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해양 유류오염 및 방제기술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해양환경 이슈와 해양오염 관련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초등학생 해양 환경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75591
2015
Korean
539
KCI등재
학술저널
15-23(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해양 유류오염 및 방제기술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해양환경 이슈와 해양오염 관련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초등학생 해양 환경교육...
이 연구는 해양 유류오염 및 방제기술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해양환경 이슈와 해양오염 관련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초등학생 해양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용 해양 유류오염 및 방제기술에 대한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 881명에게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초등학생의 해양오염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해양환경 이슈와 해양오염 관련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해양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marine oil pollution and oil spill response high technology. E...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marine oil pollution and oil spill response high technolog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marine oil pollution and oil spill response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88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ppli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rine pollution improved, and the possibilities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applied marine environment issues and high technology related to marine pollution was prov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두곤, "환경과학적 측면에서의 해양환경공학의 학문적 성격과 발전 방향" 131-137, 2003
2 양명희, "해양환경교육을 위한 탐구중심 환경교육의 관점" 137-143, 2009
3 심정은, "해양환경공학과 환경교육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에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1 (11): 175-180, 2008
4 민주영, "해양유류오염 및 방제기술에 관한초등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224-226, 2014
5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 수립연구 최종보고서 요약본"
6 정화성,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7-40, 2010
7 배성환, "학교와 사회환경교육의 연계발전사례" 59-68, 2003
8 이두곤,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개념과 의미"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80-89, 2006
9 홍승호, "초등학생들의 환경오염 개념에 대한 인식 수준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63-71, 2009
10 유영길, "첨단과학기술 체험 및 이해를 통한 초등학교 과정에서의 창의성 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18, 2008
1 이두곤, "환경과학적 측면에서의 해양환경공학의 학문적 성격과 발전 방향" 131-137, 2003
2 양명희, "해양환경교육을 위한 탐구중심 환경교육의 관점" 137-143, 2009
3 심정은, "해양환경공학과 환경교육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에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1 (11): 175-180, 2008
4 민주영, "해양유류오염 및 방제기술에 관한초등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224-226, 2014
5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 수립연구 최종보고서 요약본"
6 정화성,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7-40, 2010
7 배성환, "학교와 사회환경교육의 연계발전사례" 59-68, 2003
8 이두곤,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개념과 의미"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80-89, 2006
9 홍승호, "초등학생들의 환경오염 개념에 대한 인식 수준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63-71, 2009
10 유영길, "첨단과학기술 체험 및 이해를 통한 초등학교 과정에서의 창의성 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18, 2008
11 오윤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89-104, 2012
12 환경부, "제 2차 중․장기 환경교육 강화방안 연구. http : //www. prism. go. kr/homepage/research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 do;jsessionid=BEDB43AA81B69F90E1DA588864A91FD9"
13 유영현, "재난적 해양오염방제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방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41-158, 2013
14 김선곤, "수산·해운계 고등학교의 해양환경 교육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釜慶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5 이수정, "미래 지향적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1-39, 2008
16 김광수,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1. 국내외 해양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유출량" 해양환경안전학회 19 (19): 129-137, 2013
17 교육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과학과 교육과정"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교육을 통한 환경교육 강화 방안: 우리나라와 외국의 학교 환경교육"
19 장지영,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389-406, 2010
20 Palmer, J.,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Routledge 2002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해석한 환경소양 요소에 의한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분석
탐구중심 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의 융합적 교육 모형 제안
초등학생의 자연체험 활동을 통한 시 쓰기의 효과 검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8-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4-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환경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2 | 0.94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