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 명종대 후반기 정치양상과 이의민의 집권 = Political Aspect and Centralization of Lee Ui-min in the Second Half-year of Myeongjong of K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795516

      • 저자
      • 발행사항

        부천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51.90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v, 54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가톨릭대학교(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채웅석
        참고문헌 포함

      • UCI식별코드

        I804:41027-200000686364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3th year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慶大升), which corresponds to the latter half of Myeongjong(明宗), is said to be the reign of Lee Ui-min, but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a certain individual or power, including such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s Lee Ui-min(李義旼), led the government arbitrarily. During this period, the military officials compromised and checked each other and led the government. The king and the literati officials compromised and cooperated with the military officials and participat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with some voice.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latter half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it deals with how the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Lee Ui-min, compromised and cooperated with the king and the literati officials and led the government.
      In the 9th year of King Myeongjong(1179), Gyeong Dae-seung, who became a new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fter removing the Jeong Jung-bu(鄭仲夫) family, tried to revive the order and discipline of correct consideration centering on the king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ructural changes or changes in the political forces that led the political situation, he organized Dobang(都房) to monitor the surroundings and to cause excessive administration of the major criminal cases such as murder and high treason, thereby reducing the illegal behavior of the military officials and limiting their 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king 's authority and political influence have risen and he has been able to make his voice, such as being involved in personnel decisions.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 it was still the military officials that led the country. The military officials carried out their interests through the Jungbang(重房). And in the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bureaucracy maintained its function, the military officials expanded their political influence by concurrently holding a civil office. The literati officials compromised with the military officials and were involv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nd the military officials accepted it in a way that did not harm their interests. Although Myeongjong led the eradication of Gyeong Dae-seung, such as leading the dismantling Dobang of the aftermath of Gyeong Dae-seung, he tolerated and accepted the reality that they led the government in order not to stimulate the military officials with a common political background.
      After the 19th year of King Myeongjong(1189), the military officials who led the government and the literati officials cooperating with them died in succession, and Lee Ui-min began to lead the government. After an military coup detat, Lee Ui-min not only had a high position and reputation by making various distinguished services, but also received a threat of murder from Gyeong Dae-seung, and became a symbol of Gyeong Dae-seung's opposition.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 Lee Ui-min, who returned 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fter receiving a call from Myeongjong, did not show any political movements. During the reign of Gyeong Dae-seung, he fell back from home and lacked a foundation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so rather than forcibly going to the front, he cooperated with other the military officials and protected them, drawing support from them.
      As a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 Lee Ui-min did not show any dogmatic aspect even though he secured political influence to lead the country. There is a point where he could not help but show concession and consideration for Myeongjong, who call himself to come, but he also witnessed the collapse of former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who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rbitrarily, causing dissatisfaction. Because of this, Lee Ui-min did not arbitrarily lead the country and wanted to avoid conflicts with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However,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changes or safeguards to protect oneself, Lee Ui-min gradually followed the steps of the previous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nd provided the righteous cause. In the end, Lee Ui-min was taken down by Choi Chung-Heon's surprise.
      번역하기

      The 13th year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慶大升), which corresponds to the latter half of Myeongjong(明宗), is said to be the reign of Lee Ui-min, but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a certain individual or power, including such influential...

