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5‧18 당시 안병하 국장과 전남 경찰의 활동과 피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ivity and Damage of Commissioner Ahn Byungha and the Police of Jeonnam Province during the 5‧18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3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enty-four years has passed since the date of May 18 was declared a legal anniversary in 1997, but the people that would distort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ave shifted some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vi...

      Twenty-four years has passed since the date of May 18 was declared a legal anniversary in 1997, but the people that would distort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ave shifted some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violence to the Jeonnam Police Department. In response to this, research on the roles and activities of Jeonnam Provincial Police Agency Director Ahn Byung-ha and Jeonnam Police Department is receiving new attention. This paper looks through relevant material and testimonies to illuminate the activities and damages of Ahn Byung-ha and the Jeonnam Police Department at the time of May 18, and studies their intermediate identity, damage and compens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activities in Jeonnam Police of the time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with citizens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identity of the police. In addition, the researcher studies the damages and compensation methods of the May 18 Jeollanam Police in this situation. Through the analysis, the Jeonnam Police were able to maintain a relatively calm state with the citizens with a moderate method of controlling protest in the previous and early stages of the 5·18 period because the police had an intermediate identity meaning that they played a public role of controlling protest and also resisting too much state violence and did not need the support of special forces desperately. Director Ahn Byung-ha was well aware of this situation and, while refusing the command to fire, tried to maintain order at a minimum and protect the wounded. As a result, Director Ahn Byung-ha and Chief Lee Jun-gyu died after torture, and many police officers were dismissed, and their emotional injury should be compensated by interpreting the 5·18 Compensation Law in this context. Lastl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mplete policing cooperation between the civilians and the police in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2021 by illuminating the activities and damage of the May 18 Jeonnam Police from a new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전남경찰국, "치안질서 회복을 위한 경찰의 조치. 전남 도경국장 직무유기 피의사건 수사 결과" 1980

      2 황석영,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창비 2017

      3 전두환, "전두환 회고록 제1권" 자작나무 숲 2017

      4 경찰청, "전남사태 관계기록 Ⅰ"

      5 육군본부 전투교육병과사령부, "전교사 작전상황일지"

      6 이재의, "안병하 평전" 정한책방 2019

      7 경찰청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안병하 전 전남국장, 5 18 관련 순직 진상조사 보고서" 2005

      8 안병하, "안병하 비망록" 319-323, 2019

      9 경찰교육원, "불멸의 경찰, 이곳에 영원히 살아 숨쉬다"

      10 김민영, "민주화운동과 국가보훈 : 4 19와 5 18 참여자의 보훈제도 진입 과정" 연세대학교대학원 2017

      1 전남경찰국, "치안질서 회복을 위한 경찰의 조치. 전남 도경국장 직무유기 피의사건 수사 결과" 1980

      2 황석영,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창비 2017

      3 전두환, "전두환 회고록 제1권" 자작나무 숲 2017

      4 경찰청, "전남사태 관계기록 Ⅰ"

      5 육군본부 전투교육병과사령부, "전교사 작전상황일지"

      6 이재의, "안병하 평전" 정한책방 2019

      7 경찰청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안병하 전 전남국장, 5 18 관련 순직 진상조사 보고서" 2005

      8 안병하, "안병하 비망록" 319-323, 2019

      9 경찰교육원, "불멸의 경찰, 이곳에 영원히 살아 숨쉬다"

      10 김민영, "민주화운동과 국가보훈 : 4 19와 5 18 참여자의 보훈제도 진입 과정" 연세대학교대학원 2017

      11 이유정, "민간인 학살 사건과 국가의 배상책임 ― 울산보도연맹 1심 판결을 중심으로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0) : 231-262, 2009

      12 문재인, "대한민국 경찰의 자부심으로. 제75주년 경찰의 날 기념사"

      13 김종성, "군복 입기 부끄러워"...5.18 때 전두환에 맞선 장군들"

      14 2군사령부, "광주권 충정작전간 군 지시 및 조치사항. 항공기 지원(UH-1H)10대, 500MD 5대"

      15 국방부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결과보고서" 국방부 2007

      16 전남지방경찰청, "故 안병하 전남경찰국장 순직진상조사자료"

      17 정대하, "“광주에 대포 못 쏩니다” 군복 벗고 ‘무궁화 주유소’ 차린 장군"

      18 오연서, "‘5·18 참상 편지’로 반공법 처벌받은 전경, 39년만에 재심 무죄"

      19 김용희, "‘5·18 진압 거부’하다 경찰 강제 사직당했는데…명예회복 어렵다고?"

      20 505보안부대, "7공수 33, 35대대 출동준비"

      21 김남욱, "6ㆍ25전쟁 국가유공자와 5ㆍ18 민주유공자의 국가보상에 관한 소고" 한국공법학회 44 (44): 439-471, 2015

      22 정병곤 ; 이건근, "5・18 전남도경찰국 복원의 정당성과 활용 근거: 안병하 위민정신" 인문사회 21 11 (11): 1297-1306, 2020

      23 이희성, "5.18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의 보상에 대한 사회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27) : 399-432, 2007

      24 연합뉴스, "5 18진상규명위, 계엄군 경찰 피해 조사 개시"

      25 전남지방경찰청, "5 18 민주화운동 과정 전남경찰의 역할. 5 18 민주화운동관련 경찰 사료수집 및 활동조사 TF" 전남지방경찰청 2017

      26 국가보훈처, "5 18 민주유공자 대상요건"

      27 구영식, "5 18 당시 유혈진압 거부한 고 이준규 전 목포경찰서장 거명... '올해의 경찰영웅'에 선정"

      28 최경호, ""전두환 회고록은 역사 쿠데타"…법원, "회고록 판매·배포 금지""

      29 김명일, ""5·18 비방이 살인보다 중죄냐"…'역사왜곡처벌법'에 野 반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