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12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secondary school in Gyeongnam. Their age was over 40 years and under 50 years.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was seven autism,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deaf. Results: First, the sudden beginning of on-line based class increased burden to parents. The type of on-line based classes was carried out variously using real time on-line classes, home assignment and record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parents told some limits, difficulties, dissatisfaction, and de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and some effects and satisfaction and 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in COVID-19 situation. Third, the parents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int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n-line based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the role change of teache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n-line based class manag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secondary school in Gyeongnam. Their age was over 40 years and under 50 years.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was seven autism,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deaf. Results: First, the sudden beginning of on-line based class increased burden to parents. The type of on-line based classes was carried out variously using real time on-line classes, home assignment and record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parents told some limits, difficulties, dissatisfaction, and de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and some effects and satisfaction and 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in COVID-19 situation. Third, the parents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int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n-line based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the role change of teache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n-line based class manag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K시에서 일반 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 중등 장애 학생을 양육하며 2020년 1년간 원격수업을 경험한 초등 장애 학생 학부모 6명과 중등 장애 학생 학부모 5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 형식의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갑작스럽게 시작된 원격수업은 가정에 부담이 되었다. 교과별 원격수업의 형태는 실시간 화상 수업, 과제물 수업, 녹화된 동영상 수업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학부모들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한계와 어려운 점과 불만족뿐만 아니라 효과성과 만족감에 대해서 다양하게 보고하였다. 셋째, 초, 중등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의 다양화와 개별화, 교사의 역할 변화, 학부모의 역할 변화, 행정가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원격수업의 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원격수업의 실태와 경험 그리고 개선점은 향후 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원격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시사점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K시에서 일반 학교 특수학...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K시에서 일반 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 중등 장애 학생을 양육하며 2020년 1년간 원격수업을 경험한 초등 장애 학생 학부모 6명과 중등 장애 학생 학부모 5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 형식의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갑작스럽게 시작된 원격수업은 가정에 부담이 되었다. 교과별 원격수업의 형태는 실시간 화상 수업, 과제물 수업, 녹화된 동영상 수업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학부모들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한계와 어려운 점과 불만족뿐만 아니라 효과성과 만족감에 대해서 다양하게 보고하였다. 셋째, 초, 중등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의 다양화와 개별화, 교사의 역할 변화, 학부모의 역할 변화, 행정가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원격수업의 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원격수업의 실태와 경험 그리고 개선점은 향후 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원격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시사점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정훈, "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31-461, 2019

      2 교육부, "학습 공백 방지를 위한 원격수업 기반 준비 시작. 교육부 보도자료"

      3 이신영,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57-771, 2021

      4 김혜진,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9, 2020

      5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 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13) : 47-59, 2020

      6 강승모,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7 이해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9 김대용,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10 권순정,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과제: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26 (26): 1-14, 2020

      1 지정훈, "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31-461, 2019

      2 교육부, "학습 공백 방지를 위한 원격수업 기반 준비 시작. 교육부 보도자료"

      3 이신영,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57-771, 2021

      4 김혜진,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9, 2020

      5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 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13) : 47-59, 2020

      6 강승모,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7 이해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9 김대용,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10 권순정,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과제: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26 (26): 1-14, 2020

      11 윤태성,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179-209, 2020

      12 정유진,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매체 활용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중심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1109-1128, 2020

      13 신수정,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37-162, 2017

      14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53-480, 2011

      15 김용준, "장애학생만 먼저 등교수업 검토. “도움 없인 원격수업 불가능”"

      16 조수민,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의 경험"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65-191, 2020

      17 이진화, "장애 형제가 있는 비장애 형제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 8 (8): 52-68, 2014

      18 이지연,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8 (8): 1-31, 2005

      19 최주원,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37 (37): 117-143, 2021

      20 남선우,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실시간 수업 설계 및 개발 연구 : 기독교교육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66) : 343-382, 2021

      21 한경임, "브릿지 스쿨(Bridge School) 초등학급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3-138, 2014

      22 한경임, "복합의사소통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미국의 특수학급 운영 사례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25-56, 2018

      23 한경임, "발달장애 학생용 보완 대체의사소통(AAC)도구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2 (2): 71-97, 2014

      24 신서영,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47-167, 2020

      25 교육부, "교육 분야 코로나19 대응 백서 발간(등교수업). 교육부 보도자료"

      26 Bowe, F. G, "Universal Design in Education: Teaching Nontraditional Student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27 Krueger, R. A, "Focus Groups" Sage publications 2014

      28 Eun Young Kim, "Children with COVID-19 after Reopening of Schools, South Korea" 대한소아감염학회 27 (27): 180-183, 2020

      29 최형미,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47-1071, 2020

      30 김용욱,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공학의 방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157-185,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