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589156
서울 :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박사) 실천신학(상담심리학) , 2023. 2
2023
한국어
서울
115 ; 26 cm
지도교수: 박미하
I804:11056-2000006576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 경기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8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9.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불안, 대인존재감,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불안은 대인존재감,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존재감은 대인관계능력 및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대인존재감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대인관계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존재감도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대학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존재감이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부분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애착불안을 낮추려는 노력과 함께 매개변인으로 확인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을 통해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애착불안이 대학생활적응과 대인존재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애착불안수준을 감소시킬 상담 및 관련교육, 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성현란 외,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9
2 김춘경, "상담학사전", 서울: 학지사, 2016
3 Thorndike , R. L., "Intelligence and its uses", 140 , 227-235, 1920
4 이상철, 한상숙, "간호 보건통계분석", 서울:한나래, 2020
5 Ainsworth , M. S., "Attachments beyond infancy", 44 ( 4 ) , 709 ., 1989
6 김반야, "관계적 인간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서울: 학지사, 2011
8 최상진,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1997
9 Gresham , FM , & Elliott , S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 17 ( 4 ) , 392-397 ., 1990
10 Baker , R. W. , & Siryk , B .,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 2 ) , 179, 1984
1 성현란 외,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9
2 김춘경, "상담학사전", 서울: 학지사, 2016
3 Thorndike , R. L., "Intelligence and its uses", 140 , 227-235, 1920
4 이상철, 한상숙, "간호 보건통계분석", 서울:한나래, 2020
5 Ainsworth , M. S., "Attachments beyond infancy", 44 ( 4 ) , 709 ., 1989
6 김반야, "관계적 인간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서울: 학지사, 2011
8 최상진,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1997
9 Gresham , FM , & Elliott , S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 17 ( 4 ) , 392-397 ., 1990
10 Baker , R. W. , & Siryk , B .,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 2 ) , 179, 1984
11 Germer , C. K., "Teaching mindfulness in therapy", 1 ( 2 ) , 113-129 ., 2005
12 Bowlby , J, "Attachment and loss : Separation", vol . 2, 1973
13 Burns , G. L. , & Farina , A ., "Social competence and adjustment", 1 ( 1 ) , 99-113 ., 1984
14 Lazarus , R. S., "Cognition and motivacion in emotion", 46 , 352-367 ., 1991
15 문형춘, "성인애착 특성과 상담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19(3), 609-634, 2007
16 Ainsworth , M. D. S., "The Development of Infant-Mother Attachment", 14In In Thebeginning ( pp . 133-143, 1982
17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서울:한빛아카데미, 2018
18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09
19 임윤선, 최한나, "한국판 대인존재감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4(3), 1699-1715, 2013
20 Miller , D. L., "Reexamining teamwork KSAs and team performance", 32 ( 6 ) , 745-766 ., 2001
21 Bishop , S. R. , Lau , M. , Shapiro , S. , Carlson , L. , Anderson , N. D. , Carmody , J. , & Devins , G., "Mindfulness :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11 ( 3 ) , 230-241 ., 2004
22 Holmes, J., "존 볼비와 애착이론. 이경숙 역 (2005)", 서울: 학지 사, 1993
23 Lapsley , D. K. , Rice , K. G. , & Shadid , G. E.,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36 ( 3 ) , 286 ., 1989
24 Hinshaw , R. P., "The concept of adjustment and the problem of norms", 49 ( 3 ) , 284 ., 1942
25 Spitzberg , B. H. , & Canary , D. J, "Loneliness and relationally competent communication", 2 ( 4 ) , 387-402 ., 1985
26 Hazan , C. , & Shaver , P.,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52 ( 3 ) , 511-524 ., 1987
27 최영신, "자기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22
28 Rayle , A. D., "Adolescent gender differences in mattering and wellness", 28 ( 6 ) , 753-763 ., 2005
29 Cassidy , J, "Child mother attachment and the self in six vear olds .", 59 ( 1 ) , 121 134, 1988
30 임윤선,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1 Shaver , P. R. , & Mikulincer , M., "Adult attachment strategies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446 , 465 ., 2007
32 Khoury , B. , Lecomte , T. , Fortin , G. , Masse , M. , Therien , P. , Bouchard , V. , ... & Hofmann , S. G., "Mindfulness-based therapy :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3 ( 6 ) , 763-771 ., 2013
33 양혜선, 한종철, "성인애착유형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심 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4(1), 395-396, 2004
34 권석만, 김지영, "자기 및 타인 표상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705-726, 2002
35 Lundy , R. M. , Katkovsky , W. , Cromwell , R. L ... , & Shoemaker . D. J ., "Self acceptability and descriptions of sociometric choices", 51 ( 2 ) , 260-262 ., 1955
36 김정희, "알코올 중독자 대학생 자녀의 대학생활 적응", 서울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7 박선우, 천성문, 설정희,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 화", 재활심리연구, 24(4), 723-738, 2017
