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몰입(Flow) 탐색 : 도전과 기술 수준, 그리고 감정 = Exploring flow i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 challenge and skill levels, and feel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3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based on Chikszentmihalyi's Flow theory, which classifies the distribution of various emotions (8 types), including flow, through various channels. The study sought to quantify and visualize the variables to understand different levels of flow and other emotions. Through this, we tried to develop and expand the existing flow theory.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hose marine sports, which are challenging and immediate feedback sports that are easy to experience flow.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Survey was 813, with 392 scuba divers and 421 surfers.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Flow level, Feeling state, challenges level, skills level. As a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In additio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graphs in Excel Version 2309 of MOS were used to express the distribution and degree of feelings by level of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data, here are our findings. First, for both cluster and level of detail distributions, higher skills and challenges level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low. Second, for both cluster and level of detail distributions, higher skills and challenges level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low in the high skills and high challenges matching sectors. Thir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does not appear to be steady or consistent across clusters or levels of granularity. Fourth, the level of flow and the distribution of flow emotions do not match to flow 8-channel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consistent with existing theories of flow. A total of 9 clusters(9 channels) were identified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skills and challenges, showing a different channel form from the existing 8 flow channels. The level of flow was higher when the skill level was high or the challenge level was high. Regardless of whether the challenge level and skill level were matched or not. The level of flow was not simply a function of the level of skills and challenges.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three-channel theory, where engagement occurs across the skills-challenges level matching band. It is also in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eight-channel theory, which suggests that engagement occurs in the high-skills, high-challenges level match area. And the distribution of flow emotions was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three-channel theory of flow, but not consistently, and not at all consistent with the eight-channel theory. As the existing flow theories are mainly based on universal everyday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channels of flow and emotion through studies based on specific sports or situations, as in this study, and to check the distribution and level. This suggests that emotions, including flow, are difficult to explain only with two factors: skills and challen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e existing flow theory and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pand it from a new perspective.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need for additional variables to explain flow and emotions, and to expand the concept of the existing flow channel.
      번역하기

      This study was based on Chikszentmihalyi's Flow theory, which classifies the distribution of various emotions (8 types), including flow, through various channels. The study sought to quantify and visualize the variables to understand different levels ...

      This study was based on Chikszentmihalyi's Flow theory, which classifies the distribution of various emotions (8 types), including flow, through various channels. The study sought to quantify and visualize the variables to understand different levels of flow and other emotions. Through this, we tried to develop and expand the existing flow theory.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hose marine sports, which are challenging and immediate feedback sports that are easy to experience flow.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Survey was 813, with 392 scuba divers and 421 surfers.