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격특성과 심리적 긴장수준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분석 =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on Job Suit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1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 psychological tension, and gender on college student’s job aptitude scores. Participants were in first year of a 4-year college(N = 3,853). They were asked with Job psychology test, LOPI. Pears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b aptitude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keting and sale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gal/accounting as well as interpersonal service. Indirect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job aptitud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 on sales via sociability, on marketing via challenge and sociability, on interpersonal service via sympathy, and on legal/accounting via sociability and sympathy.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 psychological tension, and gender on college student’s job aptitude scores. Participants were in first year of a 4-year college(N = 3,853). They were asked with Job psy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 psychological tension, and gender on college student’s job aptitude scores. Participants were in first year of a 4-year college(N = 3,853). They were asked with Job psychology test, LOPI. Pears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b aptitude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keting and sale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gal/accounting as well as interpersonal service. Indirect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job aptitud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 on sales via sociability, on marketing via challenge and sociability, on interpersonal service via sympathy, and on legal/accounting via sociability and sympathy.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심리적 긴장 수준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적성에 성별이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의 4년제 대학교 신입생 3,853명이며 직업심리검사인 LOPI를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직무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우울은 마케팅, 세일즈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법무/회계, 대인서비스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우울은 직무적성에 직접효과보다는 성격을 통해 간접효과를 미쳤다. 넷째, 우울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사교성을 통해 세일즈에, 도전성과 사교성을 통해 마케팅에, 수용성을 통해 대인서비스에, 사교성과 수용성을 통해 법무/회계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심리적 긴장 수준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적성에 성별이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심리적 긴장 수준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적성에 성별이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의 4년제 대학교 신입생 3,853명이며 직업심리검사인 LOPI를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직무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우울은 마케팅, 세일즈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법무/회계, 대인서비스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우울은 직무적성에 직접효과보다는 성격을 통해 간접효과를 미쳤다. 넷째, 우울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사교성을 통해 세일즈에, 도전성과 사교성을 통해 마케팅에, 수용성을 통해 대인서비스에, 사교성과 수용성을 통해 법무/회계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6-177, 2000

      2 박용욱, "직업운전자의 자극추구성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A형 운전행동 패턴과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2 (22): 19-39, 2016

      3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직업심리 및 상담" 학지사 2000

      4 박제일, "직무적성 척도의 개발 연구: 성격을 측정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11 (11): 2008

      5 이정선,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일의 의미와 업무환경의 중재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109-1129, 2014

      6 김예실, "직무만족에 의해 중개되는 성격의 5요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메타분석을 활용한 회귀분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643-682, 2014

      7 "중앙일보"

      8 김동욱, "주도적 성격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성, 지원적 리더십, 자율성 문화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471-495, 2014

      9 신강현,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475-491, 2008

      10 "연합뉴스"

      1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6-177, 2000

      2 박용욱, "직업운전자의 자극추구성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A형 운전행동 패턴과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2 (22): 19-39, 2016

      3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직업심리 및 상담" 학지사 2000

      4 박제일, "직무적성 척도의 개발 연구: 성격을 측정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11 (11): 2008

      5 이정선,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일의 의미와 업무환경의 중재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109-1129, 2014

      6 김예실, "직무만족에 의해 중개되는 성격의 5요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메타분석을 활용한 회귀분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643-682, 2014

      7 "중앙일보"

      8 김동욱, "주도적 성격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성, 지원적 리더십, 자율성 문화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471-495, 2014

      9 신강현,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475-491, 2008

      10 "연합뉴스"

      11 김성빈, "성실성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창의수행과 안전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1 (41): 1-28, 2017

      12 유태용, "성격의 6요인(HEXACO) 모델에 의한 성격특성과 조직구성원 직무수행 간의 관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283-314, 2007

      13 유태용, "성격과 직무태도 및 수행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2004 (2004): 223-224, 2004

      14 정명선,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47-166, 2014

      15 김동원, "대학생의 직무적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성격특성의 관련성 분석"

      16 홍아정,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89-417, 2015

      17 장예진, "대졸 신입사원 28%. 입사 1년 내 퇴사한다"

      18 유태용, "다양한 직군에서의 성격의 5요인과 직무수행간의 관계" 5 : 69-94, 1997

      19 박승일, "군(軍) 초급간부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분노표현, 우울,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545-571, 2014

      20 홍수민, "‘취업 포기하겠습니다’ 7월 구직단념자 48만6000명"

      21 Goldberg, L. R.,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48 : 26-34, 1993

      22 Salgado, J. F.,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in the European Community" 82 : 30-43, 1997

      23 Barrick, M. R.,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44 : 1-26, 1991

      24 Mischel, W., "Personality and Assessment" John Wiley & Sons 1968

      25 Hogan, R., "Personality Measurement and Employment Decision" 51 : 469-477, 1996

      26 임승환, "LOPI 심리검사 해석매뉴얼"

      27 임승환,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성격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8 Hough, L. M., "Individual Difference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s" Jossey-Bass 31-38, 1996

      29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0 (20): 230-258, 1993

      30 유태용, "5요인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10 (10): 85-10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