38 김형란, "성인애착불안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39 Buhrmester , D. , Furman , W. , Wittenberg , M. T. , & Reis , H. T.,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55 ( 6 ) , 991 ., 1988
40 김우성, 오종현, 오보라,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489-508, 2017
41 노경란, 조혜자, 방희정, "성인애착과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471-490, 2007
42 Feeney , J . A. , & Noller , P.,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58 ( 2 ) , 281, 1990
43 Amundson , N. E., "Mattering : A foundation for employment counseling and training", 30 , 146-152, 1993
44 김교헌, 전겸구, 이준석,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2000
45 한정원, "정서표현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46 김동직, 한성열, "한국 대학생의 애착 유형 분포와 대인관계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91-109, 1997
47 송동수, 한광령, "체육계열 학생의 사회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1), 49-60, 2009
48 김연정, "코로나 19 시대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경험",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2(6), 121-134, 2022
49 Bretherton , I,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28 ( 5 ) , 759-775, 1992
50 Teasdale , J. D., "Metacognition , mindfulness and the modification of mood disorders", 6 ( 2 ) , 146-155 ., 1999
51 Murray , S. L. , Holmes , J. G. , & Collins , N. L., "Optimizing assurance : the risk regulation system in relationships", 132 ( 5 ) , 641 ., 2006
52 박수애, 송관재,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2), 1-29, 2005
53 Barker , M. , Child , C. , Gallois , C. , Jones , E. , & Callan , V. J ., "Difficulties of overseas students in social and academic situations", 43 ( 2 ) , 79-84 ., 1991
54 Lazarus , R. S. , & Folkman , S.,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 :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re", 40 ( 5 ) , 770-779, 1985
55 김기정, 이정희, "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향상 집단상담의 효과연구", 학생생활연구 17, 17-37, 1999
56 박성민,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57 이윤정,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8 정해기, "직장인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59 문은식, "청소년의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 적응행동의 관계", 교육학 연구, 41(3), 349-369, 2003
60 Elliott , G. , Kao , S. , & Grant , A. M., "Mattering : Empirical validation of a social-psychological concept .", 3 ( 4 ) , 339-354 ., 2004
61 Baker , R. W. , & Siryk , B ., "Exploratory intervention with a scale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3 ( 1 ) , 31, 1986
62 선혜연, 하창순, "지방 중위권 대학의 대학생활적응도검사 개발 연 구", 교육연구논총, 34(1), 209-226, 2013
63 Bartholomew , K. , & Horowitz , L. M.,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61 ( 2 ) , 226-244, 1991
6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000
65 김수지, "가족분화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66 이주혜, 조영아,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 과", 상담학연구, 15(2), 579-594, 2014
67 Kabat Zinn , J,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 past , present , and future", 10 ( 2 ) , 144-156, 2003
68 Danielsen , A. G. , Samdal , O. , Hetland , J. , & Wold , B ., "School-related social support and students ' perceived life satisfaction", 102 ( 4 ) , 303-320 ., 2009
69 김영호, 최아랑, 김용범,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독과 복지 3(1), 25-45, 2019
70 최다운,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1 Kobak , R. R. , & Hazan , C., "Attachment in marriage : effects of security and accuracy of working models", 60 ( 6 ) , 861-869 ., 1991
72 Fraley , R. C. , Waller , N. G. , & Brennan , K. A .,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78 , 350-365 ., 2000
73 Elliott , G. C. , Colangelo , M. F. , & Gelles , R. J ., "Mattering and suicide ideation : Establishing and elaborating a relationship", 68 ( 3 ) , 223-238 ., 2005
74 Hazan , C. , & Shaver , P. R.,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research on close relationships", 5 ( 1 ) , 1-22 ., 1994
75 홍승현, "대학생들의 개별성-관계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76 임성택, 홍송이,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 근거 이론적 접근.", 미래청소년학회지, 15(2), 1-31, 2018
77 안도희, 유경철, "코로나 19 시기의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대학적응", 역량개발학습연구 (구 한국 HRD 연구), 17, 173-207, 2022
78 Collins , N. L. , & Read , S. J, "Adult attachment , working models ,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58 ( 4 ) , 644-707, 1990
79 Keng , S. L. , Smoski , M. J. , & Robins , C. J .,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health :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31 ( 6 ) , 1041-1056 ., 2011
80 김정규, 차지연,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4(3), 377-394, 2018
81 김미정, 김영혜, "부모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2), 115-129, 2013
82 황윤정,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3 Kirkpatrick , L. A. , & Davis , K. E., "Attachment Style , Gender , and Relationship Stability : A Longitudinal Analysis", 66 ( 3 ) , 502-512, 1994
84 박상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 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5), 83-91, 2020
85 방은령, 이경희, "대학생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 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부학보, 15(1), 325-348, 2011