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Flow level, Feeling state, challenges level, skills level. As a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In additio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graphs in Excel Version 2309 of MOS were used to express the distribution and degree of feelings by level of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data, here are our findings. First, for both cluster and level of detail distributions, higher skills and challenges level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low. Second, for both cluster and level of detail distributions, higher skills and challenges level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low in the high skills and high challenges matching sectors. Thir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does not appear to be steady or consistent across clusters or levels of granularity. Fourth, the level of flow and the distribution of flow emotions do not match to flow 8-channel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consistent with existing theories of flow. A total of 9 clusters(9 channels) were identified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skills and challenges, showing a different channel form from the existing 8 flow channels. The level of flow was higher when the skill level was high or the challenge level was high. Regardless of whether the challenge level and skill level were matched or not. The level of flow was not simply a function of the level of skills and challenges.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three-channel theory, where engagement occurs across the skills-challenges level matching band. It is also in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eight-channel theory, which suggests that engagement occurs in the high-skills, high-challenges level match area. And the distribution of flow emotions was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three-channel theory of flow, but not consistently, and not at all consistent with the eight-channel theory. As the existing flow theories are mainly based on universal everyday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channels of flow and emotion through studies based on specific sports or situations, as in this study, and to check the distribution and level. This suggests that emotions, including flow, are difficult to explain only with two factors: skills and challen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e existing flow theory and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pand it from a new perspective.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need for additional variables to explain flow and emotions, and to expand the concept of the existing flow chann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몰입(Flow)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8가지)의 분포를 여러 채널 을 통해서 분류한 Chikszentmihalyi의 몰입이론을 근거로 하였다. 연구를 통 해 변인들을 정량화, 도식화하여 몰입과 기타 감정들을 다양하게 수준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몰입이론을 발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몰입을 경험하기 쉬운 도전적이고 피드백 이 즉각적인 종목인 해양스포츠를 선정하였다. 스쿠버다이빙 참가자 392명, 서 핑 참가자 421명으로 구성된 총 81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 회학적 특성은 성별, 나이, 학력 수준, 혼인 상태,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몰입 수준, 감정상태, 도전수준, 기술수준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준별로 감정의 분포와 정도를 표현하기 위 해 MOS의 Excel Version 2309의 2차원, 3차원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치 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분포 모두 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도전 수준이 높아질수록 몰입 수준도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모두 기술 수준과 도전 수준이 일치 하는 구간에서는 높은 수준의 일치 구간일수록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모두 8가지 감정의 분포는 꾸준하거나 지속적으로 발생하 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높은 몰입의 수준과 몰입 감정의 분포는 몰입 8채 널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몰입이론과는 다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 수 준과 도전 수준에 따른 k-평균군집분석을 통해 확인된 군집은 총 9개 군집 (채널)으로 나타나 기존의 몰입 8채널과는 다른 형태가 나타났다. 몰입의 수 준은 기술 수준이 높거나 도전 수준이 높으면 수준의 일치 여부와 상관없이 높게 나 타났다. 이는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는 구간에서 높은 몰입이 나타나는 기존의 3채널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높은 기술과 도전 수준의 일치 구간에서만 몰 입이 나타나는 기존의 8채널 이론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상태로 몰입의 분포는 몰입 3채널 이론과 부분적으로는 일치하였지만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8채널 이론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기존의 몰입이론은 보편적인 일상의 상황을 기준으로 연구되었기에, 이 연구에서 와 같이 특정 종목이나 상황에 따른 연구를 통해 몰입과 감정의 채널을 구분하고 분 포와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몰입을 포함한 감정은 기술과 도전이라는 두 가지 요인만으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 의 몰입이론을 검증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이론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몰입과 감정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 변인의 필요성과 기존 몰입 채널 개념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몰입(Flow)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8가지)의 분포를 여러 채널 을 통해서 분류한 Chikszentmihalyi의 몰입이론을 근거로 하였다. 연구를 통 해 변인들을 정량화, 도식화하여 몰입과 기타 ...

