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활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함께 생성의 철학자로 불리는 Deleuze의 철학에 입각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의방향성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23738
2021
-
375
KCI등재
학술저널
135-167(3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활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함께 생성의 철학자로 불리는 Deleuze의 철학에 입각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의방향성에 대...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활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함께 생성의 철학자로 불리는 Deleuze의 철학에 입각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의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학습공동체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예비교사교육 연구에서 학습공동체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학습 내용 선정과 선정된 학습 내용의 변화 가능성 및 존재의위치성에 따른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역할과 관계에 초점을 맞춰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공동체에 담겨 있는 본질적인 의미를 고려할 때 학습공동체는 학습하고 싶은 것을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함께 탐구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성의 가능성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공동체의 특성을 Deleuze의 철학에 근거해 학습공동체의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에서는 계획된 학습 내용을 변화 없이 유지하는 수목적체계가 아니라 변화와 생성을 지향하는 리좀적 체계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학습공동체에서의 관계는 고정적이고 변화 가능성에 닫혀 있는 이기가 아니라 마주침과 생성에 열려 있는 얽힌 되기를 지향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며 예비교사교육에서의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along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use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along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use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this en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was first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Next, in the study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ow the learning community is being used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s and the role and relationship of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positionality of the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community,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in a way tha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that can change the content and method of learning in the process of participants autonomously deciding what they want to learn, exploring and practicing togeth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earning community were discussed as follows based on Deleuze s philosophy of becoming. First,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directed toward a rhizome system that essentially aimed for change and creation rather than a root-tree system that maintains planned learning contents without change. Second, the relationship in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aim for becoming entangled, open to encounter and creation, rather than ‘being’, which is fixed and closed to the possibility of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the awareness of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explores various possibilities for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주, "협동학습중심의 미술교육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및 미술교수 인식의 변화과정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231-257, 2019
2 최지영, "협동학습상황에서 예비교사의 도덕성 변화과정 탐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65-290, 2013
3 목영해, "현대교육사상" 문음사 2009
4 최경남, "학습자 질문중심 하브루타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사고 성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13-1235, 2021
5 윤수정,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학습공동체"
7 박병락, "학생 주체의 의미와 포스트모던적 재구성"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83-100, 2007
8 임부연, "학교교육에서 진정한 배움의 의미 탐구: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1 (31): 179-202, 2017
9 주철안, "학교공동체의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201-224, 2007
10 Sergiovanni, T. J., "학교 공동체 만들기: 배움과 돌봄을 위한 도전" 에듀케어 2004
1 박은주, "협동학습중심의 미술교육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및 미술교수 인식의 변화과정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231-257, 2019
2 최지영, "협동학습상황에서 예비교사의 도덕성 변화과정 탐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65-290, 2013
3 목영해, "현대교육사상" 문음사 2009
4 최경남, "학습자 질문중심 하브루타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사고 성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13-1235, 2021
5 윤수정,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학습공동체"
7 박병락, "학생 주체의 의미와 포스트모던적 재구성"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83-100, 2007
8 임부연, "학교교육에서 진정한 배움의 의미 탐구: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1 (31): 179-202, 2017
9 주철안, "학교공동체의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201-224, 2007
10 Sergiovanni, T. J., "학교 공동체 만들기: 배움과 돌봄을 위한 도전" 에듀케어 2004
11 안지영,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 (20): 387-405, 2019
12 손은주,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학습동기와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93-116, 2017
13 김고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협력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이화어린이연구원 5 (5): 105-131, 2020
14 강은영,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47-557, 2018
15 김영천, "포스트모던 패러다임과 교육학/교육과정 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1
16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평가의언어" 창지사 2016
17 이화도,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그리고 유아교육"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11-221, 2007
18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학지사 2001
19 이경란, "초록유치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 유아의 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천의 변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253-277, 2015
20 고정화, "초등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플립드 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1 (21): 1-17, 2018
21 이경미, "초등영어 교육실습생의 교육과정 문해력 증진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교육연구소 25 (25): 619-639, 2019
22 이정우, "천 하나의 고원 :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돌베개 2008
23 Deleuze, G.,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1
24 Bergson, H.,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25 Delue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26 조용환,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211-244, 2004
27 권정만, "지식 본질에 대한 인식론적 소고: 지식관리에서의 지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307-326, 2014
28 양정모, "중등 예비교사의 씨름학습공동체 활동경험과 교사교육관점에서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25-147, 2012
29 이태영, "정서공동체로서 학교에 관한 철학적 탐구: 정동과 공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423-441, 2020
30 고영미, "자기 성찰과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해가는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4 (4): 67-84, 2017
31 Rogoff, B., "인간 교육학의 새로운 도전: 교수-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11