86 Cassidy , J, "Adult romantic attachments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individual differences", 4 ( 2 ) , 111 ., 2000
87 이경숙, 임옥희, "성인 해외입양인의 애착유형에 따른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1), 303-303, 2012
88 Sroufe , L. A. , & Fleeson , J ., "Attachment and the 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 In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p . 51-71, 2013
89 Baer , R. A,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10 ( 2 ) , 125-143, 2003
90 Brown , K. W. , & Ryan , R. M.,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84 ( 4 ) , 822, 2003
91 정윤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 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2 신선임, "성인애착유형과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 이", 청소년학연구, 22(9), 255-276, 2015
93 최현실, "코로나-19 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 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73-286, 2021
94 Raque-Bogdan , T. L. , Ericson , S. K. , Jackson , J. , Martin , H. M. , & Bryan , N. A ., "Attachment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 self-compassion and mattering as mediators", 58 ( 2 ) , 272 ., 2011
95 민하영, 이윤주, 이영미,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 자아탄력성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5(4), 125-144, 2004
96 김은영, 이지은,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몰 입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255-263, 2020
97 고동우, 서현숙, "코로나 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의 구조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4), 351-389, 2021
98 Mikulincer , M. , & Horesh , N., "Adult attachment style and the perception of others : the role of projective mechanisms", 76 ( 6 ) , 1022, 1999
99 Baer , R. A. , Smith , G. T. , & Allen , K. B,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11 ( 3 ) , 191-206 ., 2004
100 Bettencourt , B . A. , Charlton , K. , Eubanks , J. , Kernahan , C. , & Fuller , B ., "Development of collective self-esteem among students : Predicting adjustment to college", 21 ( 3 ) , 213-222 ., 1999
101 Main , M. , Kaplan , N. , & Cassidy , J, "Security in infancy , childhood , and adulthood :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66-104, 1985
102 이시은, "성인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 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97-914, 2009
103 Shure , M. B. , & Spivack , G., "Means-ends thinking , adjustment , and social class among elementary-school-aged children", 38 , 348.-353, 1972
104 Gresham , F. M & Eliot , S. M., "Assesment and classification of children 's social skills : a review of methods and issues", 13 ( 3 ) , 292-301 ., 1984
105 Hofmann , S. G. , Sawyer , A. T. , Witt , A . A. , & Oh , D.,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 A meta-analytic review", 78 ( 2 ) , 169 ., 2010
106 구유나, 홍지영, "고등학생의 성인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4(2), 263-277, 2017
107 박레아, 양명희,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자기조절학습이 대학생활적응 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4), 89-97, 2019
108 심예진,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 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109 김정현,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이 조직몰입과 교사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0 김종운, 이명희,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 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506-516, 2014
111 Gormley , B, "An adult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of gender symmetry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52 ( 11-12 ) , 785-795 ., 2005
112 권은진, "성격 5요인의 구조모형 검증 및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3 백지영,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14 Folkman, S., Lazarus, R. S.,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Stress, appraisal, and coping] (김정희 역. 2001", 서울: 대광문 화사), 1984
115 Westen , D. , Nakash , O. , Thomas , C. , & Bradley , R., "Clinical assessment of attachment patterns and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and adults", 74 ( 6 ) , 1065, 2006
116 박관성, 박준성, "불안정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 존재감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8(2), 245-261, 2019
117 김민주,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18 박순아, 오은진,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대인관 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8), 94-102, 2016
119 심혜숙, 이정희, "상담일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공변량 구조분석", 상담학연구, 8(3), 899-915, 2007
120 손희원, 이경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 심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5), 239-254, 2021
121 박희현, 송가미, "직장인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대 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3(3), 113-131, 2016
122 김완일, 정성한, "재수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355-374, 2016
123 Russell , D. W. , Kahn , J. H. , Spoth , R. , & Altmaier , E. M.,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 1 ) , 18 ., 1998
124 이순희, 이혜은, "코로나 (COVID-19) 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와 대 처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405-417, 2021
