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국 소재 주말 한글학교에서의 학습과 그 후 10년 = Children's language learning at a Korean Saturday school in the U.S, and ten years after the schoo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0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소재의 주말 학교에 다녔던 상이한 두 그룹에 있었던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을 프로렙시스(prolepsis: 가상의 미래를 현실로 가져오는 것)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부모의 생각과 아동의 언어발달 및 정체성 확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학교가 어떻게 부모의 생각을 대행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녀의 미래가 한국에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은 아동이 나중에 한국에 귀국할 경우 학교에 잘 적응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한글학교에 보냈다. 반면에 자녀의 미래가 미국에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은 아동의 한글학습을 아동의 정체성과 연결시켰다. 주말 학교에 보내기 전의 두 그룹 아동의 가정에서의 언어 환경이 달랐고, 각기 독특한 언어 환경은 한글 학교에 오기 전 아동의 한국어 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후에 주말 한글학교에서의 학급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한글학교에서의 학습 이후 10년 후의 아동의 언어발달과 정체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국 소재의 주말 학교에 다녔던 상이한 두 그룹에 있었던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을 프로렙시스(prolepsis: 가상의 미래를 현실로 가져오는 것)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부모의 생각과 ...

      본 연구는 미국 소재의 주말 학교에 다녔던 상이한 두 그룹에 있었던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을 프로렙시스(prolepsis: 가상의 미래를 현실로 가져오는 것)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부모의 생각과 아동의 언어발달 및 정체성 확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학교가 어떻게 부모의 생각을 대행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녀의 미래가 한국에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은 아동이 나중에 한국에 귀국할 경우 학교에 잘 적응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한글학교에 보냈다. 반면에 자녀의 미래가 미국에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은 아동의 한글학습을 아동의 정체성과 연결시켰다. 주말 학교에 보내기 전의 두 그룹 아동의 가정에서의 언어 환경이 달랐고, 각기 독특한 언어 환경은 한글 학교에 오기 전 아동의 한국어 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후에 주말 한글학교에서의 학급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한글학교에서의 학습 이후 10년 후의 아동의 언어발달과 정체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ren in two groups at a Korean Saturday School in the U.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oncept of “prolepsis”(i.e., bringing the imagined future into the present context). This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describes how the parents' envisioned future for their children was related to the children's identity and their assumptions about how and what their children should lear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n institution mediated parental prolepsis by providing two idosyncratic groups of classes. Parents who envisioned that their children's future would be in Korea expected their children to prepare for the Korean school setting. Whereas the parents who expected that their children's future would be in the U.S. associated their children's language learning with maintaining their children's cultural identity. The two groups' hom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lso influenced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level that in turn influenced their placement at the Saturday school and what they learned at the school. In addition, retrospec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10 years after the Saturday schooling to find out about th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identity.
      번역하기

      Children in two groups at a Korean Saturday School in the U.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oncept of “prolepsis”(i.e., bringing the imagined future into the present context). This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describes how the parents' envisione...

      Children in two groups at a Korean Saturday School in the U.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oncept of “prolepsis”(i.e., bringing the imagined future into the present context). This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describes how the parents' envisioned future for their children was related to the children's identity and their assumptions about how and what their children should lear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n institution mediated parental prolepsis by providing two idosyncratic groups of classes. Parents who envisioned that their children's future would be in Korea expected their children to prepare for the Korean school setting. Whereas the parents who expected that their children's future would be in the U.S. associated their children's language learning with maintaining their children's cultural identity. The two groups' hom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lso influenced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level that in turn influenced their placement at the Saturday school and what they learned at the school. In addition, retrospec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10 years after the Saturday schooling to find out about th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ident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종합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종합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nd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succes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Prentice Hall Regents 1988

      2 "and involvement in the learning of Asian langua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82 : 205-216, 1998

      3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4 "The saturated self" Basic Books 1991

      5 "The role of attitudes and motivation in learning a heritage language A study of Korean language maintenance in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2

      6 "The psychology of lite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7 "The metaphor of scaffolding its utility for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1 : 344-64, 1998

      8 "The Sociolinguistics of Learning and Using Non-native Language Oxford" Pergamon Press 1982

      9 "Shared thinking: Cultural and institutional variations" 23 : 471-98, 1997

      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1992

      1 "and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succes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Prentice Hall Regents 1988

      2 "and involvement in the learning of Asian langua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82 : 205-216, 1998

      3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4 "The saturated self" Basic Books 1991

      5 "The role of attitudes and motivation in learning a heritage language A study of Korean language maintenance in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2

      6 "The psychology of lite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7 "The metaphor of scaffolding its utility for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1 : 344-64, 1998

      8 "The Sociolinguistics of Learning and Using Non-native Language Oxford" Pergamon Press 1982

      9 "Shared thinking: Cultural and institutional variations" 23 : 471-98, 1997

      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1992

      11 "Observation in the language classroom" 1988

      12 "Moving Beyond Erikson and Gergen; An Examination of how bicultural adolescents negotiate between home and school in the formation of their personal identities Paper presented at the Asian Studies on the Pacific Coast Confer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1998

      13 "Mind in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14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Merriam-Webster, Inc 1998

      15 "Literacy practices in two Korean-US communities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Cultural Diversit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1993

      16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Unpublished manuscript 1992

      17 "Issu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einle & Heinle Publishers 1988

      18 "Cultural psychology: A once and future disciplin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9 "Becoming Korean through Language Negotiating and co- constructing identities at heritage language classroom Paper presensted at the 85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004

      2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21 "A social interactional analysis of learning disabilities remediatio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984194-199

      22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