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탐구중심 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의 융합적 교육 모형 제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5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직지천 생태연못을 사례 지역으로 탐구중심 물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을 연계하여 ‘융합적(STEAM) 물환경 탐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된 환경교육 모형에서는 김천시 직지천 유역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에 대해 통찰적 탐구를 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로 EC와 DO 등의 수질 측정을 통해 수질을 탐구하고, 부착조류의 역할을 탐구하는 과학적 탐구를 하였다. 또한 물가에서 적당한 놀이를 하였고, 수변 환경을 둘러보고, 디지털 카메라로 생물상이나 아름다운 자연환경 또는 공원의 조각품 등을 촬영하고, 학생들은 수변 사진을 보면서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디카시(詩)의 형태로 표현하는 문학적 감성적 표현 활동을 하였다.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과 탐구중심 환경교육(IBEE)를 결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통찰적 탐구, 과학적 탐구, 감성적 표현활동을 포함한 더 흥미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교육을 의도하였다.
      이 연구는 탐구중심 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의 접목으로 더 나은 환경교육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점에서 의의가 깊다. 또한 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그 연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직지천 생태연못을 사례 지역으로 탐구중심 물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을 연계하여 ‘융합적(STEAM) 물환경 탐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된 환경교육 모형에서는 김천시 직지천 ...

      이 연구는 직지천 생태연못을 사례 지역으로 탐구중심 물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을 연계하여 ‘융합적(STEAM) 물환경 탐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된 환경교육 모형에서는 김천시 직지천 유역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에 대해 통찰적 탐구를 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로 EC와 DO 등의 수질 측정을 통해 수질을 탐구하고, 부착조류의 역할을 탐구하는 과학적 탐구를 하였다. 또한 물가에서 적당한 놀이를 하였고, 수변 환경을 둘러보고, 디지털 카메라로 생물상이나 아름다운 자연환경 또는 공원의 조각품 등을 촬영하고, 학생들은 수변 사진을 보면서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디카시(詩)의 형태로 표현하는 문학적 감성적 표현 활동을 하였다.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과 탐구중심 환경교육(IBEE)를 결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통찰적 탐구, 과학적 탐구, 감성적 표현활동을 포함한 더 흥미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교육을 의도하였다.
      이 연구는 탐구중심 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의 접목으로 더 나은 환경교육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점에서 의의가 깊다. 또한 환경교육과 STEAM 교육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그 연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of the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BEE) and STEAM Education was proposed while taking Eco-pond in the Jikjicheon watershed as an example. The proposed EE model includes an insightful inquiry of historic, geograph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ikjicheon watershed in Gimcheon city. Water quality monitoring was also a part of the model, which was conducted scientific inquiry to measure water quality with using DO (dissolved oxygen) and EC (electrical conductivity) digital meters to inquire the water quality and the role of attached algae in there. Besides, proper games in the watersides were conducted and taking pictures of the watershed environment, organisms and sculptures with digital cameras while looking around the pond and activities for student’s literary expression such as making dicapoem (digital camera poem) expressing their feelings about the waterside scene pictur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with the IBEE and STEAM Education. This model intends to be more interesting and easily accessibl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sightful and scientific inquiry and creative emotional expression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has tried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of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EAM education (STEAM-IBE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Furthermore, by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e connecting possibility between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EAM educa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a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of the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BEE) and STEAM Education was proposed while taking Eco-pond in the Jikjicheon watershed as an example. The proposed EE model includes an insightful inquiry of...

      In this study, a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of the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BEE) and STEAM Education was proposed while taking Eco-pond in the Jikjicheon watershed as an example. The proposed EE model includes an insightful inquiry of historic, geograph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ikjicheon watershed in Gimcheon city. Water quality monitoring was also a part of the model, which was conducted scientific inquiry to measure water quality with using DO (dissolved oxygen) and EC (electrical conductivity) digital meters to inquire the water quality and the role of attached algae in there. Besides, proper games in the watersides were conducted and taking pictures of the watershed environment, organisms and sculptures with digital cameras while looking around the pond and activities for student’s literary expression such as making dicapoem (digital camera poem) expressing their feelings about the waterside scene pictur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with the IBEE and STEAM Education. This model intends to be more interesting and easily accessibl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sightful and scientific inquiry and creative emotional expression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has tried Convergent Educational Model of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EAM education (STEAM-IBE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Furthermore, by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e connecting possibility between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EAM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 Ⅴ. 요약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계은, "환경문학체험을 통한 환경감수성 함양"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41-50, 2011

      2 강민정, "환경교육에서의 정서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83-602, 2014

      3 남상준, "환경교육론" 대학사 1995

      4 최성봉, "환경교육 영상매체 활용 수업이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 17 (17): 1183-1193, 2008

      5 이성덕,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47 (47): 65-88, 2010

      6 우석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특활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377-386, 2008

      7 이재붕, "환경감수성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과 이를 이용한 환경감수성 측정- 중등학교 환경반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138-149, 2006

      8 조향숙,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9 이경진, "학습과학 관점으로 본 레오나르도 다빈치 학습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의 함의"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91-217, 2013

      10 김종미, "학교인근숲 체험 환경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함양" 11 : 56-70, 2007

      1 백계은, "환경문학체험을 통한 환경감수성 함양"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41-50, 2011

      2 강민정, "환경교육에서의 정서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83-602, 2014