125 Abouserie , R., "Sources and levels of stress in relation to locus of control and self 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14 ( 3 ) , 323-330, 1994
126 Kishton , J. M. , & Widaman , K. F.,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 An empirical example", 54 ( 3 ) , 757-765 ., 1994
127 나은수,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거절민감 성의 매개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28 김영근, 김지현, "대학생의 우울취약성 및 성인애착의 군집분석에 따 른 대인관계 성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7(10), 29-52, 2020
129 Gerdes , H. , & Mallinckrodt , B ., "Emotional , social ,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 A longitudinal study of retention", 72 ( 3 ) , 281-288, 1994
130 이시은, "개별성-관계성과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의 관계에서 공적자의식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777-796, 2010
131 김민지, "수용전념치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표현양가성 에 미치는 효과",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32 박동윤, "코로나 19 스트레스, 우울 및 대인관계문제가 SNS 중독경 향성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133 장우심, "팬데믹 상황 (COVID-19) 에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자 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8, 235-246, 2021
134 Rayle , A. D. , & Myers , J. E., "Counseling adolescents toward wellness : The roles of ethnic identity , acculturation , and mattering", 81-90, 2004
135 이민희,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와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36 이경미, 조한익, 정기수,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1), 461-486, 2015
137 윤하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 대인존 재감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38 김미선,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호 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39 Agishtein , P. , & Brumbaugh , C., "Cultural variation in adult attachment : The impact of ethnicity , collectivism , and country of origin", 7 ( 4 ) , 384 ., 2013
140 권석만, "대학생의 대인관계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모형. 학 생연구, 30(1), 38-63",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5
141 Baldwin , M , W. , Keelan , J. P. , Fehr , B. , Enns , V. , & KohRangarajoo , E., "Social-cognitive conceptualization of attachment working models :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effects", 71 , 94-109 ., 1996
142 Myers , J. E. , & Bechtel , A, "Stress , wellness , and mattering among cadets at West Point : Factors affecting a fit and healthy force", 169 ( 6 ) , 475-482, 2004
143 박진아, 홍지연, "간호대학생의 음주동기,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 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447-463, 2016
144 Stevens , M. J. , & Campion , M. A, "The knowledge , skill , an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20 ( 2 ) , 503-530, 1994
145 박은희 , 최은실,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 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1), 57-79, 2015
146 장휘숙, "애착의 전생에 모델과 대물림: 전생에 발달심리학적 조망에 서 애착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6(1), 80-97, 1997
147 Collins , N. L. , & Feeney , B. C., "A Safe Haven : An Attachment Theory Perspective on Support Seeking and Caregiving in Intimate Relationships", 78 ( 6 ) , 1053, 2000
148 박응임, 박찬,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5(3), 307-324, 2020
149 이명심,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진로적응력 및 대학생활적 응 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150 도수정, 이귀숙, 송현아,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53-73, 2016
151 박영주, 이영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 향: 우울경험양식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2), 441-452, 2010
152 Mikulincer , M.,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the sense of trust : An exploration of interaction goals and affect regulation", 74 ( 5 ) , 1209, 1998
153 Bandalos , D. L.,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 1 ) , 78-102 ., 2002
154 남윤정,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대인관계만족,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55 박은희,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경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56 이제인, "연극영화과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우울 및 불안 관계에 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57 손병덕, 오혜정,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자아탄력성 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11), 477-502, 2021
158 노영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대 인존재감의 조절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59 이명희, "중국유학생의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 응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60 Brennan , K. A .. Clark , C. L .. & Shaver , P. R.In I . A. Simpson & W. S. Rholes ( Eds. ),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 An integrated interview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 46-76, 1998
161 김옥란, 김완일, "군 병사의 자기복잡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대 인존재감과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 료, 27(1), 159-181, 2015
