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보조동사구문 습득 양상 연구 -‘-어 버리다, -고 말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Acquisition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Focusing on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quisition of Korean verb constructions by Mongolian learners targeting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overall acquisition pattern, acquisition of meaning, and syntactic acquisition patterns of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and observe their us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54.71% of learners gave the correct answers for the overall acquisition pattern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46% for acquisition of meaning, and 63.42% for the syntactic acquisition pattern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given by a group of native Korean speakers. When looking at the pattern of acquiring specific meaning, it was found that Mongolian learners had a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e constructions -어 버리다 than -고 말다 and were better educated about the basic meaning of “complete/terminated” than the modal meaning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In addition, concerning syntactic features,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the pre-final ending -시- and the past tense pre-final ending –었-. In addition, the average usage rate of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was 26.29%,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used much.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acquisition of Korean verb constructions by Mongolian learners targeting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overall acquisition pattern, acquisition of meaning, and synt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quisition of Korean verb constructions by Mongolian learners targeting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overall acquisition pattern, acquisition of meaning, and syntactic acquisition patterns of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and observe their us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54.71% of learners gave the correct answers for the overall acquisition pattern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46% for acquisition of meaning, and 63.42% for the syntactic acquisition pattern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given by a group of native Korean speakers. When looking at the pattern of acquiring specific meaning, it was found that Mongolian learners had a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e constructions -어 버리다 than -고 말다 and were better educated about the basic meaning of “complete/terminated” than the modal meaning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In addition, concerning syntactic features,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the pre-final ending -시- and the past tense pre-final ending –었-. In addition, the average usage rate of –어 버리다 and -고 말다 was 26.29%,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used mu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의 보조동사구문 ‘-어 버리다’와 ‘-고 말다’를 대상으로 하여 몽골인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 버리다’, ‘-고 말다’에 대한 전체 습득 양상 및 의미 습득, 통사적 제약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사용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보조동사구문 ‘-어 버리다’, ‘-고 말다’의 전체 습득 양상에 대한 학습자들 평균 정답률이 54.71%, 의미 습득에 대한 평균 정답률이 46%, 통사적 제약 습득에 대한 평균 정답률이 63.42%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들은 비교 집단인 모어 화자 집단 정답률과 비교하였을 때 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의미 습득 양상을 보면 몽골인 학습자들은 ‘-고 말다’보다 ‘-어 버리다’ 구문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또한 이들 보조동사구문들의 양태적 의미보다 기본 의미인 ‘완료/종결’의 의미를 더 잘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사적 특징과 관련해서 선어말어미 ‘-시-’와 과거 시제 선어말어미 ‘-었-’과의 결합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둘째, -어 버리다’, ‘-고 말다’의 사용 양상을 보면 평균 사용률이 26.29%로 나타나 사용을 많이 안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어의 보조동사구문 ‘-어 버리다’와 ‘-고 말다’를 대상으로 하여 몽골인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 버리다’, ‘-고 ...

      이 연구는 한국어의 보조동사구문 ‘-어 버리다’와 ‘-고 말다’를 대상으로 하여 몽골인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 버리다’, ‘-고 말다’에 대한 전체 습득 양상 및 의미 습득, 통사적 제약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사용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보조동사구문 ‘-어 버리다’, ‘-고 말다’의 전체 습득 양상에 대한 학습자들 평균 정답률이 54.71%, 의미 습득에 대한 평균 정답률이 46%, 통사적 제약 습득에 대한 평균 정답률이 63.42%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들은 비교 집단인 모어 화자 집단 정답률과 비교하였을 때 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의미 습득 양상을 보면 몽골인 학습자들은 ‘-고 말다’보다 ‘-어 버리다’ 구문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또한 이들 보조동사구문들의 양태적 의미보다 기본 의미인 ‘완료/종결’의 의미를 더 잘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사적 특징과 관련해서 선어말어미 ‘-시-’와 과거 시제 선어말어미 ‘-었-’과의 결합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둘째, -어 버리다’, ‘-고 말다’의 사용 양상을 보면 평균 사용률이 26.29%로 나타나 사용을 많이 안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경행, "효율적인 학습모형 설계를 위한 ‘-아 버리다’와 ‘-てしまう’의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6 (16): 471-489, 2009

      2 강신, "현대몽골어 보조동사구문에 관한 연구" 한국몽골학회 15 : 2-52, 2003

      3 Munkhtsetseg, "현대 몽골어의 보조동사 구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4 송재목, "할하 몽골어 보조동사구문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79-111, 1998

      5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6 탈라포바 아셀, "한국어와 키르기즈어 보조동사의 의미 기능 연구" 서울대학교 2018

