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논문 작성 교육의 과정적 접근과 다면피드백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Incorporating Multi-faceted Feedback into a Process Approach in College Research Paper Writing - A Case Study of a ‘Social Science Writing’ Cours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2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research paper writing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by proposing a teaching strategy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process approach with a multi-faceted feedback (MFF) system. Based on the writing pedagogy of a ‘Social Science Writing’ course offe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s a process approach educational model, the roles of MFF,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drawing special attention to the research aspects of research paper writing, this study developed steps in teaching how to write a research paper. The writing process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steps. The first step requires understanding the basics of writing a research paper and ‘finding the writing topic’ (topic selection draft form). Step two 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cess and ‘study design’ (research proposal). Step three requires getting feedback on the proposal and revisiting and revising it. Step four involves revising the proposal, carrying out the research, and writing the research paper. Step five necessitates receiving feedback on the paper and making final revisions (final revised paper). By the instructor offering MFF in each step, students have a chance to experience interactivity, revisiting, and parallelism while writing a research paper, ultimately improving their research paper writing.
      In fact, the majority of students wrote a better research paper by integrating the feedback derived from each step. Incorporating MFF into the process approach is believed to be a highly effective method for teachers to use when instructing students in writing better quality research pap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research paper writing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by proposing a teaching strategy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process approach with a multi-faceted feedback (MFF) system. Based on the writing pedagogy of a ...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research paper writing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by proposing a teaching strategy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process approach with a multi-faceted feedback (MFF) system. Based on the writing pedagogy of a ‘Social Science Writing’ course offe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s a process approach educational model, the roles of MFF,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drawing special attention to the research aspects of research paper writing, this study developed steps in teaching how to write a research paper. The writing process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steps. The first step requires understanding the basics of writing a research paper and ‘finding the writing topic’ (topic selection draft form). Step two 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cess and ‘study design’ (research proposal). Step three requires getting feedback on the proposal and revisiting and revising it. Step four involves revising the proposal, carrying out the research, and writing the research paper. Step five necessitates receiving feedback on the paper and making final revisions (final revised paper). By the instructor offering MFF in each step, students have a chance to experience interactivity, revisiting, and parallelism while writing a research paper, ultimately improving their research paper writing.
      In fact, the majority of students wrote a better research paper by integrating the feedback derived from each step. Incorporating MFF into the process approach is believed to be a highly effective method for teachers to use when instructing students in writing better quality research pap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으로 기존의 과정적 접근을 보완한 교육과 다면피드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수업의 논문 작성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과정적 접근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수업 방법과 다면피드백의 역할과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논문 교육의 과정적 접근으로 논문의 특수성, 즉 연구 과정으로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육 단계를 마련하였다. 논문 작성 과정을 1단계 논문의 이해 및 ‘연구주제 탐색’ 단계(주제선정기안서), 2단계 논문 작성의 이해와 ‘연구계획하기’(연구계획서), 3단계 연구계획서 피드백과 회귀적 점검·수정 단계, 4단계 연구계획 수정· 연구 실행과 논문 초고 작성 단계, 5단계 초고에 대한 피드백과 최종 수정 단계(최종 수정 글)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다면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논문 쓰기의 상호작용성, 회귀성, 병렬성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보다 나은 논문을 작성하게 된다.
      실제로 대다수의 학생들은 글쓰기 각 단계에서 이뤄진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하여 수정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 과정적 접근과 다면피드백시스템을 활용한 논문 작성 교육은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논문을 작성하는 데에 상당히 유효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으로 기존의 과정적 접근을 보완한 교육과 다면피드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수업...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으로 기존의 과정적 접근을 보완한 교육과 다면피드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수업의 논문 작성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과정적 접근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수업 방법과 다면피드백의 역할과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논문 교육의 과정적 접근으로 논문의 특수성, 즉 연구 과정으로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육 단계를 마련하였다. 논문 작성 과정을 1단계 논문의 이해 및 ‘연구주제 탐색’ 단계(주제선정기안서), 2단계 논문 작성의 이해와 ‘연구계획하기’(연구계획서), 3단계 연구계획서 피드백과 회귀적 점검·수정 단계, 4단계 연구계획 수정· 연구 실행과 논문 초고 작성 단계, 5단계 초고에 대한 피드백과 최종 수정 단계(최종 수정 글)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다면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논문 쓰기의 상호작용성, 회귀성, 병렬성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보다 나은 논문을 작성하게 된다.
      실제로 대다수의 학생들은 글쓰기 각 단계에서 이뤄진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하여 수정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 과정적 접근과 다면피드백시스템을 활용한 논문 작성 교육은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논문을 작성하는 데에 상당히 유효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승희, "학술적 글쓰기 주제 선정을 위한 단계별 지도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01-117, 2017

      2 강정구,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론 -학위논문의 분석과 후속연구계획서 작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9) : 185-212, 2010

      3 이기홍,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 한국사회학회 40 (40): 1-24, 2006

      4 박현희, "서울대학교 글쓰기 교과 운영현황과 발전과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 (2): 185-192, 2009

      5 안상희, "범교과적 글쓰기(WAC)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24) : 113-134, 2015

      6 박현희, "대학의 학술적 서평 쓰기 교육의 과정 중심 접근"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73-208, 2017

      7 김정숙,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의 실제 - 논문작성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9 (49): 57-84, 2014

      8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9 최윤정, "대학생 小論文 작성 지도 사례 연구 -아이디어 생성 및 조직하기 단계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405-430, 2012

      10 정희모, "대학글쓰기 교육이 목표 설정과 지식 정보화 시대의 대응" 36 : 5-27, 2015

      1 서승희, "학술적 글쓰기 주제 선정을 위한 단계별 지도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01-117, 2017

      2 강정구,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론 -학위논문의 분석과 후속연구계획서 작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9) : 185-212, 2010

      3 이기홍,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 한국사회학회 40 (40): 1-24, 2006

      4 박현희, "서울대학교 글쓰기 교과 운영현황과 발전과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 (2): 185-192, 2009

      5 안상희, "범교과적 글쓰기(WAC)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24) : 113-134, 2015

      6 박현희, "대학의 학술적 서평 쓰기 교육의 과정 중심 접근"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73-208, 2017

      7 김정숙,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의 실제 - 논문작성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9 (49): 57-84, 2014

      8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9 최윤정, "대학생 小論文 작성 지도 사례 연구 -아이디어 생성 및 조직하기 단계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405-430, 2012

      10 정희모, "대학글쓰기 교육이 목표 설정과 지식 정보화 시대의 대응" 36 : 5-27, 2015

      11 원만희, "대학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과 방법에 관한 시론" 3 (3): 105-118, 2009

      12 이윤빈,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 및 대안적 교육 방안 검토" 한국작문학회 (24) : 135-177, 2015

      13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과정 중심 접근-" 교육과학사 2009

      14 박현희, "교양 사회과학에서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체험과 협력 기반 교육 방법 -‘사회적 약자’에 대한 체험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1-80, 2017

      15 서현주, "과정 중심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7 : 53-78, 2016

      16 이재승,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허점과 보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3) : 143-168, 2007

      17 송명진, "‘수정하기’ 과정의 효율적 배치와 글쓰기의 역동성" 한국 리터러시 학회 (17) : 177-198, 2016

      18 최준호, "‘논문 작성 과정의 순환성 인식’과 ‘선행연구 검토’의 중요성 - 사례 제시를 통한 논문 작성 학습의 효율적 방안 모색과 관련하여" 인문학연구소 35 (35): 65-91,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