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용학, "화용론과 담화분석" 동아대학교출판부 1993
2 권재일, "한국어문법론" 태학사 2014
3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Ⅱ" 집문당 2017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6
5 주세형, "학교문법 다시쓰기 - 언어 단위 문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0) : 461-498, 2004
6 이병규, "표준 문법 정립을 위한 담화론의 논점 탐색"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269-293, 2013
7 고영근, "텍스트이론" 아르케 1999
8 이성만, "텍스트에서 담화로 - 텍스트언어학의 확장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315-340, 2010
9 구현정,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10 이석규,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1 백용학, "화용론과 담화분석" 동아대학교출판부 1993
2 권재일, "한국어문법론" 태학사 2014
3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Ⅱ" 집문당 2017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6
5 주세형, "학교문법 다시쓰기 - 언어 단위 문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0) : 461-498, 2004
6 이병규, "표준 문법 정립을 위한 담화론의 논점 탐색"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269-293, 2013
7 고영근, "텍스트이론" 아르케 1999
8 이성만, "텍스트에서 담화로 - 텍스트언어학의 확장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315-340, 2010
9 구현정,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10 이석규,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11 김정은, "텍스트 갈래 지식에 기반한 설명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12 구세민, "초등 국어과 텍스트성 교육의 비판적 고찰" 우리말학회 (52) : 59-88, 2018
13 이병규, "초등 국어과 교육을 위한텍스트 갈래에 대한 지식 범주화" 청람어문교육학회 (49) : 195-219, 2014
14 김혜정,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한국독서학회 (21) : 33-79, 2009
15 이병규, "원리 중심 학습이 소리와 표기의 관계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60 (60): 261-288, 2017
16 "연세 현대 한국어사전"
17 김용도, "언어학의 담화/텍스트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18 (18): 1998
18 김정은, "설명문 텍스트의 맥락과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97-124, 2015
19 임천택, "새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범주 ‘맥락’의 현장 소통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6) : 109-141, 2007
20 이주섭, "상황맥락을 반영한 말하기·듣기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21 임지룡, "문법 교육론" 역락 2016
22 Lakoff, G., "몸의 철학" 박이정 2002
23 이재기,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99-128, 2006
24 서혁, "담화의 기능 및 유형" 국어교육학회 5 (5): 1995
25 이병규, "담화의 개념과 단위" 한국문학언어학회 (61) : 121-143, 2014
26 정희자, "담화와 문법 그리고 의미" 한국문화사 2009
27 Renkema, J.,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1997
28 송경숙, "담화분석: 대화 및 토론 분석의 실제" 한국문화사 2002
29 류관수, "담화 분석의 방법론적 접근(1)-문장 단위를 중심으로" 조선대 86 (86): 1986
30 이병규, "담화 기능과 그 체계" 반교어문학회 (41) : 239-261, 2015
31 고영근, "단어, 문장, 텍스트" 한국문화사 1995
32 이병규, "기행문 텍스트의 맥락과 형식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7 (27): 269-288, 2016
33 최선희, "기행문 텍스트 갈래의 내용 및 구조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58) : 149-178, 2016
34 노석기, "국어의 담화와 문장에 대한 특성 비교" 한글학회 184 : 1984
35 김봉순,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언어학" 국어교육학회 12 : 2001
36 진선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 ‘맥락’의 실행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초등 설득적 언어 수행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47) : 169-203, 2013
37 이병규, "국어과 내용으로서의 맥락에 대한 재고(再考)"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7-31, 2017
38 김종현,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담화 개념의 위상" 국어교육학회 (44) : 167-201, 2012
39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제2012-14호)"
40 이병규, "국어과 교육 대상으로서의 매체의 특성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3) : 109-136, 2013
41 이병규, "국어 지식 교육의 성격과 국어과 교육의 영역 체계" 국어교육학회 (22) : 243-274, 2005
42 남기심, "개정판 표준 국어문법론" 도서출판 박이정 2018
43 고영근, "개정판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44 진선희, "개정교육과정(2007) 국어과 교육 내용 <맥락>의 교재화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277-308, 2007
45 이희자, "‘의사소통의 최소단위’로서의 ‘발화문’과 ‘문장’"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3 : 343-366, 2002
46 이병규, "‘매체’와 ‘매체언어’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 탐색" 한민족문화학회 49 (49): 95-119, 2015
47 Alice Omaggio Hadley,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Heinle & Heinle 2001
48 Figueroa, E., "Sociolinguistic Metatheory" Pergamon 1994
49 Sperber, D., "Relevance:Communication and cognition, Vol. 142"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50 Halliday, M. A. K, "Language, Context, and Text: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semiotic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51 Halliday, "Language, Context, and 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52 Halliday, "Cohesion in English" Longman 1976
53 Schiffrin, D., "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Blackwell 1994
54 김재봉,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 문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69-9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