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매개(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 A 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Uncertainty within Cultural Mediation and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Case of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term “cultural mediation”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research in Korea. Most works on this topic hav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notion of “cultural medi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research and that of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field of cultural sociology by regarding the two conceptually separate and even exclusive to each other. The forme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emocracy defines cultural mediation as professional tasks that improve the audiences’ experiences of art. The latter defines cultural intermediaries as professions who construct the value of symbolic goods within the chains of cultural industry that link products with consumers. This study tries to build a theoretical linkage between the two research orientations by arguing that they investigate the same phenomenon which emerges across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y utilizing theoretical resources of cultural sociology to investigate the uncertainty inherent in cultural mediation within the ideological and structural dynamics in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argues that the notion and task of cultural mediation is contradictory and complex in its nature. This study also argues that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unique uncertainty of cultural mediation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both the limit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democracy entailed by cultural mediation.
      번역하기

      Recently, the term “cultural mediation”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research in Korea. Most works on this topic hav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notion of “cultural medi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res...

      Recently, the term “cultural mediation”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research in Korea. Most works on this topic hav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notion of “cultural medi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research and that of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field of cultural sociology by regarding the two conceptually separate and even exclusive to each other. The forme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emocracy defines cultural mediation as professional tasks that improve the audiences’ experiences of art. The latter defines cultural intermediaries as professions who construct the value of symbolic goods within the chains of cultural industry that link products with consumers. This study tries to build a theoretical linkage between the two research orientations by arguing that they investigate the same phenomenon which emerges across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y utilizing theoretical resources of cultural sociology to investigate the uncertainty inherent in cultural mediation within the ideological and structural dynamics in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argues that the notion and task of cultural mediation is contradictory and complex in its nature. This study also argues that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unique uncertainty of cultural mediation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both the limit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democracy entailed by cultural medi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국의 예술 분야에서 “문화매개”라는 용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문헌들은 정책 연구의 문화매개(médiation culturelle)와 사회학의 문화매개자(cultural intermediaries)를 개념적으로 분리하거나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취급해왔다. 정책 지향적 문화매개 논의는 문화 민주주의적 견지에서 향유자의 예술 경험을 증진시키는 전문 직무를 문화매개라 정의하는 반면, 산업 지향적 문화매개자 논의는 생산과 소비 사이의 다양한 지점에서 가치를 형성하는 전문가를 문화매개자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두 관점이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모두에서 증가하는 매개 활동이라는 동일한 현상을 상이한 이해관심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둘 사이의 이론적 연결을 구축하여 문화매개(자)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매개 개념 및 직무가 내포하는 불확실성을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이념적이고 구조적인 맥락 속에서 탐구함으로써 문화매개가 근원적으로 모순적이고 복합적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학의 이론적 자원들을 통해 문화매개에 내재하는 고유한 불확실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문화매개가 지향하는 문화 민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최근 한국의 예술 분야에서 “문화매개”라는 용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문헌들은 정책 연구의 문화매개(médiation culturelle)와 사회학의 문화매개자(cultural intermediaries)를 개념적으...

      최근 한국의 예술 분야에서 “문화매개”라는 용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문헌들은 정책 연구의 문화매개(médiation culturelle)와 사회학의 문화매개자(cultural intermediaries)를 개념적으로 분리하거나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취급해왔다. 정책 지향적 문화매개 논의는 문화 민주주의적 견지에서 향유자의 예술 경험을 증진시키는 전문 직무를 문화매개라 정의하는 반면, 산업 지향적 문화매개자 논의는 생산과 소비 사이의 다양한 지점에서 가치를 형성하는 전문가를 문화매개자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두 관점이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모두에서 증가하는 매개 활동이라는 동일한 현상을 상이한 이해관심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둘 사이의 이론적 연결을 구축하여 문화매개(자)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매개 개념 및 직무가 내포하는 불확실성을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이념적이고 구조적인 맥락 속에서 탐구함으로써 문화매개가 근원적으로 모순적이고 복합적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학의 이론적 자원들을 통해 문화매개에 내재하는 고유한 불확실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문화매개가 지향하는 문화 민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길, "피에르 부르디외의 언어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과학과 상징폭력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14 (14): 97-145, 2013

      2 이가야,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정책과 문화 민주화"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43) : 457-479, 2013

      3 고봉만,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 18 : 177-194, 2000

      4 김규원, "지역 문화매개인력 현황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5 부르디외, "재생산" 동문선 2000

