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주 송산리 6호분의 구조적 특징과 주인공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8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과 더불어 백제에서 만들어진 2기의 벽돌무덤 중 하나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무령왕릉과 달리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송산리 6호분의 주인공을 알기 위해서는 무령왕릉과의 선후 문제, 그리도 피장자의 성별 등이 밝혀져야 한다.
      축조 시기의 문제에 있어서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보다 늦게 축조되었다고 생각한다. 무령왕릉보다 경사면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고, ‘양관와위의사의’, 또는 ‘양선이위사의’로 읽을 수 있는 명문 벽돌이 무령왕릉을 축조하기 위해 만든 벽돌이기 때문이다.
      송산리 6호분의 피장자는 남성으로 이해된다. 棺台가 동쪽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무령왕릉과 비교해 보았을 때 무령왕의 위치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무령왕릉과 봉분이 맞닿을 정도로 인접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주인공은 가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보다 약간 늦게 축조되고, 그 주인공이 남성이며, 무령왕과 가족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그 주인공은 513년에 사망한 순타태자가 아닌가 한다.
      번역하기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과 더불어 백제에서 만들어진 2기의 벽돌무덤 중 하나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무령왕릉과 달리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송...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과 더불어 백제에서 만들어진 2기의 벽돌무덤 중 하나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무령왕릉과 달리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송산리 6호분의 주인공을 알기 위해서는 무령왕릉과의 선후 문제, 그리도 피장자의 성별 등이 밝혀져야 한다.
      축조 시기의 문제에 있어서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보다 늦게 축조되었다고 생각한다. 무령왕릉보다 경사면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고, ‘양관와위의사의’, 또는 ‘양선이위사의’로 읽을 수 있는 명문 벽돌이 무령왕릉을 축조하기 위해 만든 벽돌이기 때문이다.
      송산리 6호분의 피장자는 남성으로 이해된다. 棺台가 동쪽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무령왕릉과 비교해 보았을 때 무령왕의 위치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무령왕릉과 봉분이 맞닿을 정도로 인접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주인공은 가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보다 약간 늦게 축조되고, 그 주인공이 남성이며, 무령왕과 가족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그 주인공은 513년에 사망한 순타태자가 아닌가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t Songsan-ri are brick-chambered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Dynasty. Unlike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researchers are still unsure of who is buried in Tomb No. 6.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sex of the buried person should be identified to know the owner of Tomb No. 6.
      Tomb No. 6 was constructed at a later date compared with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is is because Tomb No. 6 is located below the slope of the ridge and a brick inscribed the characters “梁官瓦爲師矣” or “梁宣以爲師矣” of Tomb No. 6 ar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person buried in Tomb No. 6 is most likely a male. The catafalque placed in the east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addition,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owner of Tomb No. 6 is the family of King Muryeong because Tomb No. 6 is close to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us, Tomb No. 6 was constructed after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its owner is male. It could be claimed that the person buried in Tomb No. 6 is the Crown Prince Sunta because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 person in the tomb is a relative of King Muryeong.
      번역하기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t Songsan-ri are brick-chambered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Dynasty. Unlike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researchers are still unsure of who is buried in Tomb No. 6. The order of constructio...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t Songsan-ri are brick-chambered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Dynasty. Unlike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researchers are still unsure of who is buried in Tomb No. 6.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sex of the buried person should be identified to know the owner of Tomb No. 6.
      Tomb No. 6 was constructed at a later date compared with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is is because Tomb No. 6 is located below the slope of the ridge and a brick inscribed the characters “梁官瓦爲師矣” or “梁宣以爲師矣” of Tomb No. 6 ar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person buried in Tomb No. 6 is most likely a male. The catafalque placed in the east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addition,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owner of Tomb No. 6 is the family of King Muryeong because Tomb No. 6 is close to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us, Tomb No. 6 was constructed after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its owner is male. It could be claimed that the person buried in Tomb No. 6 is the Crown Prince Sunta because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 person in the tomb is a relative of King Murye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머리말
      • II. 입지 및 유적 현황
      • III. 구조적 특징
      • IV. 6호분의 축조 시기와 주인공
      • 국문 초록
      • I. 머리말
      • II. 입지 및 유적 현황
      • III. 구조적 특징
      • IV. 6호분의 축조 시기와 주인공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고분" 2015

