lee, "The turning of a century and pedagogical introspection" Kyoyookkwahaksa 2003

      6 Daniel Bell, "The reforming of general education: The columbia college experience in its national sett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6

      7 S. H. Lee, "Struggle of university education" Neoteanamu 1992

      8 K. S. Lee, "Modern curriculum" Hyngsulchulpansa 1984

      9 D. H. Lee, "Legitimacy of the consumer-centered curriculum" 14 (14): 1-12, 1996

      10 N. H. Kang, "Knowledge production, discipline strategy, and university reform" Moonhwakwahaksa 1998

      1 홍효정,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63-192, 2015

      2 D. J. Ban, "University and general education" Sinkwangculpansa 1999

      3 D. H. Lee, "The turning of a century and pedagogical introspection" Kyoyookkwahaksa 2003

      4 D. H. Lee, "The turning of a century and pedagogical introspection" Kyoyookkwahaksa 2003

      5 D. H. Lee, "The turning of a century and pedagogical introspection" Kyoyookkwahaksa 2003

      6 Daniel Bell, "The reforming of general education: The columbia college experience in its national sett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6

      7 S. H. Lee, "Struggle of university education" Neoteanamu 1992

      8 K. S. Lee, "Modern curriculum" Hyngsulchulpansa 1984

      9 D. H. Lee, "Legitimacy of the consumer-centered curriculum" 14 (14): 1-12, 1996

      10 N. H. Kang, "Knowledge production, discipline strategy, and university reform" Moonhwakwahaksa 1998

      11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curricul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