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정훈, "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31-461, 2019
2 교육부, "학습 공백 방지를 위한 원격수업 기반 준비 시작. 교육부 보도자료"
3 이신영,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57-771, 2021
4 김혜진,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9, 2020
5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 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13) : 47-59, 2020
6 강승모,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7 이해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9 김대용,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10 권순정,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과제: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26 (26): 1-14, 2020
1 지정훈, "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31-461, 2019
2 교육부, "학습 공백 방지를 위한 원격수업 기반 준비 시작. 교육부 보도자료"
3 이신영,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57-771, 2021
4 김혜진,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9, 2020
5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 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13) : 47-59, 2020
6 강승모,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7 이해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9 김대용,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10 권순정,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과제: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26 (26): 1-14, 2020
11 윤태성,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179-209, 2020
12 정유진,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매체 활용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중심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1109-1128, 2020
13 신수정,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37-162, 2017
14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53-480, 2011
15 김용준, "장애학생만 먼저 등교수업 검토. “도움 없인 원격수업 불가능”"
16 조수민,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의 경험"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65-191, 2020
17 이진화, "장애 형제가 있는 비장애 형제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 8 (8): 52-68, 2014
18 이지연,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8 (8): 1-31, 2005
19 최주원,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37 (37): 117-143, 2021
20 남선우,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실시간 수업 설계 및 개발 연구 : 기독교교육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66) : 343-382, 2021
21 한경임, "브릿지 스쿨(Bridge School) 초등학급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3-138, 2014
22 한경임, "복합의사소통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미국의 특수학급 운영 사례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25-56, 2018
23 한경임, "발달장애 학생용 보완 대체의사소통(AAC)도구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2 (2): 71-97, 2014
24 신서영,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47-167, 2020
25 교육부, "교육 분야 코로나19 대응 백서 발간(등교수업). 교육부 보도자료"
26 Bowe, F. G, "Universal Design in Education: Teaching Nontraditional Student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27 Krueger, R. A, "Focus Groups" Sage publications 2014
28 Eun Young Kim, "Children with COVID-19 after Reopening of Schools, South Korea" 대한소아감염학회 27 (27): 180-183, 2020
29 최형미,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47-1071, 2020
30 김용욱,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공학의 방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157-185,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