      2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고분군 수습유물 재보고서" 2017

      3 이남석, "송산리고분군" 공주대학교 박물관 2010

      4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 4~8·29호분 재보고서" 2015

      5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 1~3호분 재보고서" 2014

      6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7 王志高, "백제문화해외조사보고서Ⅵ" 국립공주박물관 2008

      8 周裕興, "백제문화와 중국의 남조문화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1 (1): 125-154, 2009

      9 김수철,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10 정치영,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1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고분" 2015

      2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고분군 수습유물 재보고서" 2017

      3 이남석, "송산리고분군" 공주대학교 박물관 2010

      4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 4~8·29호분 재보고서" 2015

      5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 1~3호분 재보고서" 2014

      6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7 王志高, "백제문화해외조사보고서Ⅵ" 국립공주박물관 2008

      8 周裕興, "백제문화와 중국의 남조문화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1 (1): 125-154, 2009

      9 김수철,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10 정치영,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11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2011

      12 유혜선, "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Ⅰ)" 국립공주박물관 2005

      13 이주헌,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2) : 379-424, 2019

      14 권오영, "고대 동아시아 문명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개 2005

      15 윤용혁, "가루베지온의 백제유적" 서경문화사 2010

      16 輕部慈恩, "百濟遺跡の硏究" 吉川弘文館 1970

      17 輕部慈恩, "百濟美術" 寶雲舍 1946

      18 王志高, "百濟武寧王陵形制結構的考察" 충청문화재연구원 (창간) : 2005

      19 이남석, "百濟武寧王陵" 공주대 백제문화연구소 1991

      20 강인구, "百濟古墳硏究" 일지사 1977

      21 이남석, "百濟 墓制의 硏究" 서경문화사 2002

      22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Ⅲ)" 2007

      23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Ⅱ)" 2006

      24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Ⅰ)" 2005

      25 尹武炳, "武寧王陵 및 宋山里 6号墳의 塼築構造에 대한 考察" 충남대 백제연구소 5 : 1974

      26 윤태영, "武寧王陵 羨道部의 復元" 8 : 2006

      27 문화재관리국, "武寧王陵 發掘調査報告書" 1973

      28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Ⅵ)(출토유물3 목재 및 관 부속구)" 2020

      29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Ⅴ)(출토유물2 금속류)" 2019

      30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Ⅳ)(출토유물1 옥석류)" 2018

      31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Ⅲ)(분석·제작기술 1)" 2014

      32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Ⅱ)(폐쇄전돌)" 2013

      33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Ⅰ)(墳墓 1)" 2009

      34 王仲殊, "東晉南北朝時代中國與海東諸國的關係" 1989

      35 有光敎一,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 유네스코 동아시아문화연구센터 2002

      36 小泉顯夫, "朝鮮古代遺跡の遍歷" 六興出版 1986

      37 "新增東國輿地勝覽"

      38 강인구, "尹武炳博士回甲紀念論叢" 1984

      39 姜仁求, "古墳硏究" 학연문화사 2000

      40 許輝, "六朝文化" 2001

      41 輕部慈恩, "公州に於ける百濟古墳(4)" 24 (24): 1934

      42 輕部慈恩, "公州に於ける百濟古墳(2)" 23 (23): 1933

      43 공주대학교 박물관, "公州 校村里(校洞) 塼築墓" 2020

      44 "三國史記"

      45 권오영, "2002년 학술회의 : 백제문화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 상장제를 중심으로 한 무녕왕릉과 남조묘의 비교" 백제문화연구소 (31) : 51-63,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