32 Delueze, G., "의미와 논리" 한길사 1999
33 이옥주, "음악 동아리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미치는 효과" 10 : 45-63, 2017
34 정혜영, "우리는 왜 이런 방식으로 수업하고 있을까?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융합사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10 (10): 5-35, 2020
35 이경옥, "예비유아교사의 R-러닝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생 동아리 프로그램"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175-197, 2012
36 이지연, "예비영어교사 교육실습 지도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웹기반 학습공동체 활용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22 (22): 371-385, 2018
37 심현표, "예비교사들의 생물실험교육 동아리 활동을 통한 참여 발달과 실천적 지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38 김영현,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 활용사례 연구: 초등 사회과 경제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60 (60): 67-86, 2021
39 김유정,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PPK)함양을 위한 사례 연구 : 실행공동체(CoP)활동의 반성적 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40 양정모, "예비 중등특수교사의 체육학습공동체 활동경험과 교사교육관점에서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51-1280, 2019
41 백지원, "영어 예비교사 전문성 함양 및 신장: 실행공동체 관점"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8 (8): 79-99, 2015
42 강현미,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87-116, 2016
43 마혜진,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11-133, 2014
44 김윤숙,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 배움공동체 실행 여정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45 Sellers, M.,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창지사 2018
4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47 조형숙,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19-142, 2011
48 김안나, "수업연구를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연구회 경험 이야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1-340, 2012
49 Driscoll, M.,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심리학" 교육과학사 2007
50 김미서, "삶의 방식으로서의 인성교육 -들뢰즈의 되기(becoming)관점을 통해-"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149-176, 2019
51 서근원, "산들초등학교의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교육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2 류미향,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Ⅰ" 교육과학사 231-267, 2020
53 강명희,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 학지사 2002
54 Bakhtin, M., "말의 미학" 길 2006
55 목영해,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48) : 49-67, 2010
56 최승현, "들뢰즈의 배움론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193-209, 2017
57 안효진, "들뢰즈의 기호와 배움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들의 얽힌 되기 : 프로젝트 기반 STEM 교육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113-132, 2018
58 김재춘, "들뢰즈의 ‘기호와의 마주침을 통한 배움’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원리학회 17 (17): 65-87, 2012
59 Taguchi, L. H.,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창지사 2018
60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7
61 배지현,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 배움의 우연성에 기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7, 2012
62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63 김재춘,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교육공동체’의 의미와 특징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31-57, 2020
64 임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사역량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209-226, 2020
65 이진경, "노마디즘 :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1" 휴머니스트 2002
66 김경은,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213-238, 2016
67 정석환,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지식론과 교육" 한국교육철학회 (41) : 441-471, 2010
68 김희연, "구성주의와 유아교육 : Piaget의 구성주의의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론의 개념적 확장" 21 (21): 157-189, 2001
69 김선영, "구성주의를 강조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 생물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및 세계관 변화 탐색" 교육연구원 30 (30): 235-254, 2014
70 김명애,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의 효과 :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71 김경철,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 양성교육이 예비 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25-150, 2009
72 조용기, "구성주의 교육의 구성" 14 : 237-253, 1998
73 Doll, J., "교육과정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 교육과학사 1997
74 염지숙,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95-310, 2011
75 고연주,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29-457, 2017
76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77 Rosa, H., "공동체의 이론들" 라움 2017
78 "공동체"
79 Tönnies, F.,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삼성출판사 1985
80 Weber, M., "경제와 사회: 공동체들" 나남 2009
81 지옥정,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변화 양상 분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223-242, 2009
82 유혜령, "‘포스트’ 시대 질적 연구방법론의 경향과 논리: 해체와 생성의 패러다임"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511-534, 2011
83 최근정, "‘역설적 공간’으로서의 학습공동체: 후기구조주의 공간 관점에서 학습공동체 재사유하기" 교육연구소 25 (25): 5-28, 2019
84 류현종,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과 수업의 성찰과 소통"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31-65, 2013
85 오경희, "‘배움’ ‘돌봄’ 그리고 진정한 ‘만남’의 유아교육공동체 형성"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19-244, 2007
86 이유나, "‘교육공동체’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53-185, 2016
87 Senge, P.,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learning organization" Double day 1990
88 한선아, "R-러닝 학생 동아리 프로그램 참여가예비유아교사들의 R-러닝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58-1068, 2013
89 이연승,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461-485, 2015
90 Hord, S. M.,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1997
91 Gina Newell,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Sustained Learning with Friend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8 (8): 505-508, 2002
92 Cochran-Smith, M., "Inside/outside : Teacher research and knowledge" Teachers College Press 1993
93 Susan J. Lea,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cent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Informa UK Limited 28 (28): 321-334, 2003
94 Massey, D., "For space" Sage Publications 2005
95 이원미,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 16 (16): 95-112, 2020
96 Linda McDowell, "Doing Gender: Feminism, Feminists and Research Methods in Human Geography" JSTOR 17 (17): 399-416, 1992
97 김재춘, "Deleuze의 되기 · 생성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교육원리학회 15 (15): 1-38, 2010
98 Wolff-Michael Roth, "Contradictions in theorizing and implementing communities in education" Elsevier BV 1 (1): 27-40, 2006
99 Kowch, E.,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with technology" ERIC 1997
100 윤은주, "Becoming-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 Applying Deleuzian Methodology" 한국유아교육학회 24 : 133-151, 2018
101 유재경,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핵심역량 모델 개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4 (24): 93-124, 2020
10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보육실습 현장의 관계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예비유아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