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주의 변화(개혁)에 따른 관료주의와 부패 실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3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전반에 깔려 있는 관료주의와 부패현상이 자본주의 국가의 전유물로 한때는 일컬어 왔다. 하지만 오늘날 사회주의를 몰락시킨 주원인 중 하나가 관료주의와 부패라는 지구촌 사람들의 ...

      사회전반에 깔려 있는 관료주의와 부패현상이 자본주의 국가의 전유물로 한때는 일컬어 왔다. 하지만 오늘날 사회주의를 몰락시킨 주원인 중 하나가 관료주의와 부패라는 지구촌 사람들의 시각이 변해가고 있다. 이렇듯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어느 체제에서든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 즉, 국가 발전을 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장애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은 관료주의 형태와 부정부패의 문제라고 본다. 북한 중국 러시아는 일당독재체제, 나아가서 급속히 식어가고 있는 혁명적 열정과 이념적 해이 현상이 사회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시장경제 시스템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오는 분배 불균형 정책은 상대적 위기의식을 불식하고자 하는 관료들의 자연스러운 행위로 바뀌게 되었다. 다시말해 관료주의가 시장경제 시스템과 병행되면서 관료주의의 부정적 부분이 사회 전반에 만연한 부정과 부패를 가져다주고 있다. 시장경제 원리를 채택한 북한 중국 러시아의 관료주의와 부패 현상은 개인의 이익 추구가 집단주의보다 선행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는 기존 사회주의 가치관들의 의미를 상실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북한 중국 러시아가 하루빨리 자유민주화를 정착시키는 것만이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관료주의의 접근 시각
      • Ⅲ. 부패의 원인과 특징
      • Ⅳ. 반부패정책과 관료주의 개혁의 한계성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관료주의의 접근 시각
      • Ⅲ. 부패의 원인과 특징
      • Ⅳ. 반부패정책과 관료주의 개혁의 한계성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胡守鉤, "「權力社會面面觀」. (世界經濟報道)"

      2 黃葦町, "「明報」. 1999년 1월 8일자"

      3 유 훈, "행정학원론" 법문사 1976

      4 정인홍, "행정학" 박영사 1982

      5 금희연, "한중일 삼국의 관료부패" 백의 2004

      6 서동주, "푸틴 정치개혁의 특징과 과제" 한국슬라브학회 22 (22): 77-98, 2007

      7 "철학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70

      8 "조선말대사전 1" 사회과학출판사 1992

      9 "정치사전" 사회과학 출판사 1973

      10 박영자, "사회변동기 북한체제의 시장과 젠더(1995-2006)" 북한연구학회 416-, 2006

      1 胡守鉤, "「權力社會面面觀」. (世界經濟報道)"

      2 黃葦町, "「明報」. 1999년 1월 8일자"

      3 유 훈, "행정학원론" 법문사 1976

      4 정인홍, "행정학" 박영사 1982

      5 금희연, "한중일 삼국의 관료부패" 백의 2004

      6 서동주, "푸틴 정치개혁의 특징과 과제" 한국슬라브학회 22 (22): 77-98, 2007

      7 "철학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70

      8 "조선말대사전 1" 사회과학출판사 1992

      9 "정치사전" 사회과학 출판사 1973

      10 박영자, "사회변동기 북한체제의 시장과 젠더(1995-2006)" 북한연구학회 416-, 2006

      11 유영옥, "북한학" 학문사 160-165, 2005

      12 조정아, "북한주민의 일상생활" 통일연구원 279-, 2008

      13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이해" 통일교육원 239-, 2009

      14 백두연구소, "북한의 혁명적 군중로선" 백두 2000

      15 김영진, "러시아의 부패현황과 사회문화적 원인" 12-, 2003

      16 Sergei Parkhomenko의 김영진 인터뷰, "러시아의 부패현황과 사회문화적 원인" 2003

      17 박윤형, "러시아 지역 부패에 대한 구조적 분석" 한국슬라브학회 21 (21): 253-273, 2006

      18 김정일, "당 사업을 강화하여 우리식 사회주의를 더욱 빛내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1992년 1월 1일. 「김정일선집 제1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258-, 1997

      19 "김일성저작선집. 제4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68

      20 한기철, "교육과 관료주의/관료주의적 교육운영의 능률성과 한계성-막스베버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12 (12): 48-49, 1994

      21 강강민, "관료적 권위주의의 한국적 생성" 한국정치학회 17 : 346-, 1983

      22 何增科, "反腐新路" 中央編譯出版社 52-, 2002

      23 이서행, "中國의 公職腐敗 現況과 解決課題" 한국윤리학회 1 (1): 289-322, 2009

      24 "中國信息報"

      25 "http://www.transparency.de/documents/index.htm1#cpi"

      26 "http://www.ti.or.kr"

      27 "http://www.rand.org/nsrd/cre/events/corruption.html"

      28 "http://www.indem.ru/indemfond/indfp2_e.html"

      29 Weber Max,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Charles Scribner's Sons 1976

      30 Human Relation, "The Behavior of Authoritarian and Equalitarian Personalities in Group. Vol. Ⅸ, No. 1 (Feb)"

      31 Willian Haythorn, "The Behavior of Authoritarian and Equalitarian Personalities in Group" 4 (4): 52-72, 1956

      32 Analytic Report, "Russia vs. Corruption : Who Wins?" Council on Foreign and Defence Policy, Russia and the World 29-30, 1999

      33 M. E. Dimock, "Public Administration" Rinehart & Company Inc 362-, 1960

      34 Samuel P. Huntington, "Political Order in Charging Societies" Yale University Press 59-, 1969

      35 "Nezavisimaya Gazeta"

      36 Samuel P. Huntington, "Modernization and Corruption. in : Political Corruption: A Handbook" Translation Publishers 383-, 1989

      37 Blau Peter M., "Meyer, Bureaucracy in Modem Society" Random House 18-21, 1971

      38 M. N. Afanas'ev, "Klientelism i Rossiiskaia Gosudarstvennost' (Moscow)"

      39 Kenneth J. Meire, "I Seen My Opportunities and I Took Em': Political Corruption in the American States" 54 (54): 135-136, 1992

      40 TI, "Global Corruption Report 2004" Pluto Press 250-, 2004

      41 Firmly, "Global Corruption Report 2004" Pluto Press 246-250, 2004

      42 Erich Fromm, "Escape from Freedom" Holt, Rinehart & Winston, Inc 185-186, 1969

      43 Vitaly Nomokonov, "Corruption in Contemporary Russia and Prospect of Combating It" 82-, 2004

      44 James C. Scott, "Comparative Political Corruption" Prentice-hall 4-, 1972

      45 Kim Ilpyong J., "Communist Politics in North Korea" Praeger Publishers, Inc 49-62, 1975

      46 후안강, "Asian Wallstreet Journal"

      47 Wei Jianxing, "Adopt to the new Situation, Anti-corruption in Depth, serve for Implementing Comprehensively the Fundamental Lines of CPC" Fight Against Corruption 1993

      48 몽테스키외, "(Charles-Louis de Secondat). 「법의 정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46 1.64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