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에서 진행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Utility of Humanities Program Conducted in Farming Area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했을 때 나타나는 효용성을 분석한 글이다. 사회 전반에서 볼 수 있는 인문학 열풍이 도시 중심으로 진행되고 농촌 지역민은 인문학을 접하는 게...

      본 연구는 농촌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했을 때 나타나는 효용성을 분석한 글이다. 사회 전반에서 볼 수 있는 인문학 열풍이 도시 중심으로 진행되고 농촌 지역민은 인문학을 접하는 게 어려운 사회문화적인 상황을 사회구조적인 문제로만 접근한다면, 삶의 학문인 인문학이 새로운 차별을 외면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인문학은 더 이상 삶의 학문이 아니라 하나의 이상으로만 존재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으나, 한 지역에서만 진행되었으며, 지역민 전체가 아니라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밝힌다.
      2장에서는 농촌 지역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문학 강좌를 중심으로 지역민의 인식 변화를 고찰했다. 인문학 강좌에 참여한 지역민들이 인문학 강좌에서 습득한 지식과 정보로 자신들이 살아가는 지역에 대해 주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역사에서 자긍심을 느끼며, 지역이라는 모호한 공간을 의미 있는 장소로 인식하는 변화에서 인문학의 효용성을 찾았다. 3장에서는 농촌 안에서도 상대적인 소외자인 노인들에게 시 낭송을 매개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노인들이 읽기에 비교적 부담이 적은 시와 리듬이 있는 낭송을 진행하면서 노인 인문학의 발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 19(COVID-19) 감염병 상황에서 노인 세대에 대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부 농촌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인문학 소외지역에서 인문학은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인문학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실천학으로서의 인문학적 지평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를 둔다. 아울러 코로나 19와 같은 문명의 변화 앞에서 노인 세대처럼 상대적인 인문학 소외계층에 나타나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해 우리 모두 고민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s at how humanities programs can bring about changes to local people in farming areas where it is not easy to meet the humanities. If the urban-centered humanities craze is approached a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humanities, the stud...

      This study looks at how humanities programs can bring about changes to local people in farming areas where it is not easy to meet the humanities. If the urban-centered humanities craze is approached a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humanities, the study of life, will create new discrimination, and humanities will no longer exist in certain areas, but only in one or more area. The study begins with this recognition of problems, but was conducted only in one region, and only for local people who participated in humanities programs, not the entire community.
      Firstly,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humanities courses for farming area residents was examined. Local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humanities course found the utility of humanities in recognizing the ambiguous space of the region as their own place, feeling proud of the region’s history wit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y acquired from the humanities course. Secondly, this study looked at the process of conducting humanities programs through poetry reading to elderly people who are relatively marginalized in farming are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utility of the humanities program in the elderly generation in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nly one farming area,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humanistic horizon as a practice on how humanities should move and the approach that the humanities should adopt in areas where humanities are alienated. In addition,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ities that have emerged in the face of civilization changes, such as COVID-19, should also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얼 쇼리스, "희망의 인문학—클레멘트 코스 기적을 만들다" 이매진 2010

      2 김성리, "한센인의 생애구술과 치유" 대한의사학회 22 (22): 389-420, 2013

      3 최상욱, "하이데거 vs 레비나스" 세창출판사 2019

      4 유범상, "필링의 인문학" 논형 2014

      5 애덤 샌델, "편견이란 무엇인가" 와이즈베리 2015

      6 레프 톨스토이, "톨스토이 인생론" 홍신문화사 2015

      7 최옥채, "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학현사 2004

      8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2005

      9 빌헬름 딜타이, "정신과학 입문" 지만지 2009

      10 제프 말파스, "장소와 경험" 에코리브르 2014

      1 얼 쇼리스, "희망의 인문학—클레멘트 코스 기적을 만들다" 이매진 2010

      2 김성리, "한센인의 생애구술과 치유" 대한의사학회 22 (22): 389-420, 2013

      3 최상욱, "하이데거 vs 레비나스" 세창출판사 2019

      4 유범상, "필링의 인문학" 논형 2014

      5 애덤 샌델, "편견이란 무엇인가" 와이즈베리 2015

      6 레프 톨스토이, "톨스토이 인생론" 홍신문화사 2015

      7 최옥채, "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학현사 2004

      8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2005

      9 빌헬름 딜타이, "정신과학 입문" 지만지 2009

      10 제프 말파스, "장소와 경험" 에코리브르 2014

      11 박선아, "자서전, 역사소설, 미시사, 그 경계를 넘어서" 한국불어불문학회 (80) : 183-222, 2009

      12 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로컬리티 인문학’ 연구의 전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41-73, 2009

      13 정창우,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6) : 23-58, 2015

      14 이정희, "인문도시지원사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정책설계ㆍ리더십ㆍ자원ㆍ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3 (13): 91-120, 2018

      15 김지원, "인문도시지원사업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연구재단 선정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9-26, 2017

      16 채영희, "인문도시사례 분석을 통한 시민 의사소통 교육 가능성 모색"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3-, 2018

      1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4

      18 강연호, "익산 인문도시 사업의 현황과 과제" 인문학연구소 17 (17): 63-85, 2016

      19 조광제, "의식의 85가지 얼굴" 글항아리 2008

      20 데이비드 스노든, "우아한 노년" 사이언스북스 2011

      21 김상근, "아레테의 힘, 인문학으로 창조하라" 멘토 2013

      22 최신한, "슐라이어 마허—감동과 대화의 사상가" 살림 2003

      23 김수정, "생애사 쓰기에 나타나는 ‘자기돌봄’과 ‘이야기정체성’ — 경상북도 노인전문간호센터 생애사 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8 (78): 435-458, 2021

      24 김성리, "산청의 정신문화를 찾아서" 알렙 2021

      25 마르틴 하이데거, "빌헬름 딜타이의 탐구작업과 역사적 세계관" 누멘 2020

      26 마크 앱스타인, "붓다의 심리학—명상의 정신치료적 작용" 홍신문화사 2006

      27 이윤정, "문화교육으로서의 시민교육"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 : 149-, 2001

      28 문재원, "로컬리티 담론과 인문학" 소명출판 2017

      29 이명수, "로컬, 로컬리티 그리고 인문학적 공간― 로컬리톨로지 도달에 관한 동양학적 전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 : 47-73, 2010

      30 서우석, "도시인문학의 등장 - 학문적 담론과 실천" 도시인문학연구소 6 (6): 29-56, 2014

      31 양은아, "대중인문학교실 참여 학습자의 학습활동과 경험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35-74, 2009

      32 안외순, "당진학" 모시는 사람들 2021

      33 루이즈 애런슨, "나이듦에 관하여" Being 2020

      34 귀스타르 르봉, "군중심리학" 책세상 2014

      35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사이 2020

      36 조윤제, "고전은 당신을 배신하지 않는다" 21세기 북스 2021

      37 김경옥, "‘인문도시목포’를 통해 본 대학의 기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893-912, 2017

      38 이명호, "City Identity를 통한 지방 정부의 이미지 상승에 관한 연구" 전남대 지역개발연구소 4 : 1996

      39 허정애, ""근대路 열린 인문학" : 기억과 재생의 인문도시 대구 중구" 인문학술원 (2) : 185-20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