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 일본 지역 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9964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사이버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 판사항(6)

      • DDC

        951.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84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미라
        권말부록: 일본 지역 한국교육원별 특색 사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경희사이버대학교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일본 내 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통하여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일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연구는 대부분 재일동포 아동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정부의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역시 아동·청소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일동포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 중 재외국민의 교육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재외동포를 위한 사회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일본 지역 15개 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하여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재일동포 성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해 제언하였다.
      광복 이후 조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일념으로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생적으로 모국어와 모국의 문화, 역사를 가르치는 데에서 시작한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재일동포 사회의 구성원이 다양해지면서 세대 혹은 연령에 따라, 출신지가 어디인지에 따라, 주재국 내 재류자격에 따라, 민단원인지 비민단원인지에 따라 그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책에서 변화된 새로운 정부의 재일동포 교육 정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의 교육을 담당하는 한국교육원도 그에 맞게 변화해야 하지만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이 현지에서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내용이 달라야 함에도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일본 사회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재일동포를 위한 교육에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 둘째, 정책의 큰 틀은 ‘동포’ 아동, 성인 구분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 집행되는 정책 대부분 대상이 아동 학습자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것, 셋째,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법률에 대한 해석이 모호하다는 것, 넷째, 재일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학습 동기, 학습 목적,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등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구분되고 교사는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들 대상으로 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와 민족교육 내용으로서 한국의 역사와 재일동포의 역사 통합 교육을 담당할 전문 강사 양성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에 대한 교육 정책을 수립할 때 재일동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일동포 아동·청소년 학습자만큼 성인 학습자의 학습권도 중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한국교육원이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명확한 교육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재일동포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각 지역의 한국교육원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이에 따른 관련법 개정도 필요하다. 재일동포 교육의 안정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령 개정 및 업무 재분장을 통하여 한국교육원으로 재일동포 교육 업무를 일원화시켜야 한다.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교육원에서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재일동포들에게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이 왜 필요한지 지속적으로 설득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배우고 싶어 하는 내용을 가르쳐야 하며, 이에 맞게 교과서를 보완하는 것도 한국교육원이 해야 할 업무이다. 한편, 현지교사 및 강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는 대부분의 한국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신규 교사 양성이라기보다는 기존 교사의 재교육 수준에 그치고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신규 교사 양성을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일본 내 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통하여 재일동포 성인...

