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다문화교육 현황과 방향 모색- 제주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 및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 분석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Mulicultural Education’s Lecture at the University: Focused on Jeju National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a cas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a cas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and the attendees’ activities in the course, 2015. This result of this study shows some implication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were taken by the high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the students with the idea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fter t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take greater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Secondly,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not established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tudent teachers college students, so a kind of multiculural education courses are offered. Thus, diverse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multiculture need to be opened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ulticultural programs and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junction with their local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대학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주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전체 다문화교육 강좌, 즉 일반교양과 교직 강좌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

      이 글에서는 대학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주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전체 다문화교육 강좌, 즉 일반교양과 교직 강좌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에 대해서는 수업활동내용 고찰과 함께 수강 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조사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 수강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강좌 수강 후 다문화 관련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학생들의 다문화 관련 인식과 태도도 강좌 수강 후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다음으로 제주대학교의 경우 초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운영 중이나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아직 개설되지 않은 상태로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정,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2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3 전세경, "초등교원 양성대학 '다문화교육' 강좌의 구성과 운영 실태 및 실과교육과의 관련성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213-239, 2011

      4 황석규, "제주특별자치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분석을 통한 다문화 시민성교육"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2015

      5 정광중, "제주국제자유도시 다문화교육 탐구" 제주대학교출판부 2012

      6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165-190, 2008

      7 자연교육연구소, "세계를 이해하는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제이솔 2007

      8 지승현, "박물관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8

      9 박균열, "대학의 다문화이해 강좌 인식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22) : 273-300, 2010

      10 임재윤, "대학의 교양과정 고찰" 23 (23): 357-379, 2001

      1 김희정,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2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3 전세경, "초등교원 양성대학 '다문화교육' 강좌의 구성과 운영 실태 및 실과교육과의 관련성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213-239, 2011

      4 황석규, "제주특별자치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분석을 통한 다문화 시민성교육"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2015

      5 정광중, "제주국제자유도시 다문화교육 탐구" 제주대학교출판부 2012

      6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165-190, 2008

      7 자연교육연구소, "세계를 이해하는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제이솔 2007

      8 지승현, "박물관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8

      9 박균열, "대학의 다문화이해 강좌 인식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22) : 273-300, 2010

      10 임재윤, "대학의 교양과정 고찰" 23 (23): 357-379, 2001

      11 김성우,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11-42, 2009

      12 Banks, J.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3 장인실,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09-431, 2003

      14 장선영, "교사 역량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0) : 79-107, 2008

      15 Riessman, F., "The culturally deprived child" Happer & Row 1962

      16 Bereiter, C., "Teaching disadvantaged children in the preschool" Prentice-Hall 1966

      17 Hughes, K.H., "Teaching Methods and an Outcome Tool for Measuting Cultur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18 : 57-62, 2007

      18 Pettigrew, T. F., "School desegregation in large cities: A critique of the Coleman 'White flight' thesis" 46 (46): 1-53, 1976

      19 Coleman, J. S., "Recent trends in school integration" 1975

      20 Jensen, A. R., "How much can we boost IQ and scholastic achievement?" 39 : 1-123, 1969

      21 Banks, J. A.,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tural Education" Jossey-Bass 3-24, 2001

      22 Cabello. B., "Examining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in culturally diverse classrooms" 46 (46): 285-294, 1995

      23 Shockley, W., "Dysgenics, geneticity, raceology: A challenge to the intellectu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s" 53 (53): 297-307, 1972

      24 Wilson, J., "Development a Global Outlook: Cultural Intelligence" 15 (15): 24-25, 2007

      25 Herrnstein, R. J., ""I. Q." in the meritocracy" Little, Brown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