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예술과 패션의 아트콜라보레이션 유형연구 = A Study on Art Collaboration Types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shion and art have developed, changed and interacted on each society as forms of various art collaboration. Studies on various types of art collaboration are required to share the meaning and value in art works with the public. This study is supposed to be used as data base to offer effective approach and systematiz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rocess of constantly increasing art collaboration in the fashion field lately. Research method is based on specialty publication and academic thes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tendency and theoretical establishment for collaboration. And data collection stands on artist and fashion brand official websites. The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prevalence relation between collaboration social background based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art collaboration. For data collection fitting tren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of art collaboration was figured out by collecting several successful cases since 2010 and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cas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marketing forms and social function according to type of art collaboration and artists had something in common such as expansion of area, identity development and promotion effect.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base data to present effective approach and systematization for development and progress in art collaboration.
      번역하기

      Fashion and art have developed, changed and interacted on each society as forms of various art collaboration. Studies on various types of art collaboration are required to share the meaning and value in art works with the public. This study is suppose...

      Fashion and art have developed, changed and interacted on each society as forms of various art collaboration. Studies on various types of art collaboration are required to share the meaning and value in art works with the public. This study is supposed to be used as data base to offer effective approach and systematiz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rocess of constantly increasing art collaboration in the fashion field lately. Research method is based on specialty publication and academic thes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tendency and theoretical establishment for collaboration. And data collection stands on artist and fashion brand official websites. The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prevalence relation between collaboration social background based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art collaboration. For data collection fitting tren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of art collaboration was figured out by collecting several successful cases since 2010 and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cas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marketing forms and social function according to type of art collaboration and artists had something in common such as expansion of area, identity development and promotion effect.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base data to present effective approach and systematization for development and progress in art collabo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과 패션은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형태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예술작품에 무형의 가치와 의미를 대중과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유형 연구가 필요한 시대이다. 최근 패션 산업 전반에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아트콜라보레이션 발전과 진행에 있어 효과적인 접근방법과 체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학술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서적과 학술 논문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자료의 수집은 아티스트와 패션 브랜드 공식 웹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콜라보레이션의 생성과 전개 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배경과 콜라보레이션의 성행 관계를 분석하고, 트랜드에 부합하는 자료조사를 위해 2010년 이후 이루어진 복수의 성공사례를 수집하여 그 유형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유형별로 마케팅 형태와 사회적 기능에서 차이점을 나타냈고 아티스트는 영역 확장, 아이덴티티 구축, 홍보 효과의 공통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아트콜라보레이션 발전과 진행에 효과적인 접근방법과 체계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예술과 패션은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형태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예술작품에 무형의 가치와 의미를 대중과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

      예술과 패션은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형태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예술작품에 무형의 가치와 의미를 대중과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유형 연구가 필요한 시대이다. 최근 패션 산업 전반에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아트콜라보레이션 발전과 진행에 있어 효과적인 접근방법과 체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학술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서적과 학술 논문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자료의 수집은 아티스트와 패션 브랜드 공식 웹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콜라보레이션의 생성과 전개 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배경과 콜라보레이션의 성행 관계를 분석하고, 트랜드에 부합하는 자료조사를 위해 2010년 이후 이루어진 복수의 성공사례를 수집하여 그 유형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유형별로 마케팅 형태와 사회적 기능에서 차이점을 나타냈고 아티스트는 영역 확장, 아이덴티티 구축, 홍보 효과의 공통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아트콜라보레이션 발전과 진행에 효과적인 접근방법과 체계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희영,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 경향의 사회문화적 의미" 복식문화학회 18 (18): 245-260, 2010

      2 "헤지스 공식 블로그 자료"

      3 "프라다"

      4 편집부, "패션전문자료사전"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1997

      5 조현아, "패션산업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 5 (5): 19-37, 2005

      6 박경애, "패션, 예술, 산업의 협업사례 고찰" 한국의류학회 33 (33): 1152-1163, 2009

      7 이준영, "트렌드 코리아 2012" 미래의 창 2011

      8 김민정, "트레이딩 업으로서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 (8): 79-94, 2008

      9 데본 리, "콜래보 경제학" 흐름출판 2008

      10 "코오롱인더스트리FNC"

      1 양희영,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 경향의 사회문화적 의미" 복식문화학회 18 (18): 245-260, 2010

      2 "헤지스 공식 블로그 자료"

      3 "프라다"

      4 편집부, "패션전문자료사전"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1997

      5 조현아, "패션산업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 5 (5): 19-37, 2005

      6 박경애, "패션, 예술, 산업의 협업사례 고찰" 한국의류학회 33 (33): 1152-1163, 2009

      7 이준영, "트렌드 코리아 2012" 미래의 창 2011

      8 김민정, "트레이딩 업으로서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 (8): 79-94, 2008

      9 데본 리, "콜래보 경제학" 흐름출판 2008

      10 "코오롱인더스트리FNC"

      11 김헌식, "의외의 선택 뜻밖의 심리학" 위즈덤하우스 2010

      12 신정민, "예술작품으로 재탄생 ‘루이비통 환상 동물원"

      13 김진엽, "예술을 위한 협업의 광장" 73 : 102-107, 2007

      14 "엔제리너스"

      15 "에바알머슨 공식웹"

      16 "쌤소나이트 코리아"

      17 "스킨푸드"

      18 양효진,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태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567-577, 2012

      19 한국경제, "서울서 디자인展기획한 안토넬리 뉴욕현대미술관 디렉터"

      20 김위찬, "블루오션 전략" 교보문고 2005

      21 범상규, "브랜드의 진화, 콜라보레이션"

      22 한경비지니스, "브랜드명가 생존전략 리인벤팅에 길 있다"

      23 "보테가 베네타"

      24 "보그코리아"

      25 네이버 지식백과, "무역용어사전" 한국무역협회

      26 "루이까또즈"

      27 오창섭, "내곁의 키치" 홍시커뮤니케이션 2012

      28 "구찌코리아"

      29 "겐조"

      30 박신미, "20세기 패션과 예술의 상호차용화(相互借用化) 패러다임 특성 고찰" 한국복식학회 61 (61): 80-10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