      The 13th year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慶大升), which corresponds to the latter half of Myeongjong(明宗), is said to be the reign of Lee Ui-min, but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a certain individual or power, including such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s Lee Ui-min(李義旼), led the government arbitrarily. During this period, the military officials compromised and checked each other and led the government. The king and the literati officials compromised and cooperated with the military officials and participat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with some voice.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latter half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it deals with how the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Lee Ui-min, compromised and cooperated with the king and the literati officials and led the government.
      In the 9th year of King Myeongjong(1179), Gyeong Dae-seung, who became a new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fter removing the Jeong Jung-bu(鄭仲夫) family, tried to revive the order and discipline of correct consideration centering on the king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ructural changes or changes in the political forces that led the political situation, he organized Dobang(都房) to monitor the surroundings and to cause excessive administration of the major criminal cases such as murder and high treason, thereby reducing the illegal behavior of the military officials and limiting their 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king 's authority and political influence have risen and he has been able to make his voice, such as being involved in personnel decisions.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 it was still the military officials that led the country. The military officials carried out their interests through the Jungbang(重房). And in the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bureaucracy maintained its function, the military officials expanded their political influence by concurrently holding a civil office. The literati officials compromised with the military officials and were involv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nd the military officials accepted it in a way that did not harm their interests. Although Myeongjong led the eradication of Gyeong Dae-seung, such as leading the dismantling Dobang of the aftermath of Gyeong Dae-seung, he tolerated and accepted the reality that they led the government in order not to stimulate the military officials with a common political background.
      After the 19th year of King Myeongjong(1189), the military officials who led the government and the literati officials cooperating with them died in succession, and Lee Ui-min began to lead the government. After an military coup detat, Lee Ui-min not only had a high position and reputation by making various distinguished services, but also received a threat of murder from Gyeong Dae-seung, and became a symbol of Gyeong Dae-seung's opposition.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 Lee Ui-min, who returned 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fter receiving a call from Myeongjong, did not show any political movements. During the reign of Gyeong Dae-seung, he fell back from home and lacked a foundation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so rather than forcibly going to the front, he cooperated with other the military officials and protected them, drawing support from them.
      As a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 Lee Ui-min did not show any dogmatic aspect even though he secured political influence to lead the country. There is a point where he could not help but show concession and consideration for Myeongjong, who call himself to come, but he also witnessed the collapse of former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who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rbitrarily, causing dissatisfaction. Because of this, Lee Ui-min did not arbitrarily lead the country and wanted to avoid conflicts with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However,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changes or safeguards to protect oneself, Lee Ui-min gradually followed the steps of the previous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nd provided the righteous cause. In the end, Lee Ui-min was taken down by Choi Chung-Heon's surpri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명종대 후반기에 해당하는 경대승 사후 13년은 이의민 집권기라 일컬어지고 있지만, 무신집권자인 이의민을 비롯해 특정 개인이나 세력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시기 무신들은 서로 타협하고 견제하면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왕과 문신들은 무신들과 타협하고 협력하며 국정운영에 어느 정도 제 목소리를 내며 관여했다. 본고에서는 바로 이러한 명종대 후반기 정치양상을 조명하며, 이의민을 비롯한 여러 무신들이 국왕과 문신들과 어떻게 타협하고 협력하며 정국을 주도해 나갔는지 다루고 있다.
      명종 9년(1179) 정중부 일가를 제거하고 새로운 무신집권자가 된 경대승은 스스로 품고 있던 ‘復古’의 뜻에 따라 국왕을 중심으로 한 올바른 고려의 질서와 규율을 되살리고자 했다. 비록 구조적인 변화나 정국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의 교체가 이뤄지진 않았지만, 都房을 조직하여 주변을 감시하고 과도한 옥사를 일으킴으로써 무신들의 불법적인 행동을 줄어들게 만들며 그들의 행보에 제약을 가했다. 반면, 국왕의 권위와 정치적 영향력은 상승하여 인사결정에 관여하는 등 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경대승 사후 정국을 주도하는 건 여전히 무신들이었다. 무신들은 중방을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관철해 나갔다. 그리고 기존 관료체제가 제 기능을 유지하던 상황에서, 무신들은 문반직을 겸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넓혀갔다. 문신들은 무신들과 타협하며 국정운영에 관여했고, 무신들은 자신들의 이권에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이를 수용했다. 명종은 경대승 사후 도방 해체를 주도하는 등 경대승 지우기를 주도하긴 했지만, 자신과 공통적인 정치적 배경을 지닌 무신들을 자극치 않고자 그들이 정국을 주도하는 현실을 묵인하고 받아들였다.
      명종 19년(1189) 이후 정국을 주도하던 무신들과 이에 협력하는 문신들이 연달아 사망하면서 이의민이 정국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이의민은 무신정변 이후 여러 공로들을 세우며 높은 직책과 명성을 소유했을 뿐 아니라 경대승으로부터 살해 위협을 당하면서 경대승의 대척점이라는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경대승 사후 명종의 부름을 받고 중앙정계로 복귀한 이의민은 이렇다 할 정치적 행보를 보이지 않았다. 경대승 집권기 동안 낙향하여 중앙정계에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었기에 무리하게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다른 무신들과 협력하고 그들을 보호해주기도 하면서 그들로부터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의민은 무신집권자로서 정국을 주도할 만큼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했음에도 독단적인 면모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자신을 불러올린 명종에 대해 양보와 배려를 보이지 않을 수 없었던 점도 있지만, 이전 무신집권자들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다가 불만을 사서 몰락한 것을 목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의민은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지 않았으며, 국왕 및 왕실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했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나 자신을 지킬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의민은 점차 앞선 무신집권자들의 행보를 답습하며 정변의 명분을 만들었다. 결국 이의민은 최충헌 형제의 기습을 받고 몰락하게 되었다.
      번역하기

      명종대 후반기에 해당하는 경대승 사후 13년은 이의민 집권기라 일컬어지고 있지만, 무신집권자인 이의민을 비롯해 특정 개인이나 세력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이 나타나지 않...

