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 Textile Design by Methodology of Generativ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xtile is the most closely-related material to human life. It is continuously evolving with new methods of design development and various high technologies. In the past, the growth of the textile design industry was influenced mainly by the progress of production technology, the creation of new fibers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dyes. In modern tim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a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recent scient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at are responsive to an individual's value-seeking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textile design development through analyzing case study. The research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ubject as well as internet research. This research paper contains as follows.
      Textile Design with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is suggesting; 1) Textile designers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by introducing new methods and forms of expression. 2) Textile designers are able to cater to the new age so that the consumers receive additional value and experience through the medium of textile. 3)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cience, and technology in textile design demonstrates the value and abundant possibilities of textiles through multifaceted i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consumer, and the integrated design innovation in this research, this paper prove Textile Design by Methodology of Generative Design is creating new value and proposing innovative direction for future textile design.
      번역하기

      Textile is the most closely-related material to human life. It is continuously evolving with new methods of design development and various high technologies. In the past, the growth of the textile design industry was influenced mainly by the progress ...

      Textile is the most closely-related material to human life. It is continuously evolving with new methods of design development and various high technologies. In the past, the growth of the textile design industry was influenced mainly by the progress of production technology, the creation of new fibers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dyes. In modern tim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a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recent scient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at are responsive to an individual's value-seeking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textile design development through analyzing case study. The research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ubject as well as internet research. This research paper contains as follows.
      Textile Design with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is suggesting; 1) Textile designers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by introducing new methods and forms of expression. 2) Textile designers are able to cater to the new age so that the consumers receive additional value and experience through the medium of textile. 3)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cience, and technology in textile design demonstrates the value and abundant possibilities of textiles through multifaceted i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consumer, and the integrated design innovation in this research, this paper prove Textile Design by Methodology of Generative Design is creating new value and proposing innovative direction for future textile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텍스타일은 인간생활과 가장 밀접한 소재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기술 접목을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이나 생산 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생산 방식에서 이룬 생산 기술의 고도화와 신섬유 소재의 개발, 염료의 개발 등이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다양한 과학기술과의 접목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은 다각도의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고 개개인의 가치 추구 경향에 부응하며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방향에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인터넷 탐색 방법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각 사례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텍스타일의 세가지 새로운 방향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디지털 기술과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창작 방법과 표현 방식을 도입하여 창작 활동의 범위를 확장 시켰다. 2)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새로운 시대에 대응할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안하고 소비자는 텍스타일 이라는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제공 받게 되었다. 3) 텍스타일 디자인은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과학과 인간에 대한 탐구를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제안하는 혁신을 이루고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제너러티브 방법론의 도입은 유연한 사고와 협력적 관계를 통해 융합적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텍스타일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다각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의 무한한 가치와 풍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사회의 혁신을 주도 할 현대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창작자 관점, 소비자 관점, 통합적인 디자인 혁신의 관점으로 도출하여 제시 하였다.
      번역하기

      텍스타일은 인간생활과 가장 밀접한 소재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기술 접목을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이나 생산 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생산 방식에서 ...

      텍스타일은 인간생활과 가장 밀접한 소재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기술 접목을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이나 생산 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생산 방식에서 이룬 생산 기술의 고도화와 신섬유 소재의 개발, 염료의 개발 등이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다양한 과학기술과의 접목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은 다각도의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고 개개인의 가치 추구 경향에 부응하며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방향에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인터넷 탐색 방법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각 사례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텍스타일의 세가지 새로운 방향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디지털 기술과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창작 방법과 표현 방식을 도입하여 창작 활동의 범위를 확장 시켰다. 2)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새로운 시대에 대응할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안하고 소비자는 텍스타일 이라는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제공 받게 되었다. 3) 텍스타일 디자인은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과학과 인간에 대한 탐구를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제안하는 혁신을 이루고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제너러티브 방법론의 도입은 유연한 사고와 협력적 관계를 통해 융합적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텍스타일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다각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의 무한한 가치와 풍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사회의 혁신을 주도 할 현대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창작자 관점, 소비자 관점, 통합적인 디자인 혁신의 관점으로 도출하여 제시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현, "초기 컴퓨터 예술로부터 사이버네틱스 미학으로의 전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19-28, 2011

      2 박상현, "제너레티브 아트의 미학적 맥락과 기술적 유사 영역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179-189, 2012

      3 최장섭,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예술 및 디자인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431-440, 2011

      4 "https://www.youtube.com/watch?v=E2SxqUvtpIk"

      5 "https://www.vogue.com"

      6 "https://www.unmade.com/"

      7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35701"

      8 "https://www.mcescher.com/gallery/switzerland-belgium/development-iii/"

      9 "https://www.liacook.com/works/iterations/"

      10 "https://www.glitchtextiles.com/"

      1 박상현, "초기 컴퓨터 예술로부터 사이버네틱스 미학으로의 전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19-28, 2011

      2 박상현, "제너레티브 아트의 미학적 맥락과 기술적 유사 영역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179-189, 2012

      3 최장섭,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예술 및 디자인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431-440, 2011

      4 "https://www.youtube.com/watch?v=E2SxqUvtpIk"

      5 "https://www.vogue.com"

      6 "https://www.unmade.com/"

      7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35701"

      8 "https://www.mcescher.com/gallery/switzerland-belgium/development-iii/"

      9 "https://www.liacook.com/works/iterations/"

      10 "https://www.glitchtextiles.com/"

      11 "https://spacesymmetrystructure.wordpress.com/"

      12 "https://n-e-r-v-o-u-s.com/"

      13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tive_design"

      14 "https://creators.vice.com/en_us/article/9anway/wrap-yourself-in-a-code-scarf"

      15 "http://www.generative.net/read/definitions"

      16 "http://www.echelman.com/"

      17 "http://www.com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161"

      18 "http://kylemcdonald.github.io/Roseheading/Release/"

      19 "http://complexification.net/gallery/"

      20 "http://blog.drwoohoo.com"

      21 Bradley Quinn, "Textile Futures_fashion, design and technology" BERG 2010

      22 Dorin, Alan, "Physicality and Notation, Fundamental Aspects of Generative Processes in the Electronic Arts" CEMA 80-91, 1999

      23 Dorin, Alan, "Generative Art and The Aesthetics of Emergence" Monash University 2005

      24 Galanter, Philip, "A Companion to Digital Art" John Wiley & Sons, Inc.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