162 정원원,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대학생 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163 김세원, 신창식,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과의 관 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16-227, 2015
164 이연규, 최한나,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대인존재감 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2), 21-42, 2013
165 장휘숙, "애착과 애착의 발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5(1), 16-27. 적응 (2016. 01. 15.). 상담학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3405&cid=62841 &categoryId=62841에서 2022년 10월 29일 인출, 2004
166 정태연, 최상진, "인고(忍苦)에 대한 한국인의 심리: 긍정적 보상기 대와 부정적 과실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2), 21-38, 2001
167 Lawrence , J. , Ashford , K. , & Dent , P., "Gender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impact on self-esteem and attainment", 7 ( 3 ) , 273-281 ., 2006
168 강수진, 최영희,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 양식과 사회불안을 매개변인으로", 인간발달연구, 18(3), 53-68, 2011
169 Hayes , A. M. , & Feldman , G., "Clarifying the construct of mindfulness in the context of emotion regul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rapy", 11 ( 3 ) , 255-262, 2004
170 최인선,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1 고미나, 곽영희, "대학생의 성인애착, 교수-학생 상호작용, 전공만족 도와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시설환경, 13(3), 73-84, 2015
172 이희영, 최태진, "애착유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개인주의 -집단주의 성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 상담학연구, 5(1), 79-94, 2004
173 홍세훈, "코로나 (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활적응, 학업스트레 스가 여대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715-723, 2021
174 성태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종합검사 개발:대인관계검사 개발과 종합적 사고력 측정 방안", 서울: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175 유지현, 이숙정,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2008
176 김성현,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 분석 과 문항 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77 Lapsley , D. K. , K. G. Rice , & D. P. FitzGerald, "Adolescence Attachment , Ident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of Adaptation Hypothesis", 68 ( 5 ) , 561-565 ., 1990
178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79 주은지, 최인선,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145-173, 2016
180 이찬숙, 이혜경,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K 전문대학교 신입생을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20, 19-31, 2014
181 Rice , K. G. , Cunningham , T. J. , & Young , M. B ., "Attachment to parents , social competence , and emotional well-being : A comparison of Black and White late adolescents", 44 ( 1 ) , 89-101, 1997
182 박명숙, 오윤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 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331-341, 2020
183 김완일, 정윤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10), 385-410, 2016
184 문효빈, 최윤정, 오현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 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교원교육, 37(2), 417-443, 2021
185 Robert , J. E , Gotlib , L. H , & Kassel , J. D., "Adult Attachment Securi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Low Self-Esteem", 70 ( 2 ) , 310-320 ., 1996
186 Datu , J . A. D., "Drawing predictive deter- minants of college adjustment : perspectives from two private sectarian collegiate institutions", 3 , 16-24 ., 2012
187 김은선, 하문선,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분리개별화와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535-551, 2021
188 김미정, 김종운,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541-562, 2015
189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 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4), 197-218, 2011
190 최가혜,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2
191 강미선, 이예슬, 손치현, 백준상, 김현경, 김율리, "포스트 코로나 19 상황의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지원 연구: 디지털 큐레이션 캘린더",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909-916, 2021
192 Spencer , M. B .,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34 , 43-57, 1999
193 오민아,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을 매개하 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194 박지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95 조윤주, "성인기 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성 및 부모에 대한 애 착과 부모 부양 의무감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75-92, 2009
196 이후희, "코로나 19 상황에서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및 중도탈락 영 향요인 분석-B 대학교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20(1), 81-88, 2022
197 오현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 는 영향 : 대인존재감의 매개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20
198 정은선, 하정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업도움추구와 은폐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 지, 17(4), 671-681, 2016
199 김예진, 변은경, "일 전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대 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8(3), 521-528, 2022
200 강유리, 최시은, 조미래, 이현진, 노경미, 김유진, "코로나 19 를 경 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101-110, 2021
201 신미경, "외모관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존중 감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20
202 최아라,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우울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5), 691-702, 2021
