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을덕묘지〉는 조부 高夸가 영류왕대에 이르러 遼東城褥薩·對盧·評臺之職 등의 고관에 올랐다는, 문헌사료에서는 그동안 전혀 살필 수 없었던 사실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사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78606
2021
Korean
榮留王 ; 淵蓋蘇文 ; 高乙德 ; 馬政 ; 尙書省 ; King Yeongnyu ; Yeon Gaesomun ; Go Euldeok ; horse administration ; Sangseoseong
KCI등재
학술저널
161-194(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을덕묘지〉는 조부 高夸가 영류왕대에 이르러 遼東城褥薩·對盧·評臺之職 등의 고관에 올랐다는, 문헌사료에서는 그동안 전혀 살필 수 없었던 사실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사실...
〈고을덕묘지〉는 조부 高夸가 영류왕대에 이르러 遼東城褥薩·對盧·評臺之職 등의 고관에 올랐다는, 문헌사료에서는 그동안 전혀 살필 수 없었던 사실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사실들을 자료로 삼아 고구려 후기 정치사의 주요 문제인 영류왕의 왕권과 연개소문 정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전까지 하위의 관에 머물고 있던 고과는 영류왕대에 고관에 올랐다. 이러한 정치적 성장은 유력 귀족가문들이 대를 이어 권력을 분점해오고 있던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영류왕이 그를 신임하고 후원했음을 알 수 있다. 영류왕은 고과와 같이 정치 권력에서 소외되어 있던 이들을 발탁하여 자신의 친위세력으로 키워나갔던 것이다.
고과의 관로가 열리게 된 계기가 垧事에 있었다는 것은, 영류왕이 즉위 초부터 馬政으로 대표되는 군사적 대비책의 정비에 힘을 쏟았음을 알려준다. 家業으로 牧馬의 실무 지식을 습득해온 고과를 발탁함으로써 마정의 충실을 의도했던 것이다. 점차 노골화되고 있던 唐의 위협도 국왕의 친위세력이 성장하는 기회였다. 요동성은 西邊의 大城이자 對唐 방어의 중심 거점으로, 고위 무장이 욕살에 올라 중앙군을 포함한 1만의 정병을 지휘하며 이 곳을 관장하였다. 이런 자리에 고과가 올랐다는 것은 영류왕이 어느덧 고위 무장으로 성장한 친위세력을 통해 군권을 장악해 나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고과의 최종 관, 평대의 직은 漢代 이래 국정 운영의 중추였던 尙書省의 관인을 가리킨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고구려 후기 정치제도의 새로운 면을 살필 수 있다. 현안에 대해 타당성을 검토하고 판단한 의견을 올리는 상서에 비견되는, 고구려의 관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른바 상위 5관이 주요 정무를 담당하며 그 처리를 주관하였고, 고구려의 상서는 이들 사안의 검토와 의견 표명을 통해 국왕에게 정무적 판단을 제공하였다. 친위세력인 고과에게 상서의 일을 맡김으로써, 영류왕은 유력 귀족들로 이루어졌을 상위 5개 관의 자의적인 정무 처리를 차단하고 국정 운영에 왕권을 행사해 나갈 수 있었다.
연개소문이 부친 淵太祚의 권력을 그대로 잇지 못하고 임시·대리의 직위인 攝職에 머물렀던 연유가 여기에 있었다. 영류왕은 연씨 일가의 권력 계승을 가로막고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되찾으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불만을 품은 연개소문이 정변이라는 비상한 조치를 통해 역습에 나섬으로써, 영류왕이 의도했던 왕권의 재확립은 그것이 정점에 올랐던 바로 그 시점에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pitaph of Go Euldeok tells a fact that his grandfather, Go Gwa(高夸) held high officials such as Yoksal of Liaodong Fortress(遼東城褥薩), Daero(大盧), and Pyeongdae(評臺)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nyu, and it has not been grasped t...
