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무(桓武)천황과 百濟王氏 = Emperor Kammu and Paekche’s Wang Family Na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0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last name Wang was established as a component of the Ritsuryo State of the Ancient Japan at the end of 7th century, it went through the Nara period in the 8th century to be given preference as an officials a lof the Ritsuryo State. In addition,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has a different system compared to another characteristic of clan system (Wooji and Gabane).
      In the background of preference for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there are the positive factors owned by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such as having characteristics as practical officer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itsuryo State, military, and a group with high technologies as a clan. In addition, in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Japanese Ritsuryo State, it cannot be over looked that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had functioned as a symbolic and real being as a pseudo prosperous nation.
      The treatment for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welcomes the peak at the early period of Heian Period. Under the regime of the Emperor Kammu,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received the most outstanding treatments. Frequently, it is said that there was a close blood relationship between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and Emperor Kammu.
      The Emperor Kammu’s grandparents on his mother’s side were the Dorae clan clan from Paekche. Although his grandfather’s last name is Yamato, he changed his family name to Dakano later on. And the Grandmother’s last name is Oe(but it is originally from a Dorae clan named Hajji. In other words, the blood of Dakano Niigasa, the birth mother of Emperor Kammu is completely from Dorae. Nonetheless, the guardianship of Dakano of Paekche family is Paekche’s Wang Family Name. Consequently, the Emperor Kammu considered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as maternal relatives.
      Meanwhile, one of the characteristics as a clan, Paekche’s Wang Family Name has a military clan characteristic from the Nara period. While maintaining such characteristic, authority a shaving a government approval as a royal concubine for the Emperor by producing multiple number of approvedroyalconcubineswasaddedin the Kammu era. Meanwhile, in the foreign perspective,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presented a ‘new royal consciousness’ of the Emperor Kammu, or the consciousness for succession of Saimay and Denchi. The era of Emperor Kammu was the genuine introduction of Chinese thought sand inspirations of consciousness of a new royal. Since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clan to such consciousness,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could be preferred.
      번역하기

      After the last name Wang was established as a component of the Ritsuryo State of the Ancient Japan at the end of 7th century, it went through the Nara period in the 8th century to be given preference as an officials a lof the Ritsuryo State. In additi...

      After the last name Wang was established as a component of the Ritsuryo State of the Ancient Japan at the end of 7th century, it went through the Nara period in the 8th century to be given preference as an officials a lof the Ritsuryo State. In addition,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has a different system compared to another characteristic of clan system (Wooji and Gabane).
      In the background of preference for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there are the positive factors owned by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such as having characteristics as practical officer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itsuryo State, military, and a group with high technologies as a clan. In addition, in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Japanese Ritsuryo State, it cannot be over looked that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had functioned as a symbolic and real being as a pseudo prosperous nation.
      The treatment for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welcomes the peak at the early period of Heian Period. Under the regime of the Emperor Kammu,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received the most outstanding treatments. Frequently, it is said that there was a close blood relationship between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and Emperor Kammu.
      The Emperor Kammu’s grandparents on his mother’s side were the Dorae clan clan from Paekche. Although his grandfather’s last name is Yamato, he changed his family name to Dakano later on. And the Grandmother’s last name is Oe(but it is originally from a Dorae clan named Hajji. In other words, the blood of Dakano Niigasa, the birth mother of Emperor Kammu is completely from Dorae. Nonetheless, the guardianship of Dakano of Paekche family is Paekche’s Wang Family Name. Consequently, the Emperor Kammu considered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as maternal relatives.
      Meanwhile, one of the characteristics as a clan, Paekche’s Wang Family Name has a military clan characteristic from the Nara period. While maintaining such characteristic, authority a shaving a government approval as a royal concubine for the Emperor by producing multiple number of approvedroyalconcubineswasaddedin the Kammu era. Meanwhile, in the foreign perspective,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presented a ‘new royal consciousness’ of the Emperor Kammu, or the consciousness for succession of Saimay and Denchi. The era of Emperor Kammu was the genuine introduction of Chinese thought sand inspirations of consciousness of a new royal. Since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clan to such consciousness, the Paekche’s Wang family Name could be prefer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왕씨가 7세기 말에 고대일본의 율령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자리 잡은 이래 8세기의 나라(奈良)시대를 거쳐 백제왕씨는 율령국가의 관인으로서 우대되어 왔다. 이와 아울러 일본율령국가의 또 다른 특징인 씨성(우지․가바네) 체제와는 별개의 존재인 것도 지적되어 왔다.
      백제왕씨의 우대의 배경에는 고대일본의 율령국가의 운영에서 필요한 실무 관료로서의 성격, 군사 씨족적 성격으로서의 첨단기술을 가진 집단이라는 점 등 백제왕씨 자체가 갖고 있던 장점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일본율령국가의 유지라는 목적에서, 백제왕씨가 의사(擬似) 번국으로서 상징적이고 실태적인 존재로 기능했다는 사실도 무시할 수 없다.
      백제왕씨의 대우는 헤이안(平安) 초기에 정점을 맞이한다. 간무천황의 치세 하에서 백제왕씨는 일찍이 없었던 대우를 받는데, 그 이유로서 자주 언급되는 것이 백제왕씨와 간무천황의 사이에 가까운 혈연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간무천황의 외조부모는 백제 계통의 도래씨족이었다. 조부는 야마토씨이지만 뒤에 다카노씨로 개성하고, 조모는 오에씨이지만 원래는 하지씨라는 도래계 씨족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간무천황의 생모인 다카노 니이가사의 혈통은 완전한 도래계 혈통이었다. 그런데 백제 계통의 다카노씨의 후견은 백제왕씨였다. 그 결과, 간무천황은 백제왕씨를 외척으로 여긴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로부터의 백제왕씨가 가진 씨족적 특징으로서 군사 씨족적인 성격은 여전히 유지한 채로 복수의 후궁 관인을 배출하는 등 천황의 후궁 관인으로서의 권력이 간무기에는 추가되었다. 한편으로 대외적 관점에서 볼 때 백제왕씨는 간무천황의 ‘신왕조 의식’, 즉 사이메이(斉明)․덴치(天智)조의 계승 의식을 나타냈다. 간무천황 시기는 신왕조 의식의 발상과 함께 중국적인 사상에의 본격적인 도입기였다. 백제왕씨는 이러한 의식에 적합한 씨족으로서 여겨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백제왕씨가 우대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백제왕씨가 7세기 말에 고대일본의 율령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자리 잡은 이래 8세기의 나라(奈良)시대를 거쳐 백제왕씨는 율령국가의 관인으로서 우대되어 왔다. 이와 아울러 일본율령국가...

