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선어말어미 '-시-'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담화.맥락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refinal ending 'Si': centering around talks and contex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높임 표현 중에서도 주체 높임의 표지로 쓰이는 선어말어미 ‘-시-’를 대상으로 한다. 선어말 어미 ‘-시-’는 주로 형태론과 통사론의 주된 관심 분야였다. 그러나 국어의 높임 ...

      본 논문은 높임 표현 중에서도 주체 높임의 표지로 쓰이는 선어말어미 ‘-시-’를 대상으로 한다. 선어말 어미 ‘-시-’는 주로 형태론과 통사론의 주된 관심 분야였다. 그러나 국어의 높임 표현은 상당히 맥락의존적인 문법요소로 학교문법에서는 선어말어미 ‘-시-’의 비규범적인 용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탐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어말 어미 ‘-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 선어말어미 ‘-시-’와 관련된 단원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 후 담화 맥락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어말어미 ‘-시-’의 이론 문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규범적, 비규범적 용법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은 철저히 규범적인 용법에 입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화용론적 입장으로 논의되고 있는 비규범적의 다양한 용법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시-’의 교육 내용상 위치를 알아본 후 『언어와 매체(2018)』총 5종의 교과서에서 개념 설명을 중심으로 학교 문법에서의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선어말어미 ‘-시-’는 5종의 교과서 중 3종의 교과서에서 문장단원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나머지 2종의 교과서는 담화단원에 포함은 되어 있으나 실제 내용은 문장단원에 머무르고 있었다. 선어말어미 ‘-시-’의 개념설명에 대해서는 5종의 교과서 모두 주체 높임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규범적’인 입장에서만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4장에서는 『언어와 매체(2018)』 교과서를 대상으로 학습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에서 학습활동은 본문학습의 개념을 확인하는 지식 확인 차원의 활동이 제시되는 점, 담화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문장의 예문만 제시되고 있는 점,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례를 오류 표현이라 지적하고 수정하는 활동만 기술되어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언급하였다.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에서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례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고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를 알아보는 등의 탐구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눈에 띠었다. 『언어와 매체(2018)』의 높임 표현 단원의 성취기준이 ‘문법 요소들의 개념과 표현 효과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한다.’는 점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교과서 학습활동에서 여전히 단편적인 지식 확인 차원에 머물러 있거나 담화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문장으로 예문을 제시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학습활동에서 다루는 교육 내용이 확대 되어야 하고, 담화와 맥락을 고려한 탐구활동이 기술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어말어미 ‘-시-’의 다양한 기능과 원인 탐구에 대해 담화와 맥락에 초점을 둔 학습활동을 고안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학습활동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용례를 담화론 층위까지 확대시켜 선어말어미 ‘-시-’가 나타나는 원인 탐구와 다양한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final ending ‘si’ used for the honorific expressions for the subject. The prefinal ending ‘si’ is the major issue in both morphemics and syntax. However,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final ending ‘si’ used for the honorific expressions for the subject. The prefinal ending ‘si’ is the major issue in both morphemics and syntax. However,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guage are context-dependent grammar elements, and therefore, a teaching and learning guide should be arrang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learn even about the innormative uses of ‘si’.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honorific prefinal ending ‘si’ and thereupon, critically reviews the uni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hereupon, rearrange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prefinal ending ‘si’.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Specifically, the pre-final ending ‘si’ is divided into normative and innormative uses.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at school is grounded thoroughly on the normative uses. Thus, this study simply reviews the diverse innormative uses of ‘si’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2015 Amend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curriculum, and thereby, comparatively analyzes the 5 textbooks centering around the unit of ‘Language and Media’ (2018). The prefinal ending ‘si’ is handled as a unit by 3 textbooks out of 5 ones. The other 2 textbooks include it in their unit of talks, but the actual contents remain at the unit of the sentences. All of the 5 textbooks handle the prefinal ending ‘si’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suggesting it as subject’s honorfic expression.
      The fourth chapt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centering around the textbook ‘Language and Media (2018)’.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problems. First, all the textbooks except for ‘Visang Education’ and ‘Genius Education’ suggest only a knowledge-confirmation activity. Secondly, they suggests only the examples of the sentences not in consideration of the talks and their contexts. Thirdly, they describe only the corrections of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In contrast, ‘Visang Education’ and ‘Genius Education’ identify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and describe the actual cases relevant to it. Particularly, ‘Language and Media“ (2018) suggests some criteria for achievement as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the grammar elements’ concepts and expressions’ and ‘use of them in the actual language life.’ Nevertheless, the majority of the textbooks remain at the dimension of the fragmental knowledge or the example sentences not in consideration of talks and contexts. Henc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handled in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while the exploration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alks and context should be enhance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views, this study has designed a learning activity focused on talks and context to explore diverse functions and ca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t is deemed significant because it att empted to expand the uses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to the level of discourse to explain about the causes and setting of the prefinal ending ‘s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검토 2
      • 1.3. 연구 대상 및 연구 순서 5
      • 2.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 7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검토 2
      • 1.3. 연구 대상 및 연구 순서 5
      • 2.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 7
      • 2.1. 규범적 용법의 ‘-시-’ 7
      • 2.2 비규범적 용법의 ‘-시-’ 9
      • 2.3. ‘있으시다’와 ‘계시다’의 용법 13
      • 3. 선어말어미 ‘-시-’의 교육 내용 15
      • 3.1. 교육과정에 나타난 높임법 교육 내용 15
      • 3.2. 교과서에 나타난 선어말 어미 ‘-시-’의 교육 내용 21
      • 4. 선어말 어미 ‘-시-’의 교수 학습 방안 35
      • 4.1. 교과서에 나타난 선어말 어미 ‘-시-’의 교수 학습의 실제 양상 35
      • 4.3. 담화 ․맥락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의 필요성 47
      • 4.3. 선어말 어미 ‘-시-’ 의 교수 학습 방안의 실제 51
      • 5. 결론 56
      • 참고문헌 58
      • Abstract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