The Epitaph of Go Euldeok tells a fact that his grandfather, Go Gwa(高夸) held high officials such as Yoksal of Liaodong Fortress(遼東城褥薩), Daero(大盧), and Pyeongdae(評臺)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nyu, and it has not been grasped through any other historical documents. Based on these new facts,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Yeongnyu’s royal power and Yeon Gaesomun’s Coup, which is a major issue i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Koguryeo.
Go Gwa, who was previously a low-ranking official, was promoted to a high-ranking official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nyu. His political growth took place in a situation where influential noble families had shared pow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is shows King Yeongnyu’s trust and support for him. King Yeongnyu selected those who were alienated from political power like himself and made them as his own allies.
The opportunity that made Go Gwa pave the way to promote was Sangsa(垧事), which means that from the beginning of King Yeongnyu’s accession, the king devoted himself to the maintenance of military preparations represented by horse administration(馬政). It was intended to be faithful to horse administration by selecting him, who had acquired practical knowledge of breeding horses as a family business. The increasing overt threat of Tang(唐)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king’s allies to grow. Liaodong Fortress was a large fortress on the western border and a central base for defense against the Tang. A high-ranking military commander held Yoksal and commanded 10,000 troops, including the central army, and took control of the fortress. The fact that Go Gwa held such an official shows that King Yeongnyu was gaining control of the military power through the allies who had grown to become a high-ranking military commander.
Go Gwa’s last official post, Pyeongdae, refers to the official in Sangseoseong(尙書省), which played pivot role in state affairs since the Han Dynasty. This reveals a new aspect of the late Koguryeo political system. It shows the aspect that there was a government office in Koguryeo comparable to Sangseo, who checks the validity of pending issues and posts opinions. The so-called top five officials were in charge of major political affairs and supervised the handling, and Sangseo of Koguryeo provided political judgment to the king by examining these issues and expressing their opinions. By entrusting Sangseo to Go Gwa of his allies, King Yeongnyu was able to prevent top five officials made up of influential nobles from arbitrary handling of state affairs and exercise his royal power in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This is the reason why Yeon Gaesomun was unable to continue the power of his father Yeon Taejo(淵太祚) and stayed in temporary, and substitute position, Seopjik(攝職). King Yeongnyu’s intention was to block the succession of power of the Yeon family and regain the initiative in state affairs back. However, the dissatisfied Yeon Gaesomun counterattacked through an extraordinary measure called a coup, and thus the reestablishment of the royal power of King Yeongnyu ended in failure at the very point when it reached its peak.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기환,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2002
2 이성제, "어느 고구려 무장의 가계와 일대기 - 새로 발견된 〈高乙德墓誌〉에 대한 譯註와 분석 -" 중국고중세사학회 (38) : 177-219, 2015