      이 연구는 몰입(Flow)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8가지)의 분포를 여러 채널 을 통해서 분류한 Chikszentmihalyi의 몰입이론을 근거로 하였다. 연구를 통 해 변인들을 정량화, 도식화하여 몰입과 기타 감정들을 다양하게 수준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몰입이론을 발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몰입을 경험하기 쉬운 도전적이고 피드백 이 즉각적인 종목인 해양스포츠를 선정하였다. 스쿠버다이빙 참가자 392명, 서 핑 참가자 421명으로 구성된 총 81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 회학적 특성은 성별, 나이, 학력 수준, 혼인 상태,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몰입 수준, 감정상태, 도전수준, 기술수준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준별로 감정의 분포와 정도를 표현하기 위 해 MOS의 Excel Version 2309의 2차원, 3차원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치 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분포 모두 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도전 수준이 높아질수록 몰입 수준도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모두 기술 수준과 도전 수준이 일치 하는 구간에서는 높은 수준의 일치 구간일수록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모두 8가지 감정의 분포는 꾸준하거나 지속적으로 발생하 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높은 몰입의 수준과 몰입 감정의 분포는 몰입 8채 널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몰입이론과는 다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 수 준과 도전 수준에 따른 k-평균군집분석을 통해 확인된 군집은 총 9개 군집 (채널)으로 나타나 기존의 몰입 8채널과는 다른 형태가 나타났다. 몰입의 수 준은 기술 수준이 높거나 도전 수준이 높으면 수준의 일치 여부와 상관없이 높게 나 타났다. 이는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는 구간에서 높은 몰입이 나타나는 기존의 3채널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높은 기술과 도전 수준의 일치 구간에서만 몰 입이 나타나는 기존의 8채널 이론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상태로 몰입의 분포는 몰입 3채널 이론과 부분적으로는 일치하였지만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8채널 이론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기존의 몰입이론은 보편적인 일상의 상황을 기준으로 연구되었기에, 이 연구에서 와 같이 특정 종목이나 상황에 따른 연구를 통해 몰입과 감정의 채널을 구분하고 분 포와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몰입을 포함한 감정은 기술과 도전이라는 두 가지 요인만으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 의 몰입이론을 검증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이론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몰입과 감정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 변인의 필요성과 기존 몰입 채널 개념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목적 5
      • 제 3 절 연구문제 및 가설 6
      • 제 4 절 용어의 정의 7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목적 5
      • 제 3 절 연구문제 및 가설 6
      • 제 4 절 용어의 정의 7
      • 1. 여가스포츠 7
      • 2. 몰입 수준 7
      • 3. 기술 수준 8
      • 4. 도전 수준 8
      • 5. 활동 중 느끼는 감정 8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제 1 절 몰입 9
      • 1. 몰입의 정의 및 특성 9
      • 2. 몰입 연구 동향 11
      • 제 2 절 기술과 도전 14
      • 1. 기술의 정의 및 특성 14
      • 2. 도전의 정의 및 특성 14
      • 제 3 절 몰입이론에서 기술과 도전의 의미 15
      • 제 4 절 동일 조건에서 감정 및 상태 발현의 한계 17
      • 제 3 장 연구방법 20
      • 제 1 절 조사절차 및 연구대상 20
      • 제 2 절 조사도구 23
      • 1. 몰입 수준 25
      • 2. 활동 중 느끼는 감정상태 25
      • 3. 도전 수준 26
      • 4. 기술 수준 26
      • 제 3 절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6
      • 제 4 절 자료처리 27
      • 제 4 장 연구결과 29
      • 제 1 절 기술통계분석 29
      • 1. 기술통계분석 29
      • 1) 기술과 도전 수준에 따른 군집(9개)별 몰입 수준 평균의 분류 30
      • 2) 기술과 도전 수준에 따른 세부(6점) 수준별 몰입 수준 평균의 분류 30
      • 제 2 절 기술과 도전 수준의 수준별 군집화 32
      • 1. 기술과 도전 수준의 수준별 군집화 32
      • 제 3 절 기술과 도전 수준별 몰입 수준의 변화 34
      • 1. 기술과 도전 수준의 증가에 따른 몰입 수준의 변화 34
      • 1) 기술과 도전 수준별 9개 군집에서 몰입 수준 평균의 분류 35
      • 2) 기술과 도전의 세부 수준별 36개 좌표에서 몰입 수준 평균의 분류 37
      • 2.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여 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의 몰입 수준의 변화 41
      • 1)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는 구간별 9개 군집에서 몰입 수준 평균의 변화 41
      • 2)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는 구간에서 세부 수준별 몰입 수준 평균의 변화 43
      • 3. 기술과 도전 수준의 증가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활동 당시 감정 44
      • 1) 기술과 도전 수준별 군집(9개) 45
      • 2) 기술과 도전 세부(6점) 수준별 47
      • 4. 기술과 도전 수준의 일치하는 구간에서 몰입 수준과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감정 분포 비교 50
      • 제 5 장 논의 57
      • 제 1 절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기술과 도전 수준에 따른 몰입 수준의 변화 58
      • 제 2 절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기술과 도전 수준이 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 몰입 수준의 변화 59
      • 제 3 절 기술과 도전 수준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여자가 활동 중 느끼는 8가지 감정의 분포 60
      • 제 4 절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는 구간에서 몰입 수준과 여가스포츠 참여자가 활동 중 느끼는 8가지 감정 분포의 비교 61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64
      • 제 1 절 결론 64
      • 제 2 절 제언 65
      • 참고문헌 67
      • 부록 76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