      백제왕씨가 7세기 말에 고대일본의 율령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자리 잡은 이래 8세기의 나라(奈良)시대를 거쳐 백제왕씨는 율령국가의 관인으로서 우대되어 왔다. 이와 아울러 일본율령국가의 또 다른 특징인 씨성(우지․가바네) 체제와는 별개의 존재인 것도 지적되어 왔다.
      백제왕씨의 우대의 배경에는 고대일본의 율령국가의 운영에서 필요한 실무 관료로서의 성격, 군사 씨족적 성격으로서의 첨단기술을 가진 집단이라는 점 등 백제왕씨 자체가 갖고 있던 장점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일본율령국가의 유지라는 목적에서, 백제왕씨가 의사(擬似) 번국으로서 상징적이고 실태적인 존재로 기능했다는 사실도 무시할 수 없다.
      백제왕씨의 대우는 헤이안(平安) 초기에 정점을 맞이한다. 간무천황의 치세 하에서 백제왕씨는 일찍이 없었던 대우를 받는데, 그 이유로서 자주 언급되는 것이 백제왕씨와 간무천황의 사이에 가까운 혈연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간무천황의 외조부모는 백제 계통의 도래씨족이었다. 조부는 야마토씨이지만 뒤에 다카노씨로 개성하고, 조모는 오에씨이지만 원래는 하지씨라는 도래계 씨족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간무천황의 생모인 다카노 니이가사의 혈통은 완전한 도래계 혈통이었다. 그런데 백제 계통의 다카노씨의 후견은 백제왕씨였다. 그 결과, 간무천황은 백제왕씨를 외척으로 여긴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로부터의 백제왕씨가 가진 씨족적 특징으로서 군사 씨족적인 성격은 여전히 유지한 채로 복수의 후궁 관인을 배출하는 등 천황의 후궁 관인으로서의 권력이 간무기에는 추가되었다. 한편으로 대외적 관점에서 볼 때 백제왕씨는 간무천황의 ‘신왕조 의식’, 즉 사이메이(斉明)․덴치(天智)조의 계승 의식을 나타냈다. 간무천황 시기는 신왕조 의식의 발상과 함께 중국적인 사상에의 본격적인 도입기였다. 백제왕씨는 이러한 의식에 적합한 씨족으로서 여겨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백제왕씨가 우대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완범, "동아시아세계 속의 「백제왕씨」의 성립과 전개-'일본율령국가'를 분석하는 소재로써" 백제연구소 44 (44): 245-260, 2006

      2 保立道久, "黄金国家―東アジアと平安日本―" 青木書店 2004

      3 林陸朗, "高野新笠をめぐって" 3 : 1977

      4 新日本古典文学大系, "続日本紀" 岩波書店 34-40, 1998

      5 "続日本紀"

