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적가치지표(SVI)의 현장적합성 및 한계에 관한 연구 : 경북 지역 청년사회적경제조직체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1256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0.189 판사항(6)

      • DDC

        330.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72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정옥
        SVI는 "Social Value Indicator"의 약어임
        참고문헌: 장 71-7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외 사회적경제는 신자유주의 경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함께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평가를 위한 다양한 사회성과 지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18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한국 사회적경제조직의 사회성과를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의 명칭은 사회적가치지표(SVI)이며, 개발과 함께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하지만 2018년 처음 배포된 SVI는 아직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에 SVI를 적용 시켜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법, 그리고 도출해낸 지표에 대한 현장 적합성,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한계에 대해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SVI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각각 사회적경제 대학원 학생과 청년 사회적경제 임직원으로 구성되어, SVI 14개의 측정지표를 하나씩 분석하며 그 한계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와 함께 분석된 지표가 현장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연구하기 위해 6개의 사회적경제기업에 적용 분석하였고 6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은 인증사회적기업 2곳, 예비사회적기업 2곳, 소셜벤처 2곳을 선정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에게 SVI를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율성과 현장 적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SVI를 포커스 그룹과 함께 분석하고, 현장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SVI가 다양한 현장의 사례를 적용시키고 수정 되어 가며, 한국 현실에 맞는 사회성과지표로 발전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국내·외 사회적경제는 신자유주의 경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함께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평가를 위한 다양한 사회성과 지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

      국내·외 사회적경제는 신자유주의 경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함께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평가를 위한 다양한 사회성과 지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18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한국 사회적경제조직의 사회성과를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의 명칭은 사회적가치지표(SVI)이며, 개발과 함께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하지만 2018년 처음 배포된 SVI는 아직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에 SVI를 적용 시켜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법, 그리고 도출해낸 지표에 대한 현장 적합성,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한계에 대해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SVI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각각 사회적경제 대학원 학생과 청년 사회적경제 임직원으로 구성되어, SVI 14개의 측정지표를 하나씩 분석하며 그 한계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와 함께 분석된 지표가 현장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연구하기 위해 6개의 사회적경제기업에 적용 분석하였고 6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은 인증사회적기업 2곳, 예비사회적기업 2곳, 소셜벤처 2곳을 선정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에게 SVI를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율성과 현장 적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SVI를 포커스 그룹과 함께 분석하고, 현장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SVI가 다양한 현장의 사례를 적용시키고 수정 되어 가며, 한국 현실에 맞는 사회성과지표로 발전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mestic and foreign social economies are emerging as new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economy. Various social indicator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this trend, the Korea Social Enterprise Agency (KISA) developed an index for social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in 2018.
      The name of the indicator is the Social Value Indicator(SVI)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utilization. But SVI has many things to fix and supplement ye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VI to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how it can be used in the field, and the limitations on how well it can be relied on for the derived indicators.
      This study conducted two groups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SVI. The two groups were composed of graduate students of social economics and youth social economics and analyzed the SVI 14 metrics one by one and mentioned their limitations. In addition, it was applied to six social economic enterprises in order to study how the analyzed indicators are used in the field
      SVI suggests that various examples of the field should be applied and revised, and developed as a social performance index suited to the reality of Korea.
      번역하기

      Domestic and foreign social economies are emerging as new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economy. Various social indicator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this trend, th...

      Domestic and foreign social economies are emerging as new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economy. Various social indicator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this trend, the Korea Social Enterprise Agency (KISA) developed an index for social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in 2018.
      The name of the indicator is the Social Value Indicator(SVI)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utilization. But SVI has many things to fix and supplement ye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VI to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how it can be used in the field, and the limitations on how well it can be relied on for the derived indicators.
      This study conducted two groups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SVI. The two groups were composed of graduate students of social economics and youth social economics and analyzed the SVI 14 metrics one by one and mentioned their limitations. In addition, it was applied to six social economic enterprises in order to study how the analyzed indicators are used in the field
      SVI suggests that various examples of the field should be applied and revised, and developed as a social performance index suited to the reality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 2 장 SVI의 이론적 논의 7
      • 제 1장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 2 장 SVI의 이론적 논의 7
      • 1. 선행지표 7
      • 2. SVI의 등장 10
      • 3. SVI의 주요 내용 12
      • 제 3 장 SVI의 분석 13
      • 1. 측정모형의 구성 13
      • 2. 개별 지표 분석과 한계 17
      • 제 4 장 SVI의 실제 적용 및 분석 47
      • 1. 개요 47
      • 2. 개별기업에 대한 SVI 적용 48
      • 3. SVI의 사례 종합 분석 62
      • 제 5 장 결과 67
      • 참고문헌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