      3 남상준, "환경교육론" 대학사 1995

      4 최성봉, "환경교육 영상매체 활용 수업이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 17 (17): 1183-1193, 2008

      5 이성덕,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47 (47): 65-88, 2010

      6 우석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특활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377-386, 2008

      7 이재붕, "환경감수성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과 이를 이용한 환경감수성 측정- 중등학교 환경반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138-149, 2006

      8 조향숙,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9 이경진, "학습과학 관점으로 본 레오나르도 다빈치 학습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의 함의"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91-217, 2013

      10 김종미, "학교인근숲 체험 환경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함양" 11 : 56-70, 2007

      11 李仙景, "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과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전략의 효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12 강선미,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105-124, 2011

      13 정만우, "하천에서의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조덕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16 (16): 185-202, 1998

      15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16 박선미,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273-285, 2004

      17 이재붕, "탐구학습 모형에 기초한물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연구 : 중등학교 환경반을 대상으로" 11 : 35-55, 2007

      18 정옥영, "탐구중심 물환경교육과STEAM교육의 융합적 교육 모형 제안" 165-173, 2012

      19 이두곤,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개념과 의미"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80-89, 2006

      20 심정은, "탐구 중심 환경교육을 위한 전기전도도의 환경교육적 가치" 42-51, 2008

      21 신영준,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514-523, 2011

      22 "창조경제포럼(2013. 11. 18., 권기균)놀이에서 과학으로"

      23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24 최유현,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63-87, 2012

      25 태진미,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한국영재학회 21 (21): 1011-1032, 2011

      2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0

      27 김연희, "질적 사고와 창의성 : 예술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 한국미학예술학회 33 : 309-344, 2011

      28 최현석, "인간의 모든 감정" 서해문집 2011

      29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30 이정민,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588-596, 2014

      31 최정훈,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 모델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32 이지원, "융합 인재 교육(STEAM)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현장적용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2 (32): 47-59, 2013

      33 권난주,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65-278, 2012

      34 허진숙, "유역중심의 환경교육적 탐구: 개념과 방법론" 23-30, 2007

      35 장혜라, "유역개념을 중심으로 한물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환경교육 교재 모형 개발" 10 : 90-100, 2006

      36 이두곤, "유역 개념을 중심으로 한 탐구 기반의 물 환경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ENVIS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150-164, 2006

      37 임유나, "우리나라 중학생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및 과학 학업성취와의 상관과 영향력 분석: TIMSS 2003, 2007, 2011 결과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21, 2014

      38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39 태진미, "예술영재와 과학영재의 창의성 비교"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3 (13): 101-118, 2013

      40 이재붕, "영재학생을 위한 물 환경교육 탐구 훈련지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391-407, 2012

      41 이재붕, "영재교육을 위한 환경교육 모형과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42 김정화, "소하천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 ENVISION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0 (20): 12-26, 2007

      43 김진영, "생명과학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44 류재홍, "미호천의 물 환경 탐구 - TOC를 중심으로 한 수질모니터링 -" 한국물환경학회 23 (23): 731-739, 2007

      45 이상옥, "멀티포엠과 디카시(詩)의 전략"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5) : 73-96, 2011

      46 김무길, "듀이의 흥미 개념 재이해와 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42) : 7-28, 2008

      47 조주연, "두뇌과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감성교육 수업모형 개발 연구" 369-391, 2000

      48 조오근, "놀이기반탐구(PBI) 상황에서 물리탐구학습자료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143-154, 2006

      49 "김천시홈페이지"

      50 "국립국어원"

      51 이홍우, "교육의 개념" 문음사 2002

      52 김정효, "교과 영역의 융합을 통한 현대적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서울예술고등학교 미술 과목 「구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49) : 95-122, 2014

      53 이효녕,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북스힐 2012

      54 권난주,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감성을 위한 과학 예술 융합방안 분석" 32 (32): 77-93, 2012

      55 김정효,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 STEAM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상의 검토 -"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123-152, 2013

      56 강윤정, "과학․예술 융합형 프로그램(STEAM)의 개발과 적용 사례: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51) : 1-24, 2014

      57 배희숙,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178-186, 2009

      58 이효녕, "과학 교과와 연계된 통합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295-319, 2014

      59 원종철, "감성의 본질과 학습, 그리고 교육적 적용" 37 (37): 173-199, 1999

      60 노상우,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4 (34): 71-97, 2012

      61 최유현,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143-164, 2008

      62 노희진,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75-402, 2014

      63 손연아,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3 (13): 255-284, 2012

      64 백성혜, "STEAM 실현을 위한 사범대학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주관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65 조순자,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요소 분석" 18 : 19-39, 2013

      66 이보석, "MBL을 이용한 탐구중심환경교육 모형 개발: 용존산소 측정활동" 72-82, 2011

      67 Yakman, G. G.,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40-76, 2011

      68 Peterson, N., "Developmental variables effec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rofessional environmental educator"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 1982

      69 이민경, "DO미터를 활용한 초등학생 탐구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11-31, 2011

      70 류재홍, "DO 미터를 이용한 탐구중심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용존산소 측정 활동 -"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96-107, 2006

      71 Sanders, M., "An introduction to integrative STEM education"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72 강도현, "A-STEAM 프로그램의 감성적 체험 내용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52) : 1-32, 2014

      73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년도 융합인재교육(STEA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환경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2 0.9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