      6 金谷信之, "百済王系の女性たちについての若干の考察(2)" 62 : 328-, 1995

      7 三松みよ子, "百済王凋落についての一考察 in 藤澤一夫先卒寿生記念論文集" 真陽社 2002

      8 坂元義種, "渡来人の氏族 in 古代の日本11 ウヂとイエ" 中央公論社 336-, 1987

      9 林陸朗, "桓武朝後宮の構成とその特質" 24 : 55-58, 1992

      10 上田正昭, "桓武朝廷と百済王氏" 岩波書店 1992

      1 송완범, "동아시아세계 속의 「백제왕씨」의 성립과 전개-'일본율령국가'를 분석하는 소재로써" 백제연구소 44 (44): 245-260, 2006

      2 保立道久, "黄金国家―東アジアと平安日本―" 青木書店 2004

      3 林陸朗, "高野新笠をめぐって" 3 : 1977

      4 新日本古典文学大系, "続日本紀" 岩波書店 34-40, 1998

      5 "続日本紀"

      6 金谷信之, "百済王系の女性たちについての若干の考察(2)" 62 : 328-, 1995

      7 三松みよ子, "百済王凋落についての一考察 in 藤澤一夫先卒寿生記念論文集" 真陽社 2002

      8 坂元義種, "渡来人の氏族 in 古代の日本11 ウヂとイエ" 中央公論社 336-, 1987

      9 林陸朗, "桓武朝後宮の構成とその特質" 24 : 55-58, 1992

      10 上田正昭, "桓武朝廷と百済王氏" 岩波書店 1992

      11 田中史生, "桓武朝の百済王氏 in 日本古代国家の民族支配と渡来人" 校倉書房 1997

      12 大坪秀敏, "桓武朝における百済王氏"

      13 瀧波貞子, "桓武天皇と皇統意識 in 日本古代宮廷社会の研究" 思文閣出版 1991

      14 井上満郎, "桓武天皇と渡来氏族 in 長岡京古文化叢書" 三星出版 1992

      15 宮永慶美, "桓武天皇と外戚―渡来系氏族優遇説の再検討―" 352 : 2004

      16 村尾次郎, "桓武天皇" 吉川弘文館 1963

      17 日本古典文学大系, "日本書紀" 岩波書店 16-, 1965

      18 "日本書紀"

      19 "日本後紀"

      20 "日本後紀"

      21 段熙麟, "日本史に生きた渡来人たち" 松籟社 52-, 1986

      22 河内春人, "日本古代における昊天祭祀の再検討" 52 (52): 2000

      23 坂上康俊, "日本の歴史05 律令国家の転換と「日本」" 講談社 2001

      24 吉川真司, "日本の時代史5 平安京" 吉川弘文館 2002

      25 利光三津夫, "律令制下の百済王氏 in 前近代日本の法と政治―邪馬台国及び律令制の研究―" 北樹出版 44-71, 2002

      26 吉川真司, "律令体制の形成 in 日本史講座第1巻東アジアにおける国家の形成" 東京大學出版会 233-235, 2004

      27 義江明子, "平野社の成立と変質"

      28 保立道久, "平安時代の国際意識 in 歴史をみつめ直す―封建制概念の放棄―" 校倉書房 49-, 2004

      29 森田悌, "平安前期政治史研究" 吉川弘文館 1978

      30 佐藤宗諄, "平安前期政治史序説" 東京大学出版会 1977

      31 笹山晴生, "平安初期の政治改革 in 展望日本歴史" 東京堂出版 2002

      32 熊谷公男, "平安初期における征夷の終焉と蝦夷支配の変質 in 展望日本歴史6 律令国家" 東京堂 2002

      33 関晃, "帰化人" 至文堂 177-178, 1956

      34 玉井力, "女御․更衣制度の成立" 19 : 1972

      35 直木孝次郎, "土師氏の研究―古代的氏族と律令制との関連をめぐって― in 日本古代の氏族と天皇" 塙書房 1964

      36 小出義治, "土師氏の伝承成立とその歴史的背景 in 土師器と祭祀" 雄山閣出版 1990

      37 米沢康, "土師氏の伝承と実態― 日本書紀の所伝を中心として― in 日本古代の神話と歴史" 吉川弘文館 1992

      38 平野邦雄, "今来漢人 in 大化前代社会組織の研究" 吉川弘文館 244-249, 1969

      39 村井章介, "中世日本列島の地域空間と国家" 732 : 47-, 1985

      40 仁藤敦史, "七世紀後半の戦乱と古代国家―白村江の戦いと壬申の乱―" 東洋書林 240-, 1999

      41 "一代要記" 臨川書店 60-83, 1983

      42 村井章介, "アジアのなかの中世日本" 校倉書房 1988

      43 송완범, "‘百濟王氏’와 日本律令國家의 성립과정에 대한 일고찰 in 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 제이앤씨 2010

      44 송완범, "8세기 중엽 ‘新羅征討’ 계획으로 본 古代日本의 對外方針" 한일관계사학회 (25) : 187-212,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6 1.3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4 1.2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