203 홍세훈, "간호대학생의 코로나 (COVID-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 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301-310, 2021
204 Mikulincer , M. , Shaver , P. R. , & Perge , D., "Attachment theory and affect regulation : The dynamics . development ,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attachment-related strategies", 27 ( 2 ) , 77-102 ., 2003
205 Chris Fraley , R. , Niedenthal , P. M. , Marks , M. , Brumbaugh , C. , & Vicary , A ., "Adult attachment and the percep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 Probing the hyperactivating strategies underlying anxious attachment", 74 ( 4 ) , 1163-1190 ., 2006
206 김남희, 김종운,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9(20), 529-551, 2019
207 김희수, 홍성훈,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 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6(1), 33-53, 2005
208 정지양, "대인관계 외상 경험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5
209 권선주,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에서 분노억제 및 분노표출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6(1), 1-16, 2021
210 김진현, 조해윤, 윤종식, 김혜옥, "코로나 19 (COVID-19) 환경 속 에서 K 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 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9(8), 1-10, 2021
211 권선주, 이정숙, "대학생의 분노 반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노 경 험 및 분노 표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 치료학회지, 13(3), 2018
212 김유진,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213 서영석, 조화진,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지: 상담 및 심리치료,22(2), 385-411, 2010
214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 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15 김종운, 박선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 생활적응,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청소년상담연 구, 29(2), 119-148, 2021
216 고송경, 한유진, "20대 미혼 남녀의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관계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4), 15-30, 2022
217 이아라, 최유람,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사 후반추사고로 조절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0(6), 93-113, 2019
218 이종만, "코로나 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 20(7), 342-351, 2020
219 박란희,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성인애착과 자아탄력 성 수준이 대인갈등 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0 Lopez , F. G. , & Brennan , K. A ., "Dynamic processes underlying adult attachment organization : Toward an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healthy and effective self", 47 ( 3 ) , 283, 2000
221 김혜영,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진로적응성, 진로구성, 진로몰입, 대학생활적응 및 부모진로지지의 구조적 관계",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222 박신영, 윤경희,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 생의 애착수준, 대인관계,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 605-629, 2018
223 박신영,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애착 수준, 대인관계,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24 김동희, 송지훈, 노윤정, 남교민, 김민영, "대학생들의 학습몰입과 학 업중단계획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 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93-209, 2021
225 심령, "재한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 문화지능, 문화적응스트레스, 성격강점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22
226 김예진, 황희훈, 이동훈, 이덕희, 남슬기, 김지윤,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 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 료, 32(4), 2119-2156, 2020
227 Mikulincer , M. , Gillath , O. , Halevy , V. , Avihou , N. , Avidan , S .. & Eshkoli , N., "Attachment theory and rections to others ' needs : Evidence that activiation of the se nse of attachment security promotes em pathic res ponses", 81 ( 6 ) , 1205 ., 2001
228 이민우, 임세라, "한국 성인남녀의 성인애착불안이 성 중독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자기자비 매개효과 검증", 예술인문 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9), 703-714, 2018
229 이정원, "코로나 19 위기극복 및 변화적응 행동 영향요인 연구: 대 학생의 시민정체성, 집단효능감, 조직지원인식의 역할", 생산성논집, 34(4), 284-307, 2020
230 박정열, 손영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 사 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의 다중매개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3), 145-166, 2020
231 오명현,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그 릿(GRIT)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21
232 서영석, 안하얀,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 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575-603, 2010
233 Collins , N. L , & Read , S , J.,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 The content and function of working models . In K. Bartholomew & D. Perlman ( Eds . ) , Advances in Personal Relationships", 5 , 53-90, 1994
234 심재창, "코로나19 팬데믹이 한국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 향에서 대처유연성 및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235 윤일현,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생 자기주도학습이 대학생활적응 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 학습몰입, 삶의 만족도 병렬 삼중매개효 과분석", 취업진로연구, 11(4), 119-142, 2021
236 노충래, "재외국민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스트레 스, 자긍심, 삶의 만족도 및 대학환경인식의 관계와 서비스욕구를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13, 87-120, 2002