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논설문 쓰기 학습을 위해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설문은 고급 단계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2913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부산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495.7 판사항(23)
부산
v, 100 장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김명순
참고문헌: 장 92-97
I804:21016-00000014409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논설문 쓰기 학습을 위해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설문은 고급 단계에서...
본 연구는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논설문 쓰기 학습을 위해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설문은 고급 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쓰기 장르이고 논설문 쓰기 교육을 통해 논리적인 표현 강화, TOPIK 시험 대비, 표현의 고급화와 정확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상황 맥락을 고려하는 논설문 쓰기를 통해 한국어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글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본고는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포괄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능력을 길러내는 논설문이 연구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논설문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 쓰기 교육의 흐름에 따라 논설문이 하나의 장르로 학습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하며 각 쓰기 지도 접근법의 장점을 살려 과정과 장르가 통합된 논설문 쓰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도출했다. 또한 이러한 관점이 한국어 교재에도 반영되어야 학습자들의 효율적인 논설문 쓰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관점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Ⅱ장에서는 쓰기 지도 접근법과 논설문의 이론을 살폈다. 쓰기 지도 접근법은 결과 중심에서 과정 중심, 과정 중심에서 장르 중심 접근법으로 시대에 따른 변화의 과정이 있었고 이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도 반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시하고자 하는 과정과 장르 통합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여 교재 개선 방안의 기초 도구로 삼았다. 또한 논설문은 이견이 있는 독자를 설득하기 위해 논거가 뒷받침되는 주장이 제시되고, 이를 위해 논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논설문의 특징을 반영한 장르 지식의 교수 또한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의 대학 기관에서 출판하고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합형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 5종을 분석하였다. 각 교재별로 논설문 장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수록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내용 중에서 교재의 한계점들을 보완하고 Ⅱ장에서 살핀 이론들을 반영하여 실제 단원 구성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분석한 교재들이 소홀히 다루었던 한국어 논설문 쓰기를 오롯이 학습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하였다. 이어서 과정과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을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 장르 지식의 습득과 맥락 고려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 교재의 취약점이었던 쓰기 전과 후 단계의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을 보완하였으며, 글의 맥락과 장르 지식을 더 풍성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동료 학습자와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처음 논설문을 접하는 학습자들의 불안을 낮추고 진입장벽을 낮추려는 의도를 반영하였다.
교재는 학습자와 교사가 가장 많이 의존해야 하는 제 1의 학습 매체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이 높은 교재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한 논설문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실제 논설문 쓰기 수업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와 기존 연구에서 비중이 낮았던 논설문 장르에 대해 고민한 점과 효율적인 논설문 학습을 위해 과정과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의 이점을 통합하여 교재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실제 수업을 통한 실효를 검증하지 못 했다는 한계는 후속 과제로 남기고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에서 논설문 장르에 대한 중요성이 더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