      7 나랑게를, "한국어·몽골어의 보조용언 비교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승민,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9 YU, LI, "한국어 종결상 보조용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10 곽강봉,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 표현에 대한 비교 연구 : '-고 나다, -어 내다, -어 버리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 허경행, "효율적인 학습모형 설계를 위한 ‘-아 버리다’와 ‘-てしまう’의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6 (16): 471-489, 2009

      2 강신, "현대몽골어 보조동사구문에 관한 연구" 한국몽골학회 15 : 2-52, 2003

      3 Munkhtsetseg, "현대 몽골어의 보조동사 구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4 송재목, "할하 몽골어 보조동사구문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79-111, 1998

      5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6 탈라포바 아셀, "한국어와 키르기즈어 보조동사의 의미 기능 연구" 서울대학교 2018

      7 나랑게를, "한국어·몽골어의 보조용언 비교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승민,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9 YU, LI, "한국어 종결상 보조용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10 곽강봉,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 표현에 대한 비교 연구 : '-고 나다, -어 내다, -어 버리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1 방메링,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2017

      12 무소림,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 양상 대비 연구" 건국대학교 2017

      13 남신혜, "한국어 상적 표현 문형의 용언 결합 양상 연구" 연세대학교 2018

      14 정다미, "한국어 보조용언의 습득 양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6

      15 한송화,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기능,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 ‘하다’를 중심으로" 11 (11): 189-209, 2000

      16 최영, "한국어 보조용언의 교육 연구" 박문사 2017

      17 량가명, "한국어 보조용언과 중국어의 대응 표현에 관한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2022

      18 박문화, "한국어 보조용언과 중국어 결과보어의 대조연구 : '-(어)버리다'와 '掉'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19 왕용리 ; 김선정, "한국어 보조용언과 이에 대응되는중국어 표현 연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423-449, 2020

      20 펫나런, "한국어 보조용언과 라오스어 부용언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2016

      21 트란티란안, "한국어 보조동사와 베트남어 부요소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22 장미라, "한국어 보조 용언의 상적양태적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징" 배달말학회 (38) : 33-60, 2006

      23 최해주,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용언의 의미 범주 설정 및 그 활용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74) : 125-160, 2006

      24 다키구치 게이코, "한·일어 보조동사의 의미 기능 대조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25 朴魏仙, "한·일 보조동사의 상적 의미 비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26 전혜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조용언 교육 연구" 호서대학교 2019

      27 고옥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료상 보조동사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7

      28 Corder, S. P.,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박이정 2011

      29 황종배, "제2언어 습득의 원리와 연구 동향" 한국문화사 2019

      30 도요나가 마키코,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동사 교육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2015

      31 이희경,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보조 동사의 교수ㆍ학습 방법론 연구-‘-아/어 버리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7) : 175-198, 2008

      32 조선영, "유사 기능 완료상 보조동사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2018

      33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37

      34 김지은,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1998

      35 김효신, "완료표현 '-고 말다'와 '-어 버리다'의 한국어 교육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6 박소현, "완료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의 의미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0

      37 권진홍, "보조동사 “버리다”와 “말다”의 의미기능연구" 173 : 11-17, 2011

      38 홍사만, "보조동사 {내다}와 {버리다}의 양태적 기능 대비" 한국어문학회 (101) : 25-54, 2008

      39 왕효천, "보조동사 '-어 버리다'와 '-어 내다'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2016

      40 И Ёнгсүг, "몽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5" 한국국제교류재단 2011

      41 육미란, "국어 보조용언의 특성과 의미 연구"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42 손세모돌, "국어 보조용언 연구" 한국문화사 1996

      43 김한샘, "국어 보조 용언 교육 연구" 반교어문학회 (33) : 5-33, 2012

      44 민현식, "국어 문법 연구" 역락 1999

      45 박선옥, "完了相 표현의 보조동사 ‘버리다’와 ‘내다’에 대한 通時的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159-185, 2008

      46 Byambasan, P., "Orchin tsagiin mongol khelnii ug zuin baiguulalt. Mongol khelnii uil ugiin togtoltsoo" Shinjlekh ukhaanii akademi Khel shinjleliin khureelen 1987

      47 Munkh-Amgalan, Yu, "Orchin tsagiin mongol khelnii baimjiin ai" Montsame 1998

      48 Tumurtogoo, D., "Orchin tsagiin mongol khel" Shinzhlėl 2004

      49 Unurbayan, Ts., "Orchin tsagiin mongol khel" Shinzhlėl 2004

      50 Byambasan, N., "Mongol khelnii onol buttsiin asuudald" Bodimur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