      6 권미원, "장소 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2013

      7 김미영, "위기의 서울문화재단" 한겨레신문

      8 알렉산더, "예술사회학: 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살림 2003

      9 이상길, "아틀라스의 발 : 포스트식민 상황에서 부르디외 읽기" 문학과지성사 2018

      10 강윤주, "생활예술공동체 내 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인천 ‘문화바람’의 경우" 비판사회학회 (100) : 335-373, 2013

      1 이상길, "피에르 부르디외의 언어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과학과 상징폭력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14 (14): 97-145, 2013

      2 이가야,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정책과 문화 민주화"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43) : 457-479, 2013

      3 고봉만,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 18 : 177-194, 2000

      4 김규원, "지역 문화매개인력 현황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5 부르디외, "재생산" 동문선 2000

      6 권미원, "장소 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2013

      7 김미영, "위기의 서울문화재단" 한겨레신문

      8 알렉산더, "예술사회학: 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살림 2003

      9 이상길, "아틀라스의 발 : 포스트식민 상황에서 부르디외 읽기" 문학과지성사 2018

      10 강윤주, "생활예술공동체 내 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인천 ‘문화바람’의 경우" 비판사회학회 (100) : 335-373, 2013

      11 골드바드, "새로운 창의적 공동체 :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한울 2015

      12 레이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 문화과학사 2010

      13 부르디외, "상징 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14 김수정, "부르디외의 지적 전통이 한국 문화정책에 갖는 함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32): 33-56, 2018

      15 문시연, "문화정책 토대로서의 프랑스 비관객(les non-publics) 논의 연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4 : 61-90, 2010

      16 장세영,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광주광역시 양림동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15

      17 지영호,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29): 28-49, 2015

      18 곽정연, "문화민주주의 : 독일어권 문화정책과 예술경영" 글로벌콘텐츠 2017

      19 김지현, "문화매개자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1) : 5-40, 2012

      20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매스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154-176, 2010

      21 민지은, "문화 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2 김정현, "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 1인 미디어,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0-62, 2018

      23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나무 2004

      24 심보선, "국가폭력과 말" 영미문학연구회 (39) : 193-217, 2015

      25 부리요, "관계의 미학" 미진사 2011

      26 김은미,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소 49 (49): 74-114, 2012

      27 장훈, "공공부문 문화매개인력 공급체계 개선연구: 재정지원 문화매개인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28 듀이, "경험으로서 예술" 나남 2016

      29 민지은, "「문화매개자médiateur culturel」의 개념과 양성에 관한 연구: 프랑스 문화매개자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37) : 185-210, 2016

      30 Karpik, Lucien, "Valuing the Unique: The Economics of Singular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31 Rogoff, Irit, "Turning" e-flux journal

      32 Boltanski, Luc, "Travailler avec Bourdieu" Flammarion 153-161, 2003

      33 Mörsch, Carmen, "Time for Cultural Mediation" Institute for Art Education of Zurich University of the Arts (ZHdK) 2014

      34 심보선, "Theoretical Strategies for the Analysis of Cultural Policy Formation: The Case of the NEA" 사회발전연구소 35 (35): 61-81, 2006

      35 Negus, Keith, "The Work of Cultural Intermediaries and the Enduring Distance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16 (16): 501-515, 2002

      36 Juncker, Beth,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Towards an Expressive Cultural Democracy" 46 (46): 231-242, 2016

      37 Abbott, Andrew, "The Systems of Professions: an Essay on the Division of Expert Lab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38 Peterson, Richard A, "The Sociology of Culture Emerging Theoretical Perspectives" Blackwell 163-189, 1994

      39 Peterson, Richard A., "The Production of Culture Perspective" 30 : 311-341, 2004

      40 DiMaggio, Paul J., "The Politics of Culture: Policy Perspectives for Individuals, Institution, and Communities" The New Press 38-61, 2000

      41 Nieborg David B., "The Platformization of Cultural Production : Theorizing the Contingent Cultural Commodity" 20 (20): 4275-4292, 2018

      42 Meyer, John W.,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62, 1991

      43 Sapiro, Gisèle, "The Metamorphosis of Modes of Consecration in the Literary Field : Academies, Literary Prizes, Festivals" 59 : 5-19, 2016