      본 연구는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일본 내 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통하여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일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연구는 대부분 재일동포 아동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정부의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역시 아동·청소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일동포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 중 재외국민의 교육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재외동포를 위한 사회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일본 지역 15개 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하여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재일동포 성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해 제언하였다.
      광복 이후 조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일념으로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생적으로 모국어와 모국의 문화, 역사를 가르치는 데에서 시작한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재일동포 사회의 구성원이 다양해지면서 세대 혹은 연령에 따라, 출신지가 어디인지에 따라, 주재국 내 재류자격에 따라, 민단원인지 비민단원인지에 따라 그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책에서 변화된 새로운 정부의 재일동포 교육 정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의 교육을 담당하는 한국교육원도 그에 맞게 변화해야 하지만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이 현지에서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내용이 달라야 함에도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일본 사회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재일동포를 위한 교육에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 둘째, 정책의 큰 틀은 ‘동포’ 아동, 성인 구분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 집행되는 정책 대부분 대상이 아동 학습자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것, 셋째,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법률에 대한 해석이 모호하다는 것, 넷째, 재일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학습 동기, 학습 목적,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등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구분되고 교사는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들 대상으로 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와 민족교육 내용으로서 한국의 역사와 재일동포의 역사 통합 교육을 담당할 전문 강사 양성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에 대한 교육 정책을 수립할 때 재일동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일동포 아동·청소년 학습자만큼 성인 학습자의 학습권도 중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한국교육원이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명확한 교육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재일동포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각 지역의 한국교육원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이에 따른 관련법 개정도 필요하다. 재일동포 교육의 안정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령 개정 및 업무 재분장을 통하여 한국교육원으로 재일동포 교육 업무를 일원화시켜야 한다.
      재일동포 성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교육원에서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재일동포들에게 재일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이 왜 필요한지 지속적으로 설득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배우고 싶어 하는 내용을 가르쳐야 하며, 이에 맞게 교과서를 보완하는 것도 한국교육원이 해야 할 업무이다. 한편, 현지교사 및 강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는 대부분의 한국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신규 교사 양성이라기보다는 기존 교사의 재교육 수준에 그치고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신규 교사 양성을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overnm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s in Japan, and to sugges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through the survey results.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has long been emphasized, but so far,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children learners, and the government's polic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has also been pushed around children and adolescent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ugges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adults in Japan, based on the Act on th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Korean adults in Japa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which began naturally in teaching their native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in order to maintain their national identity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varies depending on their age or age, depending on where they are from,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residents in the host country. This has led to the need for a new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on Koreans in Japan, which has changed from its previous policy, and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charge of educating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should change accordingly, bu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n Japan has not been activated there.
      The reason is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bu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in Japan is neglected in the atmosphere of Japanese society, which wa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n-Japanese" children, who do not distinguish adults, but most of the policies that are implemented in Korea are focused on education for children. They say that while they should have expertise in Korea, they lack measures to nurture professional instructors who will be in charge of integrating Korean history and history of ethnic Koreans in Japan, as well a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education as successors for Korean-Japanese adult learners in Japan.
      To solve such problems, the government should clearly recognize that adult learners' right to learn is as important as those of Korean children and teenagers in Japa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each member who makes up the Korean-Japanese society when it establishes education policies for adult learners of Koreans in Japan, and present clear educational goals so that the Korean education center can focus on Korean education of adult learners in Japan.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each region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and revise relevant laws accordingly. In order to stabilize and revitalize the education of Koreans in Japan, the government should unify the work of educating Koreans in Japan to the Korean education center through the revision of the statutes and re-organization of the work.
      The Korean education center, which i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should continue to persuade ethnic Koreans in Japan in their respective regions why they ne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learners what they want to learn through analysis of their needs, and supplementing textbooks accordingly is the job of the Korean Education Institute. Meanwhile, training for local teachers and instructors is conducted by most Korean education institutes, but it is only the level of re-education for existing teachers, rather than training new ones, which requires policies to foster new teachers more ac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overnm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s in Japan, and to sugges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overnm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s in Japan, and to sugges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through the survey results.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has long been emphasized, but so far,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children learners, and the government's polic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has also been pushed around children and adolescent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ugges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adults in Japan, based on the Act on th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Korean adults in Japa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which began naturally in teaching their native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in order to maintain their national identity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varies depending on their age or age, depending on where they are from,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residents in the host country. This has led to the need for a new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on Koreans in Japan, which has changed from its previous policy, and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charge of educating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should change accordingly, bu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n Japan has not been activated there.
      The reason is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bu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in Japan is neglected in the atmosphere of Japanese society, which wa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n-Japanese" children, who do not distinguish adults, but most of the policies that are implemented in Korea are focused on education for children. They say that while they should have expertise in Korea, they lack measures to nurture professional instructors who will be in charge of integrating Korean history and history of ethnic Koreans in Japan, as well a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education as successors for Korean-Japanese adult learners in Japan.
      To solve such problems, the government should clearly recognize that adult learners' right to learn is as important as those of Korean children and teenagers in Japa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each member who makes up the Korean-Japanese society when it establishes education policies for adult learners of Koreans in Japan, and present clear educational goals so that the Korean education center can focus on Korean education of adult learners in Japan.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each region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and revise relevant laws accordingly. In order to stabilize and revitalize the education of Koreans in Japan, the government should unify the work of educating Koreans in Japan to the Korean education center through the revision of the statutes and re-organization of the work.
      The Korean education center, which i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Korean learners in Japan, should continue to persuade ethnic Koreans in Japan in their respective regions why they ne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thnic Koreans in Japan.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learners what they want to learn through analysis of their needs, and supplementing textbooks accordingly is the job of the Korean Education Institute. Meanwhile, training for local teachers and instructors is conducted by most Korean education institutes, but it is only the level of re-education for existing teachers, rather than training new ones, which requires policies to foster new teachers more active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