3 갈계용, "신출토 入唐 고구려인 <高乙德墓誌>와 고구려 말기의 내정 및 외교" 한국고대사학회 (79) : 303-343, 2015
4 양진성, "남조시기 尙書 ‘奏事’와 그 운영" 중국사학회 (124) : 45-79, 2020
5 이성제,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 上" 동북아역사재단 2018
6 여호규, "고구려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7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8 이정빈, "고구려-당 관계의 성립과 변경지대(618~624)" 고구려발해학회 54 : 59-85, 2016
9 윤성환, "고구려 후기 ‘대인(大人)’의 실체와 대대로(大對盧)"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5) : 231-279, 2015
10 이문기, "고구려 중리제의 구조와 그 변화" 대구사학회 71 : 75-135, 2003
1 임기환,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2002
2 이성제, "어느 고구려 무장의 가계와 일대기 - 새로 발견된 〈高乙德墓誌〉에 대한 譯註와 분석 -" 중국고중세사학회 (38) : 177-219, 2015
3 갈계용, "신출토 入唐 고구려인 <高乙德墓誌>와 고구려 말기의 내정 및 외교" 한국고대사학회 (79) : 303-343, 2015
4 양진성, "남조시기 尙書 ‘奏事’와 그 운영" 중국사학회 (124) : 45-79, 2020
5 이성제,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 上" 동북아역사재단 2018
6 여호규, "고구려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7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8 이정빈, "고구려-당 관계의 성립과 변경지대(618~624)" 고구려발해학회 54 : 59-85, 2016
9 윤성환, "고구려 후기 ‘대인(大人)’의 실체와 대대로(大對盧)"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5) : 231-279, 2015
10 이문기, "고구려 중리제의 구조와 그 변화" 대구사학회 71 : 75-135, 2003
11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연구" 한나래 2004
12 윤성환, "고구려 영류왕의 對唐 조공책봉관계 수립 정책의 의미" 동북아역사재단 (39) : 93-140, 2013
13 김강훈, "고구려 영류왕 후기 대외정책의 변화와 연개소문의 정변" 역사학회 (249) : 77-112, 2021
14 정호섭, "고구려 淵蓋蘇文 家門의 궤적과 복원" 국학연구원 (185) : 75-104, 2018
15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廣開土王碑』硏究序說-" 岩波書店 1989
16 李文基, "高句麗 莫離支의 官制的 性格과 機能" 55 : 2000
17 李成市, "高句麗 淵蓋蘇文の政變について" 31 : 1993
18 방용철, "高句麗 榮留王代의 정치 동향과 對唐 관계" 대구사학회 102 : 35-60, 2011
19 이규호, "高句麗 官制 硏究" 동국대학교 2021
20 이우태, "韓國金石文集成(2)-高句麗2 高句麗 및 高句麗 關係 金石文(解說編)" 韓國國學振興院 2014
21 李弘稷,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87
22 이성제, "遺民 墓誌를 통해 본 高句麗의 中裏小兄 - 중리소형의 역임자와 직임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431-458, 2016
23 朴漢濟,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제1권" 1999
24 김택민, "譯註 唐六典 上" 신서원 2003
25 金基興, "西巖趙恒來敎授華甲記念 韓國史學論叢" 1992
26 이성제,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한국고대사학회 (92) : 165-197, 2018
27 王炳文, "盛世馬政-<大唐開元十三年隴右監牧頌德碑>的政治史解讀" 4 : 2017
28 永田英正, "漢代の選擧と官僚階級" 43 : 1970
29 최호원, "淵蓋蘇文의 政變과 高句麗・新羅 關係" 역사연구소 (80) : 125-158, 2013
30 정원주, "榮留王의 對外政策과 政局運營" 고구려발해학회 40 : 9-43, 2011
31 선봉조, "榮留王代政局主導權의 變化樣相과 淵氏勢力" 고구려발해학회 33 : 95-130, 2009
32 김진한, "榮留王代 高句麗의 對唐關係와 西北方情勢"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09-340, 2009
33 野田俊昭, "東晉南朝における天子の支配權力と尙書省" 5 : 1977
34 武田幸男,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 4" 學生社 1980
35 田美姬,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上" 1994
36 請田正幸, "朝鮮歷史論叢 上" 1977
37 여호규, "新發見 <高乙德墓誌銘>을 통해 본 高句麗 末期의 中裏制와 中央官制" 백제문화연구소 (54) : 249-284, 2016
38 김탁민, "後漢 尙書臺의 組織과 人的 構成" 동양사학회 (98) : 91-133, 2007
39 林美希, "唐前半期の廏馬と馬印-馬の中央上納システム-" 2014
40 王連龍, "唐代高麗移民高乙德墓誌及相關問題硏究" 2015 (2015): 2015
41 山下將司, "唐の監牧制と中國在住ソグド人の牧馬" 66 (66): 2008
42 石見淸裕, "唐の北方問題と國際關係" 汲古書院 1998
43 石見淸裕, "ソグド人墓誌硏究" 汲古書院 2016
44 여호규,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대구사학회 133 : 151-193, 2018
45 임기환, "6·7세기 高句麗 政治勢力의 동향" 5 : 1992
46 윤성환, "624~642년 고구려의대당(對唐)외교와 정국동향" 동북아역사재단 (59) : 6-62, 2018
47 김강훈, "618-629년 영류왕의 대외정책과 고구려-당ㆍ신라 관계의 변화" 고구려발해학회 66 : 83-114, 2020
백제 무령왕릉 상장례 재고 -목관 안치 방식으로 본 매장의례 복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