      44 Bourdieu, Pierre,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Essays on Art and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45 Callon, Michel, "The Economy of Qualities" 31 (31): 194-217, 2002

      46 Menger, Pierre-Michael, "The Economics of Creativity: Art and Achievement under Uncertain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47 McFall, Liz, "The Cultural Intermediaries Reader" Sage 42-51, 2014

      48 Durrer, Victoria, "The Cultural Intermediaries Reader" Sage 124-138, 2014

      49 Brkić, Aleksandra, "Teaching Arts Management: Where Did We Lose the Core Ideas?" 38 (38): 270-280, 2009

      50 Hannan, Michael T., "Structural Inertia and Organizational Change" 49 (49): 149-164, 1984

      51 Cronin, Anne M, "Regimes of Mediation: Advertising Practitioners as Cultural Intermediaries" 7 (7): 349-369, 2004

      52 Hirsch, Paul M, "Processing Fads and Fashions : An Organization-Set Analysis of Cultural Industry Systems" 77 (77): 639-659, 1972

      53 Alexander, Victoria D, "Pictures at an Exhibition : Conflicting Pressures in Museums and the Display of Art" 101 (101): 797-839, 1996

      54 McGovern, Gail, "Outsourcing Marketing" 83 : 22-26, 2005

      55 DiMaggio, Paul J, "Organization Theory and Public Policy" Sage 147-161, 1983

      56 DiMaggio, Paul J, "Nonprofit Enterprise in the Arts: Studies in Mission and Constraint" Oxford University Press 41-62, 1986

      57 Zolberg, Vera L, "Nonprofit Enterprise in the Arts: Studies in Mission and Constraint" Oxford University Press 184-198, 1986

      58 Peterson, Richard A., "Nonprofit Enterprise in the Arts: Studies in Mission and Constraint" Oxford University Press 161-183, 1986

      59 손정훈, "Mediation culturelle의 개념과 성립배경 : 문화정책적 측면의 특성과 그에 따른 우리말 번역을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41) : 177-201, 2007

      60 DiMaggio, Paul J, "Market Structure, the Creative Process, and Popular Culture : Toward an Organizational Reinterpretation of Mass‐Culture Theory" 11 (11): 436-452, 1977

      61 DiMaggio, Paul J., "Manager of the Arts" Seven Locks Press 1987

      62 Bérardi, Jean-Charles, "Kulturvermittlung Zwischen Kultureller Bildung und Kulturmarketing" transcript 73-83, 2005

      63 Dewey, Patricia, "From Arts Management to Cultural Administration" 6 (6): 13-22, 2004

      64 Shusterman, Richard, "Entertainment : A Question for Aesthetics" 43 (43): 289-307, 2003

      65 Conner, Lynne, "Engaging Art: The Next Great Transformation of American Cultural Life" Routledge 103-126, 2008

      66 Jenkins, Henry, "Engaging Art: The Next Great Transformation of American Cultural Life" Routledge 171-195, 2008

      67 Bourdieu, Pierre,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68 Evrard, Yves, "Democratizing Culture or Cultural Democracy?" 27 (27): 167-175, 1997

      69 Maguire, Jennifer S., "Cultural Intermediaries and the Media" 4 (4): 405-416, 2010

      70 Graves, James B., "Cultural Democracy: The Arts, Community, and the Public Purpos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0

      71 Jenkins, Henry,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72 Gilmore, Audrey, "Changes in Museum Management: A Custodial or Marketing Emphasis?" 21 (21): 745-760, 2002

      73 Munro, Ealasaid, "Building Soft Skills in the Creative Economy : Creative Intermediaries, Business Support and the ‘Soft Skills Gap’" 64 : 14-25, 2017

      74 Bharucha, Rustom, "Beyond the Box" 14 (14): 11-19, 2000

      75 Turow, Joseph, "Audience Construction and Culture Production : Marketing Surveillance in the Digital Age" 597 (597): 103-121, 2005

      76 Bishop, Claire, "Artificial Hells: Participatory Art and the Politics of Spectatorship" Verso Books 2012

      77 Becker, Howard, "Art Worl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78 Maguire, Jennifer S., "Are We All Cultural Intermediaries Now? An Introduction to Cultural Intermediaries in Context" 15 (15): 551-562, 2012

      79 양은희,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세계화 맥락에서 본 광주비엔날레와 문화매개자로서의 큐레이터" 현대미술사학회 (40) : 97-12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