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방과후학교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실행연구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온·오프라인을 혼합한 효과적인 피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91302
2021
-
교육과정 ; 음악 학습 ; 블렌디드 러닝 ; 피아노 학습 ; 방과후학교 ; Curriculum ; music learning ; blended learning ; piano learning ; after-school program
376
KCI등재
학술저널
41-67(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방과후학교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실행연구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온·오프라인을 혼합한 효과적인 피아�...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방과후학교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실행연구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온·오프라인을 혼합한 효과적인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 연구로 설계하였다. 먼저 블렌디드 모형 5단계에 따라 피아노 학습의 구체적인 지도계획서 및 학습콘텐츠를 계획하고 한 학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12주 동안 실제 교육현장에서 운영하였다. 학생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음악적 흥미도의 사전·사후 테스트를 실시하여 양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찰일지와 루브릭, 질문, 학습 영상촬영의 자료를 질적 분석하여 총체적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음악적 흥미도의 양적데이터는 유의미한 향상이 검증되었고, 질적 분석 결과 점차 학습콘텐츠를 성실하게 시청하고 음악적 흥미와 관심이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음악적 흥미도가 높아짐에 따라 학습 자신감이 생기고 관심있는 제재곡을 스스로 선정하여 연주의 시청각 자료를 교수자에게 요구하는 모습을 보이는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로 피아노 학습에서 블렌디드 러닝이 효과적인 학습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이 피아노 학습에서 유용한 학습 도구로 활용되길 희망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after-school piano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and studying the practice in the actual site for its effectiveness. It started from the necessity to develop effective an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 education situ...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after-school piano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and studying the practice in the actual site for its effectiveness. It started from the necessity to develop effective an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 education situation balancing in both online and offline schooling. A mixed method was designed to develop effective piano program applying to mix both online and offline and to analyze changes on students. Firstly, according to five steps of blended model, piano lesson was planned and specific teaching plans and learning contents were developed for a program during a semester, and it was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for 12 weeks. In order to measure students’ changes, pre- and post-tests on musical interest were conducted, the quantitative data on 21 students were analyzed, and qualitative data including observation logs, rubrics, and learning video were analyzed for finding the comprehensive meanings. Quantitative data on musical interests were verified with signifiant improvements,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students watched the learning contents more sincerely, raising their musical interests and concerns. As musical interests were raising, students’ confidence of learning was made and there were possi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to choose a music with interests and to request teacher to offer the sources for play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blended learning in piano lesson could be a useful metho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will be an educational tool for learning to play the pian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상은, "피아노 교육에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소개 및 분석"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87-113, 2020
2 오세집, "피아노 교육에 관한 모든 것(피아노 레슨 실무)" 상지원 154-155, 2002
3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예시 자료집(블렌디드 러닝)"
4 최은아, "초등학생을 위한 리코더 원격수업 방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5) : 21-39, 2020
5 이희승,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77-197, 2020
6 박부경, "온라인 피아노 레슨의 환경과 교수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연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21-152, 2020
7 양지, "영상발표를 활용한 피아노 실습 교과목의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53-175, 2020
8 Creswell. J. W., "알기 쉬운 혼합연구방법" 학지사 21-, 2017
9 박현진, "아츠프로펠을 활용한 음악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중학생들의 음악적 흥미도, 자기효능감, 음악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3) : 21-48, 2020
10 "방과후학교 홈페이지"
1 오상은, "피아노 교육에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소개 및 분석"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87-113, 2020
2 오세집, "피아노 교육에 관한 모든 것(피아노 레슨 실무)" 상지원 154-155, 2002
3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예시 자료집(블렌디드 러닝)"
4 최은아, "초등학생을 위한 리코더 원격수업 방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5) : 21-39, 2020
5 이희승,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77-197, 2020
6 박부경, "온라인 피아노 레슨의 환경과 교수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연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21-152, 2020
7 양지, "영상발표를 활용한 피아노 실습 교과목의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53-175, 2020
8 Creswell. J. W., "알기 쉬운 혼합연구방법" 학지사 21-, 2017
9 박현진, "아츠프로펠을 활용한 음악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중학생들의 음악적 흥미도, 자기효능감, 음악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3) : 21-48, 2020
10 "방과후학교 홈페이지"
11 최선영, "말리듬을 활용한 리듬지도가 리듬감 및 음악적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 2015
12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세광음악출판사 188-, 1992
13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세광음악출판사 188-, 1992
14 Soyoung Yoon, "The Study of Online Piano Education-The Online Piano Education of S Cyber University"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34 : 1-26, 2018
15 Shen, L., "Teaching and Learning of Piano Timbre through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Lessons" (4) : 2021
16 Germaine L., "Rubrics: A Handbook for Construction and Use" R&L Education 23-, 1999
17 Jeanine, M., "Professional Piano Teaching" (1, 17) : 2006
18 Bastien. J. W., "How to Teach Piano Successfully" General Words and Music Co 18-, 1973
19 MAX. W. C., "Developing Piano Performance: A Teaching Philosophy" Alfred Publishing Company 21-, 1981
20 Jamil, I., "Blended e-Learning Approach for Traditional Palestinian Universities" Palestine Ahliya University 2008
21 Graham, C. R.,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Sirections" 3-21, 2006
22 Eunjung Lim, "A Study on the Piano Untact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for Developmental Disorder Learner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 (20): 829-855, 2020
23 안병영, "5·31 교육개혁 그리고 20년" 다산출판사 36-, 2015
24 교육부, "2020 원격수업교육기준안"
25 경기도교육청, "2020 블렌디드의 이해"
2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제2015-74호 총론, 별책 12호"
온택트 시대 사이버대학교 실시간 비대면 음악수업 정교화를 위한 학습자의 수업흥미와 학습경험에 대한 분석
음악적 소통 역량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함양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연구: 생활화 영역을 중심으로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비교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10-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 ![]() |
2008-10-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0.785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