      명종대 후반기에 해당하는 경대승 사후 13년은 이의민 집권기라 일컬어지고 있지만, 무신집권자인 이의민을 비롯해 특정 개인이나 세력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시기 무신들은 서로 타협하고 견제하면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왕과 문신들은 무신들과 타협하고 협력하며 국정운영에 어느 정도 제 목소리를 내며 관여했다. 본고에서는 바로 이러한 명종대 후반기 정치양상을 조명하며, 이의민을 비롯한 여러 무신들이 국왕과 문신들과 어떻게 타협하고 협력하며 정국을 주도해 나갔는지 다루고 있다.
      명종 9년(1179) 정중부 일가를 제거하고 새로운 무신집권자가 된 경대승은 스스로 품고 있던 ‘復古’의 뜻에 따라 국왕을 중심으로 한 올바른 고려의 질서와 규율을 되살리고자 했다. 비록 구조적인 변화나 정국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의 교체가 이뤄지진 않았지만, 都房을 조직하여 주변을 감시하고 과도한 옥사를 일으킴으로써 무신들의 불법적인 행동을 줄어들게 만들며 그들의 행보에 제약을 가했다. 반면, 국왕의 권위와 정치적 영향력은 상승하여 인사결정에 관여하는 등 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경대승 사후 정국을 주도하는 건 여전히 무신들이었다. 무신들은 중방을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관철해 나갔다. 그리고 기존 관료체제가 제 기능을 유지하던 상황에서, 무신들은 문반직을 겸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넓혀갔다. 문신들은 무신들과 타협하며 국정운영에 관여했고, 무신들은 자신들의 이권에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이를 수용했다. 명종은 경대승 사후 도방 해체를 주도하는 등 경대승 지우기를 주도하긴 했지만, 자신과 공통적인 정치적 배경을 지닌 무신들을 자극치 않고자 그들이 정국을 주도하는 현실을 묵인하고 받아들였다.
      명종 19년(1189) 이후 정국을 주도하던 무신들과 이에 협력하는 문신들이 연달아 사망하면서 이의민이 정국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이의민은 무신정변 이후 여러 공로들을 세우며 높은 직책과 명성을 소유했을 뿐 아니라 경대승으로부터 살해 위협을 당하면서 경대승의 대척점이라는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경대승 사후 명종의 부름을 받고 중앙정계로 복귀한 이의민은 이렇다 할 정치적 행보를 보이지 않았다. 경대승 집권기 동안 낙향하여 중앙정계에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었기에 무리하게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다른 무신들과 협력하고 그들을 보호해주기도 하면서 그들로부터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의민은 무신집권자로서 정국을 주도할 만큼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했음에도 독단적인 면모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자신을 불러올린 명종에 대해 양보와 배려를 보이지 않을 수 없었던 점도 있지만, 이전 무신집권자들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다가 불만을 사서 몰락한 것을 목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의민은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지 않았으며, 국왕 및 왕실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했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나 자신을 지킬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의민은 점차 앞선 무신집권자들의 행보를 답습하며 정변의 명분을 만들었다. 결국 이의민은 최충헌 형제의 기습을 받고 몰락하게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1
      • Ⅰ. 경대승의 집권과 무신통제 6
      • Ⅱ. 경대승 사후 국왕·문신·무신의 타협정국 12
      • Ⅲ. 이의민의 정국 주도와 몰락 31
      • 맺음말 45
      • 머리말 1
      • Ⅰ. 경대승의 집권과 무신통제 6
      • Ⅱ. 경대승 사후 국왕·문신·무신의 타협정국 12
      • Ⅲ. 이의민의 정국 주도와 몰락 31
      • 맺음말 45
      • 참고문헌 48
      • 영문 논문제출서 50
      • 영문 인